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익 지욱과 다산 정약용의 탈주자학적 『논어(論語)』 이해 -『논어점정(論語點睛)』과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를 통하여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13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논어』에 대해 주석한 『논어점정』과 『논어고금주』를 통하여, 중국과 한국 그리고 불교와 유학에서 탈주자학적 『논어』 이해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어점정』은 명말 청초의 대표적 불교사상가인 우익 지욱(藕益 智旭, 1599-1655)이 『논어』에 대해 주석한 저술이고, 『논어고금주』는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이 저술하였다. 『논어』는 공자와 제자들 간의 언행을 기록한 자료로서 수많은 주석서들이 역사 속에서 등장하였으며, 남송 시대 주희(朱熹)에 의하여 『논어집주(論語集註)』가 만들어진 이후로는 ‘성즉리(性卽理)’와 ‘리일분수(理一分殊)’를 근간으로 하는 성리학의 관점에 의하여 『논어』가 이해되어 왔다. 『논어』에 대한 성리학적 이해는 이후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사상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으며, 특히 조선시대 이후 한국유학에 미친 영향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주자학과 양명학의 등장으로 남송과 원 그리고 명대의 불교계는 사상적 열세에 몰렸으며, 지욱은 불교적 관점에서 유학 경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여 불교계의 회복을 꾀하고자 하였다. 『논어점정』은 선(禪)의 관점에서 『논어』에 대하여 주석한 저술이다. 한편 다산의 철학은 경학(經學)과 경세학(經世學)으로 체계화되었는데, 주자학을 탈피하고 공맹의 원래 의미를 복원함으로써 새롭게 유교경전을 해석하고 있다. 『논어고금주』는 다산의 탈주자학적 경학사상이 온전히 드러나고 있는 저술이다. 본고에서는 이 두 저술의 구성 체계와 중심 사상의 비교작업을 통하여 중국과 한국, 불교와 유학에 있어서 탈주자학적 『논어』 이해에 나타나는 특징과 동이점, 그리고 그것이 지니는 사상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논어』에 대해 주석한 『논어점정』과 『논어고금주』를 통하여, 중국과 한국 그리고 불교와 유학에서 탈주자학적 『논어』 이해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

