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곡원림(九曲園林)의 양상과 경북 구곡의 문화사적 의미 = The Patterns of Gugokwonrim and the Meanings of Gugoks in Gyeongbuk in the History of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7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provide specific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patterns of Gugokwonrim in Korea, the representative Gugoks of Gyeongbuk, and the meanings of these representative Gugoks of Gyeongbuk in the history of culture. The Gugokwonrim of Korea is divided into the group that followed Zhu Xi's Mui Gugok as it was and the other that did not follow it. The latter exhibited its independence in various ways. The former can be called the regular style, and the latter the irregular style. In Korea, there are diverse forms of the irregular style showing the Korean variations of Zhu Xi studies in a very realistic way.
      Som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Gugokwonrim in Gyeongbuk include Dosan Gugok of Andong, Muheul Gugok of Seongju, Gosan Chilgok of Andong, and Seonyu Gugok of Mungyeong. These Gugoks boast not only the wonderful beauty and preservation of their landscapes, but also the abundance of related literature. These Gugoks hold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ulture in the following aspects: showing Neo-Confucian communication between nature and man in the most active way, achieving a sense of unity between scenic spots and literature and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in harmony, presenting the various forms of Gugokwonrim's Korean-style acceptance and variation, displaying the collaborative creation of Korean culture based on the layers of cultural accumulation, and creating a cultural space of rest and healing.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provide specific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patterns of Gugokwonrim in Korea, the representative Gugoks of Gyeongbuk, and the meanings of these representative Gugoks of Gyeongbuk in the history of culture. The Gugok...

      This study set out to provide specific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patterns of Gugokwonrim in Korea, the representative Gugoks of Gyeongbuk, and the meanings of these representative Gugoks of Gyeongbuk in the history of culture. The Gugokwonrim of Korea is divided into the group that followed Zhu Xi's Mui Gugok as it was and the other that did not follow it. The latter exhibited its independence in various ways. The former can be called the regular style, and the latter the irregular style. In Korea, there are diverse forms of the irregular style showing the Korean variations of Zhu Xi studies in a very realistic way.
      Som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Gugokwonrim in Gyeongbuk include Dosan Gugok of Andong, Muheul Gugok of Seongju, Gosan Chilgok of Andong, and Seonyu Gugok of Mungyeong. These Gugoks boast not only the wonderful beauty and preservation of their landscapes, but also the abundance of related literature. These Gugoks hold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ulture in the following aspects: showing Neo-Confucian communication between nature and man in the most active way, achieving a sense of unity between scenic spots and literature and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in harmony, presenting the various forms of Gugokwonrim's Korean-style acceptance and variation, displaying the collaborative creation of Korean culture based on the layers of cultural accumulation, and creating a cultural space of rest and heal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의 구곡원림이 어떤 양상으로 존재하며, 경북의 대표 구곡은 무엇이며, 경북의 대표 구곡이 지닌 문화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한국의 구곡원림은 주자의 무이구곡을 그대로 따르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으로 대별되고, 그렇지 않는 것은 또한 다양한 방식의 독자성을 지닌다. 그대로 따르는 것을 정격형이라 한다면, 따르지 않는 것은 변격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는 이 변격형이 다양하게 존재하여 주자학의 한국적 변이를 매우 실감나게 보여준다.
      경북의 대표적인 구곡원림은 안동의 도산구곡, 성주의 무흘구곡, 안동의 고산칠곡, 문경의 선유구곡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들 구곡은 경관의 미려성과 보존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관련문헌 또한 풍부하다. 이들 구곡이 지닌 문화사적 의미는, 자연과 인간의 성리학적 소통을 가장 적극적으로 보여준다는 점, 명승과 문학, 예술과 건축이 조화 속에서 일체감을 이루고 있다는 점, 구곡원림의 한국적 수용과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 문화적 적층성으로 인한 한국문화의 협동적 생성을 보여준다는 점, 휴양과 치유의 문화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의 구곡원림이 어떤 양상으로 존재하며, 경북의 대표 구곡은 무엇이며, 경북의 대표 구곡이 지닌 문화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한국의 구곡원...

