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생의 연구력과 연구 네트워크 = Research Power and Research Network of Doctoral Stud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ctoral stud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striving to establish their identity by reflecting on their pride and pressure as researchers, contemplating new research, and acquiring the ability to continuously plan and carry out research, in order to become outstanding researchers. For Doctoral students, their identity as researchers is closely related to their research abilities, and writing can be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for enhancing their research capabilities. In the graduate programs in Korea,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systematic support for writing as it is currently not well-established. Furthermore,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academic papers,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the grading system for “thesis research” credits in graduate programs. To support Doctoral students in their continuous research, economic measures need to be put in place so that they can receive financial support as “independent researchers.” Recognizing and supporting Doctoral students as independent researchers can provide them with a stable research environment and expand the recognition of researchers in society. The academic community of researchers, or “research network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hancing research capabilities and creating a supportive research environment through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Research networks are a source for the research environment to continue, and should be activated as the most basic roots that make up the research ecosystem. The support for the activation of the research network should be judged by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research, not by the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rights. In order to expand the research network, it is necessary to form a platform to share the network. In particular, the platform connection will be a way to overcome the academic network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번역하기

      Doctoral stud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striving to establish their identity by reflecting on their pride and pressure as researchers, contemplating new research, and acquiring the ability to continuously plan and carry out research, i...

      Doctoral stud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striving to establish their identity by reflecting on their pride and pressure as researchers, contemplating new research, and acquiring the ability to continuously plan and carry out research, in order to become outstanding researchers. For Doctoral students, their identity as researchers is closely related to their research abilities, and writing can be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for enhancing their research capabilities. In the graduate programs in Korea,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systematic support for writing as it is currently not well-established. Furthermore,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academic papers,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the grading system for “thesis research” credits in graduate programs. To support Doctoral students in their continuous research, economic measures need to be put in place so that they can receive financial support as “independent researchers.” Recognizing and supporting Doctoral students as independent researchers can provide them with a stable research environment and expand the recognition of researchers in society. The academic community of researchers, or “research network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hancing research capabilities and creating a supportive research environment through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Research networks are a source for the research environment to continue, and should be activated as the most basic roots that make up the research ecosystem. The support for the activation of the research network should be judged by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research, not by the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rights. In order to expand the research network, it is necessary to form a platform to share the network. In particular, the platform connection will be a way to overcome the academic network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생들은 연구자로서의 자긍심과 부담감, 새로운 연구에 대한 고민, 지속적으로 연구를 기획하고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연구자가 되기 위하여 고민하면서,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고 있다. 박사과정생들에게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은 연구력과도 연관되어 있으며, 연구력 강화를 위한 기본은 ‘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대학원 과정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논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논문연구’ 학점에 대한 제도적 개선도 이루어져야 한다. 박사과정생들의 지속적인 연구를 위하여 이들이 ‘독립 연구자’로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경제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박사과정생의 독립 연구자 인정과 지원은 과정생들에게는 안정적인 연구 환경 조성이라는 긍정적인 면을, 사회적으로는 연구자의 저변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연구자 간 학문 공동체인 ‘연구 네트워크’는 지적인 자극과 정서적인 안정으로 연구력과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연구 네트워크는 연구 환경이 지속될 수 있는 원천이며, 연구 생태계를 구성하는 기본 뿌리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연구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지원은 제도권과 비제도권으로 나누지 않고, 연구의 목적과 취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연구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플랫폼 형성이 요구된다. 특히, 플랫폼 연결은 수도권으로 편중된 학문 네트워크 극복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생들은 연구자로서의 자긍심과 부담감, 새로운 연구에 대한 고민, 지속적으로 연구를 기획하고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연구자가 되기 위하여 고민하면서, 연구...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생들은 연구자로서의 자긍심과 부담감, 새로운 연구에 대한 고민, 지속적으로 연구를 기획하고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연구자가 되기 위하여 고민하면서,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고 있다. 박사과정생들에게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은 연구력과도 연관되어 있으며, 연구력 강화를 위한 기본은 ‘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대학원 과정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논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논문연구’ 학점에 대한 제도적 개선도 이루어져야 한다. 박사과정생들의 지속적인 연구를 위하여 이들이 ‘독립 연구자’로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경제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박사과정생의 독립 연구자 인정과 지원은 과정생들에게는 안정적인 연구 환경 조성이라는 긍정적인 면을, 사회적으로는 연구자의 저변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연구자 간 학문 공동체인 ‘연구 네트워크’는 지적인 자극과 정서적인 안정으로 연구력과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연구 네트워크는 연구 환경이 지속될 수 있는 원천이며, 연구 생태계를 구성하는 기본 뿌리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연구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지원은 제도권과 비제도권으로 나누지 않고, 연구의 목적과 취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연구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플랫폼 형성이 요구된다. 특히, 플랫폼 연결은 수도권으로 편중된 학문 네트워크 극복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인태, "인문학술 데이터 프로세싱에 관한 시론" 한국학중앙연구원 45 (45): 125-168, 2022

      2 진일상, "인문학 분야 기초연구인력 양성현황 및 질적 제고 방안"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09

      3 배성인, "인문사회계열 비정규직 교수들의 ‘연구안전망’을 위한 한국연구재단 지원사업" 비판사회학회 (121) : 109-136, 2019

      4 김인수, "인문, 사회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연구력 강화를 위한 실태조사 및 과제 : 박사과정생을중심으로"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22

      5 울산과학대학, "의학전공자의 국내외 진출 및 연구력 실태 조사 연구" 한국과학재단 150-165, 2003

      6 김인숙 ; 양은배, "의과대학 연구력 향상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연구 활성화 요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7 (17): 69-77, 2015

      7 류준형 ; 윤경애, "위키(WIKI) 플랫폼을 활용한 인문학 교과목의 교육 방법 모색 - 역사, 문화 강좌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4 (34): 581-606, 2022

      8 정충기, "우리나라 토목공학 연구력 발전을 위한 제언" 56 (56): 7-8, 2008

      9 하경자, "미래 100년을 위한 한국기상학계의 미래발전 방향과 연구력의발전 방안" 358-359, 2016

      10 이정미, "대학원 교육 운영 실태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1 유인태, "인문학술 데이터 프로세싱에 관한 시론" 한국학중앙연구원 45 (45): 125-168, 2022

      2 진일상, "인문학 분야 기초연구인력 양성현황 및 질적 제고 방안"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09

      3 배성인, "인문사회계열 비정규직 교수들의 ‘연구안전망’을 위한 한국연구재단 지원사업" 비판사회학회 (121) : 109-136, 2019

      4 김인수, "인문, 사회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연구력 강화를 위한 실태조사 및 과제 : 박사과정생을중심으로"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22

      5 울산과학대학, "의학전공자의 국내외 진출 및 연구력 실태 조사 연구" 한국과학재단 150-165, 2003

      6 김인숙 ; 양은배, "의과대학 연구력 향상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연구 활성화 요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7 (17): 69-77, 2015

      7 류준형 ; 윤경애, "위키(WIKI) 플랫폼을 활용한 인문학 교과목의 교육 방법 모색 - 역사, 문화 강좌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4 (34): 581-606, 2022

      8 정충기, "우리나라 토목공학 연구력 발전을 위한 제언" 56 (56): 7-8, 2008

      9 하경자, "미래 100년을 위한 한국기상학계의 미래발전 방향과 연구력의발전 방안" 358-359, 2016

      10 이정미, "대학원 교육 운영 실태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