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영, 이순신 그리고 시조문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61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통이 발달하지 못했던 과거 인간의 이동이란 한계가 있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실정에서 당연히 그 지역의 문화권을 형성했음을 추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리한 환경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그 지역의 문화권 내에서는 고유문화를 내포한 다양한 장르들이 향유되고 있었고, 그것이 오늘날까지 잔존하여 그 지역 문화의 태(胎)를 형성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통영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 이 지역이 왜 역사적으로 중요한지, 또 문화적으로 발달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봤다.
      또한 통영은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을 이룩한 거룩한 곳이며 <한산도가>를 창작한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순신 담론을 통해 통영지역의 시조문화를 살펴봤다.
      특히 통영은 300여년의 통제영 문화를 바탕으로 중앙의 산물로 인식되던 가집이 생산된 곳이며 ?흥비부?는 이러한 통영의 기방 풍류문화를 담고 있는 가집이다. 또한 근대에도 통영은 문학으로서 시조가 강하게 득세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조선시대는 한양이라는 중앙을 기반으로 문화 예술이 발달하였다. 통영은 중앙은 아니지만 통제영이라는 군사적 특수 도시로서 문화 예술 특히 노래로서의 시조가 발달하였고 이로 인해 가집 또한 편찬되고 향유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교통이 발달하지 못했던 과거 인간의 이동이란 한계가 있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실정에서 당연히 그 지역의 문화권을 형성했음을 추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리한 ...

      교통이 발달하지 못했던 과거 인간의 이동이란 한계가 있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실정에서 당연히 그 지역의 문화권을 형성했음을 추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리한 환경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그 지역의 문화권 내에서는 고유문화를 내포한 다양한 장르들이 향유되고 있었고, 그것이 오늘날까지 잔존하여 그 지역 문화의 태(胎)를 형성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통영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 이 지역이 왜 역사적으로 중요한지, 또 문화적으로 발달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봤다.
      또한 통영은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을 이룩한 거룩한 곳이며 <한산도가>를 창작한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순신 담론을 통해 통영지역의 시조문화를 살펴봤다.
      특히 통영은 300여년의 통제영 문화를 바탕으로 중앙의 산물로 인식되던 가집이 생산된 곳이며 ?흥비부?는 이러한 통영의 기방 풍류문화를 담고 있는 가집이다. 또한 근대에도 통영은 문학으로서 시조가 강하게 득세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조선시대는 한양이라는 중앙을 기반으로 문화 예술이 발달하였다. 통영은 중앙은 아니지만 통제영이라는 군사적 특수 도시로서 문화 예술 특히 노래로서의 시조가 발달하였고 이로 인해 가집 또한 편찬되고 향유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obvious that people in past when transportation was not yet developed had trouble to move to other region. In this situation, it is not difficult to predict that regional culture surely formed. In spite of this environmental condition, several genres included inherent culture in this regional cultural area were possessed, this remaining even in now formed form of this own culture.
      This study searched history and culture of Tongyoung to discover why this region was historically crucial, culturally well-developed.
      Also, Tongyoung was place where Yi sun-sin won at battle of Hansan Island, and made <Hasando ga>. Through discourse of Yi sun-sin, this study researched sijo culture in Tongyoung region.
      Especially, Tongyoung was place where Anthology recognized as product for central was produced., Heungbibu was anthology reflected geisha culture in Tongyoung. Also, Tongoung was region where sijo had wide influential power as literature in modern age.
      Cultural art was developed based on central in Chosun age. Tongyoung was not central, as Tongjeyoung specialized navy port, Sijo as song was developed, because of this, Anthology could also compile and possess.
      번역하기

      It is obvious that people in past when transportation was not yet developed had trouble to move to other region. In this situation, it is not difficult to predict that regional culture surely formed. In spite of this environmental condition, several g...

