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체육단체 직원의 인권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단체 직원이 인식하는 인권침해 사례와 인권침해 요인,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81366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3-295(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체육단체 직원의 인권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단체 직원이 인식하는 인권침해 사례와 인권침해 요인,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
이 연구는 체육단체 직원의 인권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단체 직원이 인식하는 인권침해 사례와 인권침해 요인,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현재 체육단체에서 근무하는 직원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체육단체 직원이 인식하는 인권침해 유형으로는 ‘상급자의 부당한 업무지시 및 갑질’, ‘과도한 업무 시간 및 내용’, ‘성 역할에 따른 업무 분담’, 체육단체 직원이 인식하는 인권침해 요인으로는 ‘선수중심의 스포츠인권보호’, ‘상명하복식 구조의 조직문화’, ‘인권침해 신고 및 상담체계 부재’, 체육단체 직원이 인식하는스포츠인권 보호에 대한 요구로는 ‘자율성 보장’, ‘근무여건 보장’,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시스템 마련’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employees of sports organiz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factor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employees of sports organiz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factor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eight employees who have worked in sports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individu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cluded 'inappropriate behavior and abuse of power by seniors', 'excessive work', and 'differentiation of work based on gender roles'; the factors of human rights violations contained 'athlete-focused sports human rights protection', 'organizational culture of top-down decision making', and 'lack of a system for reporting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counseling'; and the demands by sport organizations’ employees for sports human rights protection were 'guaranteeing autonomy', 'enhancing working conditions', and 'establishing a system to improve organizational culture'.
유니폼 규정의 윤리적 고찰(2): 퍼포먼스 치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