      본고는 『논어』에 대해 주석한 『논어점정』과 『논어고금주』를 통하여, 중국과 한국 그리고 불교와 유학에서 탈주자학적 『논어』 이해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어점정』은 명말 청초의 대표적 불교사상가인 우익 지욱(藕益 智旭, 1599-1655)이 『논어』에 대해 주석한 저술이고, 『논어고금주』는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이 저술하였다. 『논어』는 공자와 제자들 간의 언행을 기록한 자료로서 수많은 주석서들이 역사 속에서 등장하였으며, 남송 시대 주희(朱熹)에 의하여 『논어집주(論語集註)』가 만들어진 이후로는 ‘성즉리(性卽理)’와 ‘리일분수(理一分殊)’를 근간으로 하는 성리학의 관점에 의하여 『논어』가 이해되어 왔다. 『논어』에 대한 성리학적 이해는 이후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사상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으며, 특히 조선시대 이후 한국유학에 미친 영향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주자학과 양명학의 등장으로 남송과 원 그리고 명대의 불교계는 사상적 열세에 몰렸으며, 지욱은 불교적 관점에서 유학 경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여 불교계의 회복을 꾀하고자 하였다. 『논어점정』은 선(禪)의 관점에서 『논어』에 대하여 주석한 저술이다. 한편 다산의 철학은 경학(經學)과 경세학(經世學)으로 체계화되었는데, 주자학을 탈피하고 공맹의 원래 의미를 복원함으로써 새롭게 유교경전을 해석하고 있다. 『논어고금주』는 다산의 탈주자학적 경학사상이 온전히 드러나고 있는 저술이다. 본고에서는 이 두 저술의 구성 체계와 중심 사상의 비교작업을 통하여 중국과 한국, 불교와 유학에 있어서 탈주자학적 『논어』 이해에 나타나는 특징과 동이점, 그리고 그것이 지니는 사상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Lúnyǔ(論語) with a viewpoint of post-neo-Confucianism in China and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Lúnyǔgǔjinzhù(論語古今註) and Lúnyǔdianjing(論語點睛). Lúnyǔgǔjinzhù is written by Dasan Jeongyakyong(茶山 丁若鏞, 1762-1836), a Confucian scholar integrating late Joseon Silhak and Lúnyǔdianjing(論語點睛) is written by Óuyi Zhixù(藕益 智旭, 1599-1655), a Budhist thinker in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y. Lúnyǔ(論語) is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is disciples. Lots of commentary on Lúnyǔ had been published through the history. Since Lúnyǔjízhù(論語集註) had been written by Zhuxi(朱熹), Lúnyǔ has been understood with a viewpoint of neo-Confucianism on the basis of ‘xìngjílǐ(性卽理)’ and ‘lǐyīfēnshū(理一分殊)’. That viewpoint has greatly influenced on the East Asian world of thought including China and Korea, especially the effect on Korean Confucianism was absolute after Joseon dynasty. The Buddhism was inferior to neo-Confucianism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王陽明) in Song, Yuan and Ming dynasty. So Zhixù(智旭) had written Lúnyǔdianjing(論語點睛) as a new commentary with communicative viewpoint with Buddhism and Confucianism to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Buddhism. While Dasan’s philosophy had been systematized with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of governing. He pursued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us and Mencius thought. He made a new translation on Confucian scriptures with the viewpoint away from neo-Confucianism. He entirely showed his thought about Confucian classics in his representative writing, Lúnyǔgǔjinzhù. In this paper, I tried to inquire into the meaning of thought history,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understanding Lúnyǔ with post-neo-Confucianism in China and Korea and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ystem of organization and the main concepts between Lúnyǔgǔjinzhù and Lúnyǔdianjing.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Lúnyǔ(論語) with a viewpoint of post-neo-Confucianism in China and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Lúnyǔgǔjinzhù(論語古今註) and Lúnyǔdianjing(論語點睛). Lúnyǔgǔjinzhù is w...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Lúnyǔ(論語) with a viewpoint of post-neo-Confucianism in China and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Lúnyǔgǔjinzhù(論語古今註) and Lúnyǔdianjing(論語點睛). Lúnyǔgǔjinzhù is written by Dasan Jeongyakyong(茶山 丁若鏞, 1762-1836), a Confucian scholar integrating late Joseon Silhak and Lúnyǔdianjing(論語點睛) is written by Óuyi Zhixù(藕益 智旭, 1599-1655), a Budhist thinker in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y. Lúnyǔ(論語) is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is disciples. Lots of commentary on Lúnyǔ had been published through the history. Since Lúnyǔjízhù(論語集註) had been written by Zhuxi(朱熹), Lúnyǔ has been understood with a viewpoint of neo-Confucianism on the basis of ‘xìngjílǐ(性卽理)’ and ‘lǐyīfēnshū(理一分殊)’. That viewpoint has greatly influenced on the East Asian world of thought including China and Korea, especially the effect on Korean Confucianism was absolute after Joseon dynasty. The Buddhism was inferior to neo-Confucianism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王陽明) in Song, Yuan and Ming dynasty. So Zhixù(智旭) had written Lúnyǔdianjing(論語點睛) as a new commentary with communicative viewpoint with Buddhism and Confucianism to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Buddhism. While Dasan’s philosophy had been systematized with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of governing. He pursued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us and Mencius thought. He made a new translation on Confucian scriptures with the viewpoint away from neo-Confucianism. He entirely showed his thought about Confucian classics in his representative writing, Lúnyǔgǔjinzhù. In this paper, I tried to inquire into the meaning of thought history,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understanding Lúnyǔ with post-neo-Confucianism in China and Korea and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ystem of organization and the main concepts between Lúnyǔgǔjinzhù and Lúnyǔdianj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논어점정』과 『논어고금주』의 구성
      • 1. 『논어점정』의 구성
      • 2. 『논어고금주』의 구성
      • 국문 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논어점정』과 『논어고금주』의 구성
      • 1. 『논어점정』의 구성
      • 2. 『논어고금주』의 구성
      • Ⅲ. 지욱과 다산의 탈주자학적 『논어』 해석
      • 1. 선학(禪學)의 관점을 견지한 지욱의 『논어』 해석
      • 2. 실학(實學)의 관점에 입각한 다산의 『논어』 해석
      • Ⅳ. 지욱과 다산의 『논어』 해석의동이점과 사상사적 의의
      • 1. 지욱과 다산의 『논어』 해석의 동이점
      • 2. 『논어점정』과 『논어고금주』의 사상사적 의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용철, "李卓吾(1527-1602)의 經世思想" 명청사학회 (18) : 33-64, 2003

      2 李勇, "良知與本覺-鄭齊斗與藕益智旭的心性論比較-" 한국양명학회 2008

      3 智旭, "論語點睛"

      4 朱熹, "論語集註"

      5 丁若鏞, "論語古今註"

