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종호, "한국 구곡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10 : 2011
2 조유영, "조선조 구곡가의 시가사적 전개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2017
3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4 정우락, "자연에서 찾은 이상향 九曲文化" 울산대곡박물관 2010
5 경상북도, "백두대간 속리산권 문경-상주구간 구곡 문화지구 세계유산 등재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기본구상" 2012
6 경상북도, "백두대간 경북권 구곡문화지구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2013
7 정우락,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 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8 정우락, "동계 조형도 시에 나타난 ‘물’에 대하여" 영남문화연구원 (28) : 145-184, 2015
9 정우락, "대구지역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한민족어문학회 (77) : 121-149, 2017
10 이종호, "구곡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상문화학회 (50) : 7-42, 2009
1 이종호, "한국 구곡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10 : 2011
2 조유영, "조선조 구곡가의 시가사적 전개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2017
3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4 정우락, "자연에서 찾은 이상향 九曲文化" 울산대곡박물관 2010
5 경상북도, "백두대간 속리산권 문경-상주구간 구곡 문화지구 세계유산 등재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기본구상" 2012
6 경상북도, "백두대간 경북권 구곡문화지구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2013
7 정우락,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 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8 정우락, "동계 조형도 시에 나타난 ‘물’에 대하여" 영남문화연구원 (28) : 145-184, 2015
9 정우락, "대구지역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한민족어문학회 (77) : 121-149, 2017
10 이종호, "구곡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상문화학회 (50) : 7-42, 2009
11 김문기, "경북의 구곡문화 Ⅱ" 경상북도・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12 李家淳, "霞溪集"
13 이상주, "趙憲의 栗原九曲과 栗原九曲詩" 충북대 중원문화 연구소 10 : 2006
14 張緯恒, "臥隱集"
15 編輯部, "源頭活水-朱熹思想與當前公民道德" 海潮撮影藝術出版社 2003
16 최석기, "河範運의 三山九曲詩 창작배경과 德山九曲詩의 의미" 경남문화연구원 (42) : 163-196, 2014
17 김문기, "朴龜元의 姑射九曲 園林과 姑射九曲詩" 퇴계연구소 (52) : 1-32, 2013
18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한국학연구원 (40) : 203-258, 2010
19 鄭逑, "寒岡集"
20 金宗直, "佔畢齋集"
21 구사회, "<황산별곡>의 작자 의도와 문예적 검토" 한국언어문학회 (59) : 161-182, 2006
22 문화재청, "2006 전통명승 동천구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