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장애 형제의 돌봄 부담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와 장애 수용의 완전매개경로 분석 = The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diating Path Analysi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515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정 내 비장애인 형제의 돌봄 부담과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장애 수용의 매개 경로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2021년 진행된 장애인의 삶 패널조사 4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애인 가족의 비장애 형제 중 조건에 맞는 284명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및 기술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4.3 version을 사용하여 매개경로에 대한 부트스트래핑을 진행하였다. 결과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 형제의 30.3%가 자신의 삶에 불만족한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돌봄 부담은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셋째, 돌봄 부담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 수용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장애 형제의 경우, 직면한 돌봄 부담이 장애 수용을 저해하여 삶의 만족도 수준이 감소 된다. 이를 토대로 비장애 형제를 위한 심리적 지원 및 서비스 전달 체계 개발의 필요성 등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정 내 비장애인 형제의 돌봄 부담과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장애 수용의 매개 경로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한국...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정 내 비장애인 형제의 돌봄 부담과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장애 수용의 매개 경로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2021년 진행된 장애인의 삶 패널조사 4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애인 가족의 비장애 형제 중 조건에 맞는 284명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및 기술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4.3 version을 사용하여 매개경로에 대한 부트스트래핑을 진행하였다. 결과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 형제의 30.3%가 자신의 삶에 불만족한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돌봄 부담은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셋째, 돌봄 부담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 수용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장애 형제의 경우, 직면한 돌봄 부담이 장애 수용을 저해하여 삶의 만족도 수준이 감소 된다. 이를 토대로 비장애 형제를 위한 심리적 지원 및 서비스 전달 체계 개발의 필요성 등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path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for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o examine the present study,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4th wave) data’ of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KODDI) used and 284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y analized. Results First, 30.3% of non-disabled siblings reported dissatisfaction with life. Second, the caregiving burden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disability acceptance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Conclusion In the case of non-disabled siblings,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decreases as the caregiving burden they face hinders their acceptance of disability. Based on this, practical social welfare and policy suggestions such as psychological support for non-disabled siblings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path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for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o examine the present s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path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for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o examine the present study,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4th wave) data’ of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KODDI) used and 284 non-disabled siblings of people with disability analized. Results First, 30.3% of non-disabled siblings reported dissatisfaction with life. Second, the caregiving burden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disability acceptance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Conclusion In the case of non-disabled siblings,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decreases as the caregiving burden they face hinders their acceptance of disability. Based on this, practical social welfare and policy suggestions such as psychological support for non-disabled siblings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