      6 김미영, "주희의 불교관에 나타난 유불수행론의 경계" 불교학연구회 (창간) : 2000

      7 윤영해, "주자의 선불교비판 연구" 민족사 2000

      8 지욱, "주역선해" 한강수 2007

      9 하우봉, "정약용과 오규 소라이의 경학사상 비교연구" 다산학술문화재단 3 : 2002

      10 하우봉, "정약용丁若鏞과 다자이 슌다이[太宰春臺]의 『논어論語』 해석 비교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2) : 61-105, 2013

      1 신용철, "李卓吾(1527-1602)의 經世思想" 명청사학회 (18) : 33-64, 2003

      2 李勇, "良知與本覺-鄭齊斗與藕益智旭的心性論比較-" 한국양명학회 2008

      3 智旭, "論語點睛"

      4 朱熹, "論語集註"

      5 丁若鏞, "論語古今註"

      6 김미영, "주희의 불교관에 나타난 유불수행론의 경계" 불교학연구회 (창간) : 2000

      7 윤영해, "주자의 선불교비판 연구" 민족사 2000

      8 지욱, "주역선해" 한강수 2007

      9 하우봉, "정약용과 오규 소라이의 경학사상 비교연구" 다산학술문화재단 3 : 2002

      10 하우봉, "정약용丁若鏞과 다자이 슌다이[太宰春臺]의 『논어論語』 해석 비교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2) : 61-105, 2013

      11 정약용, "정본 여유당전서 3"

      12 이영호, "이탁오의 논어학과 명말 새로운 경학의 등장"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301-326, 2008

      13 이영호, "이탁오와 조선유학" 한국양명학회 (21) : 299-323, 2008

      14 이용수,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학관 비교" 한국실학학회 (22) : 109-145, 2011

      15 정약용, "역주 논어고금주 1-5" 사암 2010

      16 금장태, "불교의 유교경전 해석-憨山과 智旭의 四書禪解" 서울대 출판문화원 2006

      17 차이천펑, "다산의 사서학-동아시아의 관점에서" 너머북스 2015

      18 김영호, "다산의 논어해석 연구" 심산 2013

      19 임헌규, "다산의 『논어고금주』에서 仁과 恕" 동양고전연구소 (18) : 117-146, 2010

      20 이지형, "다산의 『논어고금주』에 대하 연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9 : 1994

      21 丁奎英, "다산시연구" 창작과비평사 1986

      22 박석무, "다산 정약용 평전" 민음사 2014

      23 정병련, "다산 사서학 연구" 경인문화사 1994

      24 한국철학사연구회, "다산 경학의 현대적 이해" 심산 2004

      25 박헌순, "논어집주 1-2" 한길사 2010

      26 김영호, "논어의 주석과 해석학" 문사철 2010

      27 금장태, "논문 : 지욱(智旭)의 불교적 『중용』해석" 종교문제연구소 (12) : 1-40, 2006

      28 금장태, "논문 : 다산의 『논어』해석에서 천명과 인격의 실현" 종교문제연구소 (11) : 15-51, 2005

      29 陳永革, "陽明學派與晩明佛敎"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9

      30 麻天祥, "晩明佛敎思想硏究"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9

      31 陳永革, "晩明佛敎思想硏究" 宗敎文化出版社 2007

      32 다산학술문화재단, "定本 與猶堂全書 8-9" 사암 2012

      33 시시핑, "宗密禪師的圓融思想對宋明佛教的影響" 한국선학회 (27) : 81-99, 2010

      34 정대영, "佛敎 觀點에서 본 茶山의 朱子 修養論 批判 硏究" 인문과학연구소 29 : 41-66, 2012

      35 김언종, "丁茶山의 朱子 『論語集註』 批判(6)" 한국한문교육학회 (33) : 437-466, 2009

      36 김언종, "丁茶山의 朱子 『論語集註』 批判 (5)丁茶山의 朱子 『論語集註』 批判 (5)"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297-328, 2003

      37 김언종, "丁茶山의 朱子 『論語集註』 批判 (4)" 민족어문학회 47 : 15-488, 2003

      38 김언종, "丁茶山의 朱子 『論語集注』 批判(7)"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73-506, 2014

      39 김언종, "丁茶山의 『論語集註』 批判 3" 한국중국학회 40 : 1999

      40 김언종, "丁茶山의 『論語集註』 批判 2"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31 : 1996

      41 김언종, "丁茶山의 『論語集註』 批判 1"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9 : 1996

      42 周元俠, "『논어집주』의 ‘集注’ 격식 및 그 의의" 한국국학진흥원 12 : 2013

      43 이영호, "『四書評』의 眞僞 논쟁과 이탁오의 경학" 한국양명학회 (25) : 45-75, 2010

      44 김영호, "<論語> 解釋에 나타난 茶山 丁若鏞 經學思想의 特性" 동양고전연구소 (21) : 327-35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