      It is obvious that people in past when transportation was not yet developed had trouble to move to other region. In this situation, it is not difficult to predict that regional culture surely formed. In spite of this environmental condition, several genres included inherent culture in this regional cultural area were possessed, this remaining even in now formed form of this own culture.
      This study searched history and culture of Tongyoung to discover why this region was historically crucial, culturally well-developed.
      Also, Tongyoung was place where Yi sun-sin won at battle of Hansan Island, and made <Hasando ga>. Through discourse of Yi sun-sin, this study researched sijo culture in Tongyoung region.
      Especially, Tongyoung was place where Anthology recognized as product for central was produced., Heungbibu was anthology reflected geisha culture in Tongyoung. Also, Tongoung was region where sijo had wide influential power as literature in modern age.
      Cultural art was developed based on central in Chosun age. Tongyoung was not central, as Tongjeyoung specialized navy port, Sijo as song was developed, because of this, Anthology could also compile and poss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통영의 역사와 문화
      • Ⅲ. 이순신과 시조
      • Ⅳ. 통영과 가집(歌集) 그리고 시조문화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통영의 역사와 문화
      • Ⅲ. 이순신과 시조
      • Ⅳ. 통영과 가집(歌集) 그리고 시조문화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회, "흥비부와 청구영언 육당본을 통해 본 노랫말 변용의 두 흐름" 81-, 2003

      2 고정희, "흥비부를 통한 시조 정전(正典) 교육의 반성적 고찰" 국어교육연구소 (24) : 199-233, 2009

      3 "흥비부"

      4 이종학, "한산도가는 보성열선루에서 지어쓰고 읊으셨다" 8 : 44-, 1999

      5 이해랑, "한국 연극․무보․영화 사전" 27-, 1985

      6 박태일, "통영ㆍ거제지역 연구" 1999

      7 노동은, "통영, 그 섬에 가고 싶다" 9 : 131-132, 1995

      8 이지우, "통영 그리고 이순신의 발자취"

      9 이은상, "태양이 비치는 길로, 하" 170-174, 1973

      10 "이충무공전서"

      1 김석회, "흥비부와 청구영언 육당본을 통해 본 노랫말 변용의 두 흐름" 81-, 2003

      2 고정희, "흥비부를 통한 시조 정전(正典) 교육의 반성적 고찰" 국어교육연구소 (24) : 199-233, 2009

      3 "흥비부"

      4 이종학, "한산도가는 보성열선루에서 지어쓰고 읊으셨다" 8 : 44-, 1999

      5 이해랑, "한국 연극․무보․영화 사전" 27-, 1985

      6 박태일, "통영ㆍ거제지역 연구" 1999

      7 노동은, "통영, 그 섬에 가고 싶다" 9 : 131-132, 1995

      8 이지우, "통영 그리고 이순신의 발자취"

      9 이은상, "태양이 비치는 길로, 하" 170-174, 1973

      10 "이충무공전서"

      11 황병성, "이순신 의한 한산도가 문제와 보성 열선루" 70 : 2004

      12 김석회, "시조와 한시의 갈래교섭 양상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 2 : 37-, 2000

      13 황병성, "보성열선루의 ‘한산도가’ 작시설의 재검토" 2005

      14 "병와가곡집"

      15 박경리, "김약국의 딸들" 7-, 1980

      16 "국역 비변사등록"

      17 권순회, "고시조 문헌해제" 266-271, 2012

      18 강전섭, "閑山島歌의 作者에 對하여" 37 : 1978

      19 강전섭, "閑山島歌의 作者辨正" 297-312, 1995

      20 이규리, "<<邑誌>>로 본 朝鮮時代 官婢運用의 實狀" 한국사연구회 (130) : 151-187, 2005

      21 신경숙, "19세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가곡원류』" 한국고전문학회 (35) : 1-32, 2009

      22 김학성, "18?19세기 예술사의 구도와 시가의 미학적 전환 韓國詩歌硏究 第11輯 18?19세기 예술사의 구도와 시가의 미학적 전환 ― 여항-시정문화와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시가학회 11 : 1-, 2002

      23 신경숙, "18?19세기 가집, 그 중앙의 산물18?19세기 가집, 그 중앙의 산물" 한국시가학회 11 : 2-, 2002

      24 김태웅, "18세기 후반~19세기 초중반 가집의 전개양상 연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62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