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자못> 전설과의 비교를 통해서 본 <장자풀이>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신화적 의미 = A Study on the Depiction of Characters and Mythical Significance in <Jangjapuli>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Jangjamo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8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mythic meaning through the depiction of characters in a shaman song, <Jangjapuli>. In this study, the song is compared with <Jangjamot> passed down as a myth in order to analyze mythic meaning of <Jangj...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mythic meaning through the depiction of characters in a shaman song, <Jangjapuli>. In this study, the song is compared with <Jangjamot> passed down as a myth in order to analyze mythic meaning of <Jangjapuli>. Narrative structure in the introduction is analogous between the two pieces. However, the two pieces proceed separatively toward different endings as a result of Daughter-in-law's choices concerning salvation for a monk.
      The difference is decisive factor for figuring out the meaning of <Jangjapuli>. Daughter-in-low in <Jangjapuli> is not just a facilitator. She foresees Jangja's death, practices hospitality to messengers of death, and overcomes critical situations with her wisdom. This Daughter-in-low's conduct could not be considered an ordinary person and is dissimilar to Daughter-in-low in <Jangjamot>.
      Nevertheless, Daughter-in-low in <Jangjapuli> is not considered divine and not assigned holy duty. That is because she behaves as a middleman at home, in demonstrating abilities and between God and hum ans. Especially, she arbitrates in disputes between God and humans by practicing hospitality to God and consoling humans who are in crisis of death. In addition, she behaves as a middleman consistently, as a result, she cannot be considered as divine. However, she is analogous to a shaman. She presents the sense of afterlife and builds a chamber for comforting humans by connecting with God. In this context, <Jangjapuli> generates its own mythological world view as a shaman song by the depiction of charact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oint of <Jangjapuli> is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death angels. The characteristics appear clear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angja as a human, Daughter-in-law as a middleman, and God as death ang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장자풀이>의 인물 형상화 방식을 통해 이 무가가 갖는 신화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장자풀이>가 갖는 신화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전설로 전승되는 <...

      본고는 <장자풀이>의 인물 형상화 방식을 통해 이 무가가 갖는 신화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장자풀이>가 갖는 신화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전설로 전승되는 <장자못>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장자못> 전설과 <장자풀이>는 초반부 서사를 거의 동일하게 가져간다. 하지만 도승의 구원 시도에 대한 며느리의 선택에서 두 작품은 엇갈리며 서로 다른 결말을 향해 달려가게 된다.
      이렇게 <장자풀이>가 초반부를 <장자못> 전설과 유사하게 가져가면서도 며느리의 선택을 통해 후반부를 다르게 가져가는 것은 작품이 갖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지점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단순한 조력자가 아니다. 장자의 죽음을 정확하게 예견하고, 굿을 열어 저승차사들을 대접하고, 다시 장자를 잡으러 온 차사들로 인한 위기를 지혜로써 극복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며느리의 모습은 범인으로 평가할 수 없는 모습으로, <장자못>의 며느리와도 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신으로 좌정하거나, 신직을 받는 인물이 아니다. 이렇게 <장자풀이>의 며느리가 신격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것은 그녀가 계속해서 ‘중간자’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며느리는 세 가지 층위, 바로 ‘집안 내에서’, ‘능력을 발휘함에서’, ‘인간과 신의 관계에서’ 중간자로 위치한다. 이러한 며느리의 위치는 인간과 신을 중재하는 인물로서 자리하기 때문에 중간자로 볼 수 있다. 죽음의 위기에 처한 인간을 위로하고, 인간에게 죽음을 내리는 신을 대접하여 양자 간의 상생을 이끌어내는 인물이 바로 며느리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계속해서 ‘중간자’로 존재하기 때문에 신격으로 좌정하지 못하는 존재이다. 하지만 이런 며느리의 모습은 신과 인간을 대리하고 중계하는 무당들의 모습과 닮아 있다. 무당들은 <장자풀이>의 며느리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투영하고, 무가 안에서 활약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저승에 대한 관념을 제시하고, 그 안에서 신과 연결될 수 있는 자신들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굿에 참여한 인간들을 위로 할 수 있는 지점들을 만들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장자풀이>는 며느리의 인물 형상화 방식을 통해 하나의 무가로서 갖는 신화적 세계관을 만들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장자풀이>는 장자도 며느리도 신이 아닌 존재가 된다. 이렇게 신이 아닌 등장인물들이 제시될 수 있는 것은 <장자풀이>가 갖는 가장 중요한 지점이 바로 ‘명관’들의 성격을 제시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즉, <장자풀이>의 중심은 바로 저승차사와 같은 명관들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장자 등에 초점을 맞춰 <장자풀이>의 신성성을 약하게 평가한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오히려 <장자풀이>는 인간인 장자, 중간자인 며느리, 신인 저승차사의 관계 속에서 명관들의 성격을 제시하는 무가로서의 기능을 명확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를 통해 장자, 며느리의 인물 특성이 보다 분명하게 제시됨으로써 <장자풀이>가 명관들의 성격을 풀어주는 무가로서의 성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혜숙, "한국민속문화사전 : 설화 2" 국립민속박물관 115-117, 2012

