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빈곤가족 건강의 설명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The factors explaining the health of families in poverty: An exploratory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2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poverty persists, the health of poor families suffers. Although health is considered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efforts and self-support programs to be effective in assisting the families move above the poverty lin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health problem of families in poverty to this date. To call attention to the health problem of families in poverty,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explain their health condition in terms of individual, familial,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Main findings that resulted from a survey of 332 adults residing in poor communities of four different areas in Seoul are as follows: 1) The current health condition of the respondent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the model consisting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full model of the three domains of the family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respondent's current health condition was well explained by last year's health condition,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length of the families' residence in the community. 2) The variance of the family's health condition was largely explained by the model that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familial domains. Three variables, in specific, were effective in explaining the family's health condition; the respondent's health condition, presence/absence of the spouse, and presence/absence of a sick member in the family.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health of poor families tends to be worsen as the poverty becomes chronic, thus needing assertive preventive approach and intervention. Implications for both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importance of dual intervention not only to ameliorate the health problems of individual members of poor families but also to improve the community living condition.
      번역하기

      As poverty persists, the health of poor families suffers. Although health is considered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efforts and self-support programs to be effective in assisting the families move above the poverty line...

      As poverty persists, the health of poor families suffers. Although health is considered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efforts and self-support programs to be effective in assisting the families move above the poverty lin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health problem of families in poverty to this date. To call attention to the health problem of families in poverty,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explain their health condition in terms of individual, familial,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Main findings that resulted from a survey of 332 adults residing in poor communities of four different areas in Seoul are as follows: 1) The current health condition of the respondent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the model consisting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full model of the three domains of the family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respondent's current health condition was well explained by last year's health condition,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length of the families' residence in the community. 2) The variance of the family's health condition was largely explained by the model that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familial domains. Three variables, in specific, were effective in explaining the family's health condition; the respondent's health condition, presence/absence of the spouse, and presence/absence of a sick member in the family.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health of poor families tends to be worsen as the poverty becomes chronic, thus needing assertive preventive approach and intervention. Implications for both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importance of dual intervention not only to ameliorate the health problems of individual members of poor families but also to improve the community living cond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빈곤가족의 건강은 빈곤이 만성화되면서 악화 일로에 서게 된다. 빈곤가족의 건강은 생활수준을 빈곤선 이상으로 향상시키려는 제도적 노력과 제반 직업 및 자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빈곤가족의 건강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 가족, 지역사회 세 차원에서 빈곤가족 구성원과 가족전체의 건강을 설명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서울시 4개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3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다음의 주요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응답자의 지난해 건강상태가 긍정적이었을수록, 가족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족의 지역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현 건강상태가 좋은 경향이었다. 둘째, 빈곤가족 전체의 현 건강상태는 개인과 가족 특성의 혼합 모형이 가장 잘 설명하였는데 특히 응답자의 현 건강상태가 긍정적이었을수록, 응답자에게 배우자가 없는 경우, 그리고 가족 중 병자가 없는 경우, 가족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빈곤이 장기화됨에 따라 빈곤가족 구성원의 건강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빈곤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은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건강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과 더불어 건강관련 문제를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치료할 수 있는 체계를 지역사회 내에 마련하도록 하는 등의 환경적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번역하기

      빈곤가족의 건강은 빈곤이 만성화되면서 악화 일로에 서게 된다. 빈곤가족의 건강은 생활수준을 빈곤선 이상으로 향상시키려는 제도적 노력과 제반 직업 및 자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

      빈곤가족의 건강은 빈곤이 만성화되면서 악화 일로에 서게 된다. 빈곤가족의 건강은 생활수준을 빈곤선 이상으로 향상시키려는 제도적 노력과 제반 직업 및 자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빈곤가족의 건강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 가족, 지역사회 세 차원에서 빈곤가족 구성원과 가족전체의 건강을 설명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서울시 4개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3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다음의 주요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응답자의 지난해 건강상태가 긍정적이었을수록, 가족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족의 지역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현 건강상태가 좋은 경향이었다. 둘째, 빈곤가족 전체의 현 건강상태는 개인과 가족 특성의 혼합 모형이 가장 잘 설명하였는데 특히 응답자의 현 건강상태가 긍정적이었을수록, 응답자에게 배우자가 없는 경우, 그리고 가족 중 병자가 없는 경우, 가족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빈곤이 장기화됨에 따라 빈곤가족 구성원의 건강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빈곤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은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건강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과 더불어 건강관련 문제를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치료할 수 있는 체계를 지역사회 내에 마련하도록 하는 등의 환경적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인의 건강과 의료이용실태" 1996

      2 김창엽, "한국 서민의 건강 실태와 의료정책" 53 : 5-28, 2001

      3 성주헌, "취약계층의 빈곤 건강의 이중위협" 한울 아카데미 2003

      4 김미영, "지역활동사례를 통해 살펴본 건강권 운동" 53 : 48-64, 2001

      5 전신현, "지역특성이 성인의 정신 및 육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13 : 113-134, 2003

