본 연구에서는 폐경 이후 발생률이 높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PDGF-BB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와 증식을 유도한 다음 양하 꽃대 추출물이 혈관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751536
2015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180-1185(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폐경 이후 발생률이 높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PDGF-BB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와 증식을 유도한 다음 양하 꽃대 추출물이 혈관평...
본 연구에서는 폐경 이후 발생률이 높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PDGF-BB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와 증식을 유도한 다음 양하 꽃대 추출물이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와 증식에 미친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양하 꽃대 시료를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을 평가, 최적 비율의 양하 꽃대 양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에서는 양하 꽃대 추출물 100 μg/mL에서부터 정상세포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증식에서는 양하 꽃대 추출물 10 μg/mL에서부터 확연히 억제되어 1,000 μg/mL에서는 정상세포 수준까지 떨어졌다. 양하 양갱의 경우 양하 꽃대 시료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양하 꽃대를 이용한 양갱의 관능 평가 결과를 종합해보면 양하 꽃대 시료 9 g 첨가군(YY9)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양하 꽃대는 항산화 활성 향상과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와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나타났으므로, 혈관 손상을 예방해줄 수 있는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관능평가에서 우수한 점수를 보여준 양하 꽃대 시료 9 g 첨가 양하 양갱은 중년여성의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yangha flower buds as well as to manufacture of yanggeng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0 g, 3 g, 6 g, 9 g, and 12 g) of yangha flower buds.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ies of yang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yangha flower buds as well as to manufacture of yanggeng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0 g, 3 g, 6 g, 9 g, and 12 g) of yangha flower buds.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ies of yangha flower buds were 96% and 57% compared to levels of vitamin C, respectively. In the oxygen radical antioxidant capacity assay,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dose dependently up to 500 μg/mL of yangha flower buds. There was no toxicity up to 1,000 μg/mL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and yanggeng significantly reduced migration and proliferation by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stimulated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optimal sample was YY9, which was prepared with 9 g of yangha flower buds. It can be concluded that yangha flower buds show antioxidant and vascular protective activities. The optimal sample (YY9)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a new functional food.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주, "황기를 첨가한 백편두 양갱의 품질특성"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2 조교희, "한국산 양하(꽃봉오리와 지하경)의 인지 기능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519-1526, 2014
3 김애정, "오디시럽을 이용한 오디양갱 제조 및 품질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2 (22): 62-67, 2012
4 정경숙, "여수 및 제주지역 자생 양하의 영양성분 분석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7 (37): 713-716, 2005
5 최옥병, "어성초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 세포 이주 및 증식 억제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약학회 42 (42): 182-186, 2011
6 이장원,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203-209, 2007
7 신정혜, "양하, 양하근경 및 생강분말이 고지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1 (31): 679-684, 2002
8 오혜림, "숙지황 농축액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1-8, 2012
9 Hattori Y, "Vascular smooth muscle cell activation by C-reactive protein" 58 : 186-195, 2003
10 Brand-Williams W, "Use of a free-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28 : 25-30, 1995
1 김민주, "황기를 첨가한 백편두 양갱의 품질특성"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2 조교희, "한국산 양하(꽃봉오리와 지하경)의 인지 기능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519-1526, 2014
3 김애정, "오디시럽을 이용한 오디양갱 제조 및 품질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2 (22): 62-67, 2012
4 정경숙, "여수 및 제주지역 자생 양하의 영양성분 분석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7 (37): 713-716, 2005
5 최옥병, "어성초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 세포 이주 및 증식 억제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약학회 42 (42): 182-186, 2011
6 이장원,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203-209, 2007
7 신정혜, "양하, 양하근경 및 생강분말이 고지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1 (31): 679-684, 2002
8 오혜림, "숙지황 농축액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1-8, 2012
9 Hattori Y, "Vascular smooth muscle cell activation by C-reactive protein" 58 : 186-195, 2003
10 Brand-Williams W, "Use of a free-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28 : 25-30, 1995
11 Flood MT, "Toxicity evaluation of a β-galactosidase preparation produced by Penicillium multicolor" 40 : 281-292, 2004
12 Yeoum SG, "The investigation on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for postmenopausal women over 50years" 9 : 266-272, 2003
13 Lindenschmidt RC, "The effects of dietary butylated hydroxytoluene on liver and colon tumor development in mice" 38 : 151-160, 1986
14 Korotaeva AA, "The catalytically active secretory phospholipase A2 type IIA is involved in restenosis development after PTCA in human coronary arteries and generation of atherogenic LDL" 270 : 107-113, 2005
15 Xiaowen Jiang, "Tetrahydrobiopterin Inhibits PDGF-stimulated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s via the Nitric Oxide Synthase-independent Pathway" 대한약리학회 14 (14): 177-183, 2010
16 Choi SK, "Study on the clonal multiplication of Zingiber mioga ROSC. through in vitro culture of shoot Apex. Ⅰ. Effects of basal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and growth of plantlet" 1 : 38-42, 1993
17 Park B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ujube past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jujube paste" Sejong University 2007
18 Tallquist M, "PDGF signaling in cells and mice" 15 : 205-213, 2004
19 Zheng L, "Neferine inhibits angiotensin Ⅱ-induced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predominantly by downregulating fractalkine gene expression" 8 : 1545-1550, 2014
20 Kim TS, "Natural plant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 203-, 1998
21 Mii 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proliferation of huma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270 : H142-H150, 1996
22 Innes KE, "Menopause, the metabolic syndrome, and mind-body therapies" 15 : 1005-1013, 2008
23 Kim CJ, "Influence of menopause on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lipids" 15 : 380-386, 2000
24 Barrett-Connor 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eart disease, and other considerations" 19 : 55-72, 1998
25 KFDA, "Food materials search engine 2004"
26 Kang BH, "Effects of therapeutic mode of short-term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by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hypercholesterolemic postmenopausal women" 5 : 283-294, 1999
27 Park KW,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prolife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10 : 205-209, 2004
28 Hong Y, "Effect of berberine on catecholamine levels in rats with experimental cardiac hypertrophy" 72 : 2499-2507, 2003
29 Braun-Dullaeus RC, "Cell cycle progression : new therapeutic target for vascular proliferative disease" 98 : 82-89, 1998
30 Hirono I, "Carcinogenicity examination of inflorescence of Zingiber mioga Roscoe" 15 : 203-208, 1982
31 Steinberg D, "Beyond cholesterol" 320 : 915-924, 1989
32 Lee WR, "Antioxidant use in coronary artery disease" 28 : 658-662, 1998
33 Jeong JH, "Anti-oxidant, anti-prolifer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black raspberry fruits and wine" 123 : 338-344, 2010
34 Abe M, "A novel labdane-type trialdehyde from myoga(Zingiber miora Roscoe)that potently inhibits human platelet aggregation and human 5-lipoxygenase" 70 : 2494-2500, 2006
홍국균 발효가 발아현미의 Monacolin K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상업용 메디컬푸드 및 탄수화물 급원의 발효성 당류 함량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