      2 김태곤, "한국무가집 3" 집문당 345-350, 1978

      3 조희웅, "한국구비문학대계 1-1" 한국학중앙연구원 259-262, 1980

      4 김헌선, "한국 홍수설화의 위상과 비교설화학적 의미" 국립민속박물관 (31) : 109-133, 2012

      5 서대석,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367-382, 2002

      6 홍태한, "한국 서사무가 연구" 민속원 103-120, 2002

      7 권태효, "한국 구전신화의 세계" 지식산업사 49-97, 2005

      8 최래옥, "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일조각 1-441, 1981

      9 최원오, "차사본풀이 유형 무가의 구조와 의미" 한국민속학회 29 : 223-246, 1997

      10 임석재, "줄포무악" 문화재관리국 501-536, 1970

      1 천혜숙, "한국민속문화사전 : 설화 2" 국립민속박물관 115-117, 2012

      2 김태곤, "한국무가집 3" 집문당 345-350, 1978

      3 조희웅, "한국구비문학대계 1-1" 한국학중앙연구원 259-262, 1980

      4 김헌선, "한국 홍수설화의 위상과 비교설화학적 의미" 국립민속박물관 (31) : 109-133, 2012

      5 서대석,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367-382, 2002

      6 홍태한, "한국 서사무가 연구" 민속원 103-120, 2002

      7 권태효, "한국 구전신화의 세계" 지식산업사 49-97, 2005

      8 최래옥, "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일조각 1-441, 1981

      9 최원오, "차사본풀이 유형 무가의 구조와 의미" 한국민속학회 29 : 223-246, 1997

      10 임석재, "줄포무악" 문화재관리국 501-536, 1970

      11 현용준, "제주도무속연구" 집문당 156-, 1986

      12 장주근, "제주도 서사무가(본풀이) 전승의 현장연구" 제주도연구회 11 : 7-39, 1994

      13 김형근, "제주도 <맹감본풀이(사만이본풀이)>의 구조와 의미" 탐라문화연구원 (36) : 111-145, 2010

      14 심우장, "전설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 <장자못> 전설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30) : 327-360, 2014

      15 박현국, "장자풀이 무가 고찰" 비교민속학회 14 : 159-188, 1997

      16 신연우, "장자못 전설의 신화적 이해" 열상고전연구회 13 : 149-168, 2000

      17 오정미, "장자못 설화 연구 - 여성의 ‘돌아봄’의 의미를 중심으로 -" 국어문학회 60 (60): 143-167, 2015

      18 조너선 스미스, "자리 잡기 : 의례 내의 이론을 찾아서" 이학사 212-, 2009

      19 신동흔, "설화의 금기화소에 담긴 세계인식의 층위" 비교민속학회 (33) : 417-446, 2007

      20 정제호, "서사무가에 나타난 <왕랑반혼전> 수용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41) : 145-175, 2016

      21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민속원 90-120, 1998

      22 정충성, "서사무가 〈장자풀이〉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3 송미경, "사령형(使令型) 인물의 형상화 양상 및 전형성" 한국구비문학회 (32) : 309-350, 2011

      24 권태효, "무속신화에 나타난 죽음 인도신, 저승차사의 인물 형상화 양상" 일본연구소 46 : 125-154, 2015

      25 이경엽, "무가문학 연구" 박이정 1-384, 1998

      26 이지영, "남도민속학의 진전" 태학사 865-896, 1998

      27 김선자, "금기와 위반의 심리적 의미에 관한 고찰 : 장자못 전설과 함호(陷湖) 전설을 대상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11 : 1-33, 1999

      28 강진옥, "구전설화 유형군의 존재양상과 의미층위" 이화여자대학교 1986

      29 장덕순, "구비문학 개설" 일조각 42-, 2006

      30 朴性錫, "韓國 巫歌의 戱曲的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1

      31 千惠淑, "傳說의 神話的 性格에 관한 硏究" 계명대학교 대학원 1987

      32 이주영, "代命型 서사무가들의 이본 간 관계 및구조 결정 요인" 한국구비문학회 (31) : 369-402, 2010

      33 유선영, "<장자풀이>의 현세 지향적 성격" 희대학교 대학원 46 : 53-74, 2010

      34 신호림, "<장자풀이>의 서사적 지향과 제의적 의미" 81-92, 2016

      35 김혜정, "<장자못 전설>의 전파력 연구 -<돌부처 눈 붉어지면 침몰하는 마을> 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28) : 273-301, 2009

      36 이지영, "<왕랑반혼전>의 무속적 연원에 관한 시고" 한국고소설학회 5 : 333-366,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