      6 곽인숙, "주거환경 스트레스가 주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1992

      7 유태균, "자활사업 참여가구 중 근로가구와 비근로가구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161-200, 2003

      8 김영모, "인간과 빈곤과 사회복지" 1-11, 1996

      9 문옥륜, "의료서비스의 배분적 정의" 서울대 출판부 1999

      10 최재규, "우리나라 저소득층의 의료보장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21-148, 1998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인의 건강과 의료이용실태" 1996

      2 김창엽, "한국 서민의 건강 실태와 의료정책" 53 : 5-28, 2001

      3 성주헌, "취약계층의 빈곤 건강의 이중위협" 한울 아카데미 2003

      4 김미영, "지역활동사례를 통해 살펴본 건강권 운동" 53 : 48-64, 2001

      5 전신현, "지역특성이 성인의 정신 및 육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13 : 113-134, 2003

      6 곽인숙, "주거환경 스트레스가 주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1992

      7 유태균, "자활사업 참여가구 중 근로가구와 비근로가구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161-200, 2003

      8 김영모, "인간과 빈곤과 사회복지" 1-11, 1996

      9 문옥륜, "의료서비스의 배분적 정의" 서울대 출판부 1999

      10 최재규, "우리나라 저소득층의 의료보장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21-148, 1998

      11 장인규,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감소에 관한 사회적지지 요인 연구" 1990

      12 이민규, "실직자의 정신건강과 강인성 및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19 (19): 549-561, 2000

      13 유성렬, "실직 가구주 가정의 경제적 부담감이 가구주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42 : 397-422, 2000

      14 박순일 등, "선진경제의 문턱에서 본 한국의 빈곤현실과 사회보장" 1994

      15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1985

      16 최해경, "사회적 지지망구조가 편부모가족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377-395, 1993

      17 송다영,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95-319, 2003

      18 박용억,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16 (16): 61-82, 1999

      19 박능후, "빈곤의 원인과 대책" 43 : 2000

      20 윤태호, "빈곤과 건강" 한울아카데미 44-74, 2003

      21 문창진, "보건의료사회학" 신광출판사 1998

      22 성주헌, "국민건강, 영양 조사 심층연차 분석" 보건의료사회학 2000

      23 김정선, "건강 창출의 사회적 단위로서 가족의 역할 문헌고찰을 통한 분석 모델의 재구성" 12 (12): 1-29, 2000

      24 장윤옥, "객관적 가정자원,가정자원적 정도 지각 및 통제소재와 주부의 가정자원관리 스트레스 대처방법과의 관계" 16 (16): 79-93, 1998

      25 이일순, "가난한 이들의 건강 지키기 - ‘성동희망나눔‘을 사례로" 53 : 65-81, 2001

      26 Adler, "the challenge of the gradient" socioeco (socioeco): 15-24, 1994

      27 Cohen, D, "neighborhood physical conditions and health" 93 (93): 467-471, 2003

      28 Mossey, "a predictor of mortality among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00-808, 1982

      29 Kaplan, "a nine-year follow-up of the Human population laboratory cohort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91-304, 1983

      30 Schaefer, "The health-related function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81-406, 1981

      31 In L,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somatic disorders Handbook of Stress" the Free Press 134-152, 1982

      32 Kawachi, I, "Social capital, income inequality, and mortality" 87 (87): 1491-1498, 1997

      33 Goldstein, "Predicting changes in perceived health statu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611-614, 1984

      34 Saegert, Susan, "Poverty, housing niches, and health in the United States" 59 (59): 569-589, 2003

      35 Wen, M, "Poverty, affluence, and income inequality: neighborhood economic structure and its implications for health" 57 : 843-860, 2003

      36 Cattell, V, "Poor people, poor places, and poor health: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capital" 52 : 1501-1516, 2001

      37 Kobetz, E, "Neighborhood poverty and self-reported health among low-income, rural women, 50years and older" 9 : 263-271, 2003

      38 Ellen, I. G, "Neighborhood effects on health: exploring the links and assessing the evidence" 23 : 391-408, 2001

      39 Singer, "Mortality and mental health evidence from the Midtown Manhattan restudy" 517-525, 1976

      40 Rodgers G, "Income inequality as determinant of mortality" 343-351, 1979

      41 Kennedy, B. P, "Income distribution and mortality: cross-sectional ecological study of the Robin Hood Index in the US" 312 : 999-1003, 1996

      42 Blackburn, "Improving health and welfare work with families in poverty" Pen University Press 1991

      43 Aday, "Health status of vulnerable population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487-509, 1994

      44 Cohen, S, "Health psychology: psych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disease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psychoneuroimmunology" 47 : 113-142, 1996

      45 민혜영, "Circumplex 모델과 부모 자녀 의사소통" 1993

      46 Goldberg,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785-802, 1963

      47 Aday, "At risk in America The health and health care needs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1993

      48 Lin, "A model and an empirical tes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08-119, 1979

      49 송건용남정자최정수김태정, "1992년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 행태조사-국민건강 조사 결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50 송건용 등, "1989년도 국민보건실태조사"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2.02 2.30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