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교육의 제도적 의미와 이론적 의미의 구분과 논거에 관한 교육학적 성찰 = Educational Reflections on the Classification and Foundation of the Institutional and Theoretical Meanings of High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8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등교육’은 대학 이상의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가리킨다. 상급기관에서 시행하는 교육이므로 그 수준은 당연히 높은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 항상 고급의...

      ‘고등교육’은 대학 이상의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가리킨다. 상급기관에서 시행하는 교육이므로 그 수준은 당연히 높은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 항상 고급의 교육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하급학교인 초등학교에서도 얼마든지 고등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등학문의 내용을 다룬다고 해서 그 교육이 고등 수준의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말이다. 이는 교육의 위계가 학교의 위계와 일치하지 않으며, 학교의 등급체계와 별도의 기준에 의해 파악되어야 할 성질의 것임을 시사한다. 고등교육의 실질적인 의미는 제도적인 형식과 기준으로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으로 밝혀질 문제이기 때문에 교육의 개념과 위계수준을 타당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론망의 구축과 적용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제도의 형식과 구별된 고등교육의 실질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듀이와 장상호의 교육이론에 주목하였다. 듀이는 제도와 구별된 교육을 경험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하였고, 장상호는 학교태(schooling)와 구별된 교육의 의미를 자율적인 삶의 한 양상으로 식별했다. 듀이와 장상호의 이론을 통해서 고등교육을 제도적 차원과 이론적 차원으로 구별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근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gher education’ usually refers to education conducted by institutions above high schools. Since education is conducted by a higher authority, the level tends to be considered high. However, there is not always a high level of education in unive...

      ‘Higher education’ usually refers to education conducted by institutions above high schools. Since education is conducted by a higher authority, the level tends to be considered high. However, there is not always a high level of education in universities. Higher standards of education can also be achieved at lower level elementary schools. There is no guarantee that an education is of higher quality just because it deals with the contents of higher learning. This suggests that the hierarchy of educat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hierarchy of school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separate standards from that of schools. If the substantial meaning of higher education is not to be identified by institutional forms and standards but to be theoretically identifie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identifying the level of education is established in a reasonable manner.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Dewey and Chang Sang-ho as theoretical bases for explaining the substantial meaning of institutions and differentiated higher education. Dewey explained education in terms of the reformation of experience from institutions, while Chang struggl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education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schooling as a form of an autonomous lifestyle. Dewey and Chang s theories provide meaningful reasons for differentiating higher education into institutional and theoretical dimens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고등교육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Ⅱ. 고등교육의 제도적 의미 Ⅲ. 고등교육의 이론적 의미에 관한 탐색 Ⅳ. 맺음말: 의미의 명료화를 위한 용어 정련의 과제
      • Ⅰ. 서 론: 고등교육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Ⅱ. 고등교육의 제도적 의미 Ⅲ. 고등교육의 이론적 의미에 관한 탐색 Ⅳ. 맺음말: 의미의 명료화를 위한 용어 정련의 과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석,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 정책" 학지사 2005

      2 장상호, "한국교육학의 맥" 나남출판 291-326, 1994

      3 김종철, "한국고등교육연구" 배영사 1979

      4 김기석, "한국 고등교육의 교육사회학적 이해: 연구 성과 검토와 미래 전망"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25-49, 2012

      5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권 III) : 교육연구의 새 지평"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6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권 II) : 교육본위의 삶"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7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권 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 김규욱, "존 듀이 경험이론에 비추어 본 도구주의의 재해석" 1 (1): 127-156, 1996

      9 이희원, "수업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 결과 활용 방안 탐색 -S대학의 강의평가 결과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257-283, 2013

      10 최성욱, "배움과 상구의 치환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육원리학회 22 (22): 35-63, 2017

      1 신현석,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 정책" 학지사 2005

      2 장상호, "한국교육학의 맥" 나남출판 291-326, 1994

      3 김종철, "한국고등교육연구" 배영사 1979

      4 김기석, "한국 고등교육의 교육사회학적 이해: 연구 성과 검토와 미래 전망"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25-49, 2012

      5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권 III) : 교육연구의 새 지평"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6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권 II) : 교육본위의 삶"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7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권 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 김규욱, "존 듀이 경험이론에 비추어 본 도구주의의 재해석" 1 (1): 127-156, 1996

      9 이희원, "수업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 결과 활용 방안 탐색 -S대학의 강의평가 결과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257-283, 2013

      10 최성욱, "배움과 상구의 치환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육원리학회 22 (22): 35-63, 2017

      11 박분희, "교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교육과학사 253-286, 2002

      12 장상호,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91 (91): 1991

      13 김신영, "교육프로그램 메타평가를 위한 교육본위성 기준 개발" 한국교육원리학회 14 (14): 141-161, 2009

      14 장상호, "교육에 대한 개념과 어휘의 해체" 한국교육원리학회 12 (12): 31-64, 2007

      15 김성훈, "교육 프로그램 메타평가 기준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2 (22): 557-585, 2009

      16 최성욱, "교사-학생 관계의 비판적 고찰" 9 (9): 1-45, 2004

      17 변기용, "고등교육의 학문적 성격과 지식기반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3) : 147-175, 2009

      18 윤정일, "고등교육의 수월성" 한국교육개발원 1985

      19 김안나, "고등교육사회학" 학지사 2010

      20 반상진, "고등교육경제학" 집문당 2008

      21 하오선, "강의평가 결과공개가 강의개선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299-319, 2013

      22 김지현, "‘고등교육’ 용어의 비판적 해체와 교육학의 과제" 한국교육원리학회 20 (20): 87-122, 2015

      23 신정철, "Trends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Research Topic Analysis" 한국교육개발원 35 (35): 167-193, 2008

      24 OECD, "Thematic review of tertiary education: Guidelines for country participation in the review" OECD 2004

      25 Schwarz, S., "The institutional basis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0

      26 Cooper, J. H., "Special problems of the professor of higher education" 4 (4): 25-32, 1980

      27 Tight, M.,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An a-theoretical community of practice?" 23 (23): 395-411, 2004

      28 Quay, R. H.,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A guide to source bibliographies"

      29 Altbach, P. G., "Higher education: A worldwide inventory of centers and programs" The Oryx Press 2001

      30 Budd, J. H., "Higher education literature : Characteristics of citation patterns" 61 (61): 84-97, 1990

      31 Dressel, P. L., "Higher education as a field of study: The emergence of a profession" Jossey-Bass Publishers 1974

      32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Collier Books 1938

      33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The Macmillan Company 1916

      34 Teichler, U., "Comparative higher education : potentials and limits" 32 : 431-465, 1996

      35 Ben-David, J., "Centers of learning: Britain, France, Germany, United States" Mcgraw-Hill Bool Company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