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 현상으로서의 그로테스크: 그로테스크 예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Grotesque as Social Phenomena: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the Grotesque A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8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Renaissance, Grotesque,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artistic trends, has recently emerged as a bizarre behavior that defies conventions or customs of a society beyond the world of arts. Unusual acts have existed at any time. However, today, when innovation or transformation is called upon as a mission of the times, the acts that are considered a sig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existing order and a sign of a sense of escape are encouraging the move to a “grotesque society.” Depending on Pierre Bourdieu’s field theory, this article establishes an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grotesque as social phenomena, and discusses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of grotesque social phenomena that are spreading in our society, focusing on the case of “Mukbang(eating show).” It also detects the path and effect of the grotesque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roperties of social grotesque and artistic grotesque in light of the cases of Daniel Spoerri’s ‘Eat Art’ and Julia Ducournau’s film ‘Titane.’ From this comparative case study based on the social aesthetics and practical arts approach, it is turned out that grotesque art is always open to extend to social grotesque via the power of empathy, while grotesque as a social representation cannot maintain its vitality without the artistic representation of grotesque by way of critical awakening of the existing order.
      번역하기

      Since the Renaissance, Grotesque,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artistic trends, has recently emerged as a bizarre behavior that defies conventions or customs of a society beyond the world of arts. Unusual acts have existed at any time. Howe...

      Since the Renaissance, Grotesque,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artistic trends, has recently emerged as a bizarre behavior that defies conventions or customs of a society beyond the world of arts. Unusual acts have existed at any time. However, today, when innovation or transformation is called upon as a mission of the times, the acts that are considered a sig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existing order and a sign of a sense of escape are encouraging the move to a “grotesque society.” Depending on Pierre Bourdieu’s field theory, this article establishes an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grotesque as social phenomena, and discusses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of grotesque social phenomena that are spreading in our society, focusing on the case of “Mukbang(eating show).” It also detects the path and effect of the grotesque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roperties of social grotesque and artistic grotesque in light of the cases of Daniel Spoerri’s ‘Eat Art’ and Julia Ducournau’s film ‘Titane.’ From this comparative case study based on the social aesthetics and practical arts approach, it is turned out that grotesque art is always open to extend to social grotesque via the power of empathy, while grotesque as a social representation cannot maintain its vitality without the artistic representation of grotesque by way of critical awakening of the existing ord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르네상스시대 이후 예술적 흐름의 하나로 지각된 그로테스크는 최근 예술계를 넘어선 일반 사회에서도 통념이나 관례를 벗어난 엽기적 행동으로 발현하고 있다. 별난 행위들은 어느 시대나 상존해 왔다. 하지만 혁신이나 변혁이 시대적 소임으로 회자되는 오늘날 기존 질서에 대한 불만의 표징이자 탈주 의식의 발로로 여겨지는 기행들이 ‘그로테스크 사회’로의 행보를 부추기고 있다. 이 글에서는 피에르 부르디외의 장이론을 원용해 사회적 표상으로서의 그로테스크에 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분석틀을 정립한 후, 최근 우리 사회에 확산되어가는 그로테스크 사회 현상의 기원, 특성 및 결과를 ‘먹방’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또 다니엘 스포에리의 ‘이트 아트’ 및 쥘리아 뒤쿠르노 감독의 영화 <티탄>을 사례로 사회적 그로테스크와 예술적 그로테스트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해 그로테스크의 행로와 효과를 탐지한다. 사회미학 및 실천예술론적 관점에 의거한 비교연구 결과, 그로테스크 예술은 공감을 통해 사회적 그로테스크로 뻗어나갈 수 있는 확장성을 상시적으로 발휘하나, 사회적 표상으로서의 그로테스크는 기존 질서에 대한 비판적 각성을 통한 예술적 그로테스크로 환생함으로써 지속적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번역하기

      르네상스시대 이후 예술적 흐름의 하나로 지각된 그로테스크는 최근 예술계를 넘어선 일반 사회에서도 통념이나 관례를 벗어난 엽기적 행동으로 발현하고 있다. 별난 행위들은 어느 시대나...

      르네상스시대 이후 예술적 흐름의 하나로 지각된 그로테스크는 최근 예술계를 넘어선 일반 사회에서도 통념이나 관례를 벗어난 엽기적 행동으로 발현하고 있다. 별난 행위들은 어느 시대나 상존해 왔다. 하지만 혁신이나 변혁이 시대적 소임으로 회자되는 오늘날 기존 질서에 대한 불만의 표징이자 탈주 의식의 발로로 여겨지는 기행들이 ‘그로테스크 사회’로의 행보를 부추기고 있다. 이 글에서는 피에르 부르디외의 장이론을 원용해 사회적 표상으로서의 그로테스크에 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분석틀을 정립한 후, 최근 우리 사회에 확산되어가는 그로테스크 사회 현상의 기원, 특성 및 결과를 ‘먹방’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또 다니엘 스포에리의 ‘이트 아트’ 및 쥘리아 뒤쿠르노 감독의 영화 <티탄>을 사례로 사회적 그로테스크와 예술적 그로테스트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해 그로테스크의 행로와 효과를 탐지한다. 사회미학 및 실천예술론적 관점에 의거한 비교연구 결과, 그로테스크 예술은 공감을 통해 사회적 그로테스크로 뻗어나갈 수 있는 확장성을 상시적으로 발휘하나, 사회적 표상으로서의 그로테스크는 기존 질서에 대한 비판적 각성을 통한 예술적 그로테스크로 환생함으로써 지속적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인, "한국인들이 먹방(mukbang)에 열광하는 이유는?"