      본고는 한국의 구곡원림이 어떤 양상으로 존재하며, 경북의 대표 구곡은 무엇이며, 경북의 대표 구곡이 지닌 문화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한국의 구곡원림은 주자의 무이구곡을 그대로 따르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으로 대별되고, 그렇지 않는 것은 또한 다양한 방식의 독자성을 지닌다. 그대로 따르는 것을 정격형이라 한다면, 따르지 않는 것은 변격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는 이 변격형이 다양하게 존재하여 주자학의 한국적 변이를 매우 실감나게 보여준다.
      경북의 대표적인 구곡원림은 안동의 도산구곡, 성주의 무흘구곡, 안동의 고산칠곡, 문경의 선유구곡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들 구곡은 경관의 미려성과 보존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관련문헌 또한 풍부하다. 이들 구곡이 지닌 문화사적 의미는, 자연과 인간의 성리학적 소통을 가장 적극적으로 보여준다는 점, 명승과 문학, 예술과 건축이 조화 속에서 일체감을 이루고 있다는 점, 구곡원림의 한국적 수용과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 문화적 적층성으로 인한 한국문화의 협동적 생성을 보여준다는 점, 휴양과 치유의 문화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호, "한국 구곡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10 : 2011

      2 조유영, "조선조 구곡가의 시가사적 전개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2017

      3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4 정우락, "자연에서 찾은 이상향 九曲文化" 울산대곡박물관 2010

      5 경상북도, "백두대간 속리산권 문경-상주구간 구곡 문화지구 세계유산 등재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기본구상" 2012

      6 경상북도, "백두대간 경북권 구곡문화지구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2013

      7 정우락,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 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8 정우락, "동계 조형도 시에 나타난 ‘물’에 대하여" 영남문화연구원 (28) : 145-184, 2015

      9 정우락, "대구지역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한민족어문학회 (77) : 121-149, 2017

      10 이종호, "구곡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상문화학회 (50) : 7-42, 2009

      1 이종호, "한국 구곡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10 : 2011

      2 조유영, "조선조 구곡가의 시가사적 전개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2017

      3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4 정우락, "자연에서 찾은 이상향 九曲文化" 울산대곡박물관 2010

      5 경상북도, "백두대간 속리산권 문경-상주구간 구곡 문화지구 세계유산 등재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기본구상" 2012

      6 경상북도, "백두대간 경북권 구곡문화지구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2013

      7 정우락,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 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8 정우락, "동계 조형도 시에 나타난 ‘물’에 대하여" 영남문화연구원 (28) : 145-184, 2015

      9 정우락, "대구지역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한민족어문학회 (77) : 121-149, 2017

      10 이종호, "구곡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상문화학회 (50) : 7-42, 2009

      11 김문기, "경북의 구곡문화 Ⅱ" 경상북도・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12 李家淳, "霞溪集"

      13 이상주, "趙憲의 栗原九曲과 栗原九曲詩" 충북대 중원문화 연구소 10 : 2006

      14 張緯恒, "臥隱集"

      15 編輯部, "源頭活水-朱熹思想與當前公民道德" 海潮撮影藝術出版社 2003

      16 최석기, "河範運의 三山九曲詩 창작배경과 德山九曲詩의 의미" 경남문화연구원 (42) : 163-196, 2014

      17 김문기, "朴龜元의 姑射九曲 園林과 姑射九曲詩" 퇴계연구소 (52) : 1-32, 2013

      18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한국학연구원 (40) : 203-258, 2010

      19 鄭逑, "寒岡集"

      20 金宗直, "佔畢齋集"

      21 구사회, "<황산별곡>의 작자 의도와 문예적 검토" 한국언어문학회 (59) : 161-182, 2006

      22 문화재청, "2006 전통명승 동천구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