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양가적 정동을 통해 본 학술장의 변화―국내 박사과정생의 초점집단인터뷰(FGI)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Academic Field through the Ambivalent Affect of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Korean Doctora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8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ambivalent affect that doctoral students in South Korea have on the academic field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field,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22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domestic doctoral students. Through this, the paper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fund support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interests of doctora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South Korea. Rather than devaluing the knowledge produced within the academic field and internalizing ridicule and pity towards doctora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GI participants trusted and affirmed their value as researchers and thus contribu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academic field by temporarily denying some of the things that did not conform to academic values. The ambivalent affect was evident when doctoral students felt pleasure from participating i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in the academic field, but at the same time felt displeasur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me of the older generation, which fueled predictions of changes with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Doctoral students felt pleasure in the interests of knowledge with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and expressed critical opinions to gain recognition for the value of researchers working in the field that is not included in the academic world centered on professors. Doctoral students felt displeasure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for mutual evaluation among researchers in Korea. FGI participants called for academic policies that support and evaluate not only the publication of papers, but also the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data, and various gatherings and activities based on academic research, to increase the pleasure and decrease the displeasure they felt in competing and collaborating with established researchers when producing new knowledge 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ambivalent affect that doctoral students in South Korea have on the academic field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field,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22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domestic doctoral students....

      This paper analyzes the ambivalent affect that doctoral students in South Korea have on the academic field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field,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22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domestic doctoral students. Through this, the paper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fund support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interests of doctora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South Korea. Rather than devaluing the knowledge produced within the academic field and internalizing ridicule and pity towards doctora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GI participants trusted and affirmed their value as researchers and thus contribu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academic field by temporarily denying some of the things that did not conform to academic values. The ambivalent affect was evident when doctoral students felt pleasure from participating i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in the academic field, but at the same time felt displeasur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me of the older generation, which fueled predictions of changes with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Doctoral students felt pleasure in the interests of knowledge with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and expressed critical opinions to gain recognition for the value of researchers working in the field that is not included in the academic world centered on professors. Doctoral students felt displeasure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for mutual evaluation among researchers in Korea. FGI participants called for academic policies that support and evaluate not only the publication of papers, but also the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data, and various gatherings and activities based on academic research, to increase the pleasure and decrease the displeasure they felt in competing and collaborating with established researchers when producing new knowledge 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국내 박사과정생 대상 2022년도 초점집단인터뷰(FGI) 자료를 활용해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가 학술장에 대해 갖는 양가적 정동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장에 참여하는 박사과정생이 연구자로서 지닌 이해관심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 및 평가 방식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학술장의 변화 가능성을 제안한다. FGI 참여자들은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생을 향한 조롱과 동정을 내면화하며 국내 학술장에서 생산되는 지식의 가치를 부정하는 대신에, 연구자로서 자신의 가치를 신뢰하며 긍정하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 일부에 대해 일시적으로 부정하며 학술장의 재생산에 기여하고 있었다. 양가적 정동은 박사과정생이 학술장의 협력과 경쟁 관계에 참여해 쾌감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함께 어울리는 일부 기성세대와의 관계에서 불쾌감을 느끼며 나타난 것으로 국내 학술장의 변화를 예측하게 했다. 박사과정생들은 국내 학술장의 지식 생산이라는 이해관심에서 쾌감을 느끼고, 교수 집단 중심의 학계로 포괄되지 않는 학술장에서 연구자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일부 비판적 의견을 제시했다. 박사과정생은 국내에서는 연구자들끼리의 상호 평가가 인정되지 않기에 불쾌감을 느꼈다. FGI 참여자들은 국내 학술장에서 새로운 지식을 생산했을 때 학문 기성세대의 연구자들과 경쟁, 협력하며 느낀 쾌감을 높이고 불쾌감을 줄이는 방향으로 논문 게재뿐 아니라 자료 수집과 정리, 학술연구에 기반한 다양한 모임, 활동 등을 지원하고 평가하는 학술 정책을 요구했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국내 박사과정생 대상 2022년도 초점집단인터뷰(FGI) 자료를 활용해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가 학술장에 대해 갖는 양가적 정동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장에 참...