      2 LOL.MOUM.KR, "한국 미국 영국 대표먹방"

      3 양소연, "포스트디지털과 미학적 실천론 : 도시 예술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22

      4 칸트(Immanuel Kant),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5 "클로이 자오(Chloé Zhao) 감독의 영화 <노매드랜드(Nomadland)>"

      6 가타리(Felix Guattari), "카오스모제" 동문선 2003

      7 에코(Umberto Eco), "추의 역사" 열린책들 2008

      8 들뢰즈, 가타리(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9

      9 들뢰즈, 가타리,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10 "쥘리아 뒤쿠르노(Julia Ducournau) 감독의 영화 <티탄(Titane)>"

      1 김혜인, "한국인들이 먹방(mukbang)에 열광하는 이유는?"

      2 LOL.MOUM.KR, "한국 미국 영국 대표먹방"

      3 양소연, "포스트디지털과 미학적 실천론 : 도시 예술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22

      4 칸트(Immanuel Kant),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5 "클로이 자오(Chloé Zhao) 감독의 영화 <노매드랜드(Nomadland)>"

      6 가타리(Felix Guattari), "카오스모제" 동문선 2003

      7 에코(Umberto Eco), "추의 역사" 열린책들 2008

      8 들뢰즈, 가타리(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9

      9 들뢰즈, 가타리,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10 "쥘리아 뒤쿠르노(Julia Ducournau) 감독의 영화 <티탄(Titane)>"

      11 "주성치(周星馳), 이력지(李力持) 공동감독 영화 <식신(食神)>"

      12 고프만(Erving Goffman), "자아 연출의 사회학: 일상이라는 무대에서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현암사 2016

      13 김문조, "융합문명론: 분석의 시대에서 종합의 시대로" 나남 2013

      14 그라스(Günter Grass), "양철북" 을유문화사 1979

      15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 "악의 꽃" 민음사 1974

      16 한현우, "아침이슬’ 50주년… 김민기는 여전히 아무 말도 없을 것이다"

      17 김우창, "심미적 이성의 탐구" 솔 1992

      18 디오니소스, "시카고 플랜 위대한 고전: 삼류를 일류로 만든 인문학프로젝트" 다반 2019

      19 부르디외(Pierre Bourdieu),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새물결 1995

      20 콜린스(Randall Collins), "사회적 삶의 에너지: 상호작용 의례의 사슬" 한울아카데미 2009

      21 김문조, "사회미학으로서의 그로테스크: 영화 <기생충> 사례를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4 (24): 35-65, 2021

      22 카이저(Wolfgang Kayser),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아모르문디 2019

      23 소바냐르그(Anne Sauvagnargues), "들뢰즈와 예술" 열화당 2009

      24 벤야민(Walter Benjamin), "도시의 산책자" 새물결 2008

      25 와일드(Oscar Wilde),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열린책들 2010

      26 스미스(Adam Smith), "도덕감정론" 비봉출판사 2009

      27 이윤정, "다니엘 스포에리(Daniel Spoerri)의 ‘이트 아트(Eat Art)’에 나타난 일상성의 미학" 미술사학연구회 (26) : 237-262, 2006

      28 "노라 에프런 감독의 영화 (줄리 & 줄리아(Julie & Julia)>"

      29 카네티(Elias Carnetti), "군중과 권력" 바다출판사 2010

      30 푸코(Michel Foucault), "광기의 역사" 나남 2003

      31 부르디외(Pierre Bourdieu), "과학의 사회적 사용" 창비 2002

      32 리프킨(Jeremy Rifkin),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33 듀이(John Dewey),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34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 "감성의 분할" 도서출판 2008

      35 "가브리엘 악셀(Gabriel Axel) 감독의 영화 <바베트의 만찬(Babette’s Feast)>"

      36 라블레(François Rabelais),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한국헤르만헤세 2017

      37 김태훈, "[만물상] ‘아침이슬’ 50년"

      38 Witcombe, C, "Venus of Willendorf: Art History & Image Studies — Essay 1"

      39 Insoll, T., "The Oxford Handbook of Prehistoric Figurin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40 CNN, "South Korea’s online trend: Paying to watch a pretty girl eat"

      41 Moreno, J. L., "Sociometry, Experimental Method and the Science of Society: An Approach to a New Political Orientation" Beacon House 1951

      42 인코돔, "Metabolic Pathway"

      43 Foucault, Michel., "Madness and Civilization: A History of Insanity in the Age of Reason" Routledge Classics 2001

      44 OED(Online Etymology Dictionary)., "Grotesque"

      45 Levin, Kurt,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Harper 1951

      46 Vischer, R., "Empathy, Form. and Space. Problems in German Aesthetics, 1873-1893" Getty Center for the History of Art and the Humanities 89-123, 1893

      47 Ulmer Museum, "Die Rückkehr des Löwenmenschen. Geschichte - Mythos - Magie"

      48 Spoerri, D., "Daniel Spoerri: Eat Art in Transformation, Paperback" Silvana Editoriale 2016

      49 Hilgers, Mathieu., "Bourdieu’s Theory of Social Fields: Concepts and Applications" Routledge 1-3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