      이 논문에서는 국내 박사과정생 대상 2022년도 초점집단인터뷰(FGI) 자료를 활용해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가 학술장에 대해 갖는 양가적 정동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장에 참여하는 박사과정생이 연구자로서 지닌 이해관심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 및 평가 방식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학술장의 변화 가능성을 제안한다. FGI 참여자들은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생을 향한 조롱과 동정을 내면화하며 국내 학술장에서 생산되는 지식의 가치를 부정하는 대신에, 연구자로서 자신의 가치를 신뢰하며 긍정하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 일부에 대해 일시적으로 부정하며 학술장의 재생산에 기여하고 있었다. 양가적 정동은 박사과정생이 학술장의 협력과 경쟁 관계에 참여해 쾌감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함께 어울리는 일부 기성세대와의 관계에서 불쾌감을 느끼며 나타난 것으로 국내 학술장의 변화를 예측하게 했다. 박사과정생들은 국내 학술장의 지식 생산이라는 이해관심에서 쾌감을 느끼고, 교수 집단 중심의 학계로 포괄되지 않는 학술장에서 연구자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일부 비판적 의견을 제시했다. 박사과정생은 국내에서는 연구자들끼리의 상호 평가가 인정되지 않기에 불쾌감을 느꼈다. FGI 참여자들은 국내 학술장에서 새로운 지식을 생산했을 때 학문 기성세대의 연구자들과 경쟁, 협력하며 느낀 쾌감을 높이고 불쾌감을 줄이는 방향으로 논문 게재뿐 아니라 자료 수집과 정리, 학술연구에 기반한 다양한 모임, 활동 등을 지원하고 평가하는 학술 정책을 요구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덕구, "현행 인문사회 학술정책에 대한 학문후속세대의 언어와 인식 -‘신 포도’, ‘탈(脫) 대학’, ‘해야만 하는 이야기’-" 동아시아문화연구소 (92) : 167-194, 2023

      2 강수영, "한국에서 박사하기" 스리체어스 2022

      3 김귀옥, "학문절벽의 시대, 비정규직 연구자의 안정화 방안 모색을 위한 실태조사" 한국학중앙연구원 41 (41): 39-75, 2018

      4 김영순, "질적연구의 즐거움" 창지사 2018

      5 프로이트(Sigmund Freud),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03

      6 그레그, 시그워스, "정동이론" 갈무리 2015

      7 김종갑, "입장의 결핍과 논문의 과잉: 논문 쓰기의 문제" 신영어영문학회 (34) : 43-68, 2006

      8 진일상, "인문학 학문후속세대의 지위 안정을 위한 정책개발"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08

      9 김승정, "인문사회과학 전공 박사과정생의 학문적 정체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317-345, 2017

      10 김성익, "연구자의 탄생" 돌베개 2022

      1 홍덕구, "현행 인문사회 학술정책에 대한 학문후속세대의 언어와 인식 -‘신 포도’, ‘탈(脫) 대학’, ‘해야만 하는 이야기’-" 동아시아문화연구소 (92) : 167-194, 2023

      2 강수영, "한국에서 박사하기" 스리체어스 2022

      3 김귀옥, "학문절벽의 시대, 비정규직 연구자의 안정화 방안 모색을 위한 실태조사" 한국학중앙연구원 41 (41): 39-75, 2018

      4 김영순, "질적연구의 즐거움" 창지사 2018

      5 프로이트(Sigmund Freud),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03

      6 그레그, 시그워스, "정동이론" 갈무리 2015

      7 김종갑, "입장의 결핍과 논문의 과잉: 논문 쓰기의 문제" 신영어영문학회 (34) : 43-68, 2006

      8 진일상, "인문학 학문후속세대의 지위 안정을 위한 정책개발"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08

      9 김승정, "인문사회과학 전공 박사과정생의 학문적 정체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317-345, 2017

      10 김성익, "연구자의 탄생" 돌베개 2022

      11 정수복, "역사사회학의 계보학-한국 사회학의 지성사4" 푸른역사 2022

      12 부르디외(Pierre Bourdieu), "아노미의 제도화: 19세기 프랑스 미술계에서의 상징혁명" 5 : 77-102, 2012

      13 천정환, "신자유주의 대학체제의 평가제도와 글쓰기" 역사문제연구소 (92) : 185-209, 2010

      14 부르디외, 바캉, "성찰적사회학으로의 초대: 부르디외 사유의 지평" 그린비 2015

      15 허유성, "박사자격시험 없애고 300페이지 ‘포트폴리오’를 만든 이유"

      16 드만(Paul De Man), "독서의 알레고리" 문학과지성사 2010

      17 니체(Friedrich Nietzsche), "도덕의 계보" 아카넷 2021

      18 김명진 ; 배관표, "대학원 재정지원 사업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재정수혜가 인력양성 성과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3 (33): 289-306, 2022

      19 이정미, "대학원 교육 운영 실태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20 심은비 ; 오헌석, "대학교수의 학문열정 형성과정 연구: 이공계열 대학교수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0 (20): 719-743, 2019

      21 Ahmed, Sara.,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 Routledge 2004

      22 김인수, ""인문, 사회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연구력 강화를 위한 실태조사 및"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