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궁은 동양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물로 항진통, 부인과 질환, 항산화활성, 뇌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129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40294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46-85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천궁은 동양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물로 항진통, 부인과 질환, 항산화활성, 뇌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129를...
천궁은 동양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물로 항진통, 부인과 질환, 항산화활성, 뇌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129를 이용해 발효한 천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발효하지 않은 천궁 추출물에 비해 L. plantarum BHN-LAB 129 발효 천궁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 16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281.0%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OD 유사활성능, ABTS radical 소거활성능,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 환원력은 각각 약 139.9%, 199.6%, 301.0% 및 137.1%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L. plantarum BHN-LAB 129을 이용한 생물전환을 통한 천궁 발효추출물의 항산화능 증대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물전환기술은 생리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전환기법을 통한 기능성 식품소재 및 화장품 소재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ytochemical compounds of Ligusticum striatum Makino are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herbs in Asia. These compounds are reported to have pain relief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gynecological and brain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
Phytochemical compounds of Ligusticum striatum Makino are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herbs in Asia. These compounds are reported to have pain relief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gynecological and brain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Ligusticum fermented ethanol extract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129 isolated from Kimchi, a Korean traditional food.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increased by about 116.2% and 281.0% respectively, in the fermented Ligusticum extract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fermented Ligusticum ethanol extract. Superoxide dismutase-like (SOD),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activities increased by around 139.9%, 199.6%, 301.0%, and 137.1%, respectively, in the fermented Ligusticum ethanol extract as compared with these parameters in the nonfermented Ligusticum ethanol extract,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fermented Ligusticum ethanol extract with L. plantarum BHN-LAB 129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antioxidant effects. The bioconversion process in this study points to the potential of using Ligusticum to produce phytochemical-enriched natural antioxidant agents with high added value. The findings may prov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improved foods and cosmetic material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중복, "혐기성조건에서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에 의한 배당체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으로의 생물전환"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6 (26): 148-156, 2019
2 김병혁, "한국과 중국 미생물 발효차의 미생물 군집분석 및 비교"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5 (45): 71-80, 2017
3 김순임, "추출 조건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당 강하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41-47, 2009
4 오영지,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지상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373-378, 2010
5 김은진,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37-342, 2012
6 박예은, "유산균 발효에 따른 볶은 아마씨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8 (28): 547-554, 2018
7 이우행, "용매에 따른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83-89, 2018
8 신명자, "시멘트 분말 노출에 따른 참갈겨니의 스트레스 저항성" 한국생명과학회 25 (25): 615-623, 2015
9 윤여초, "대마씨 발효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미백 활성 검증" 한국생명과학회 28 (28): 688-696, 2018
10 한소라,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의 용매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793-1798, 2015
1 이중복, "혐기성조건에서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에 의한 배당체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으로의 생물전환"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6 (26): 148-156, 2019
2 김병혁, "한국과 중국 미생물 발효차의 미생물 군집분석 및 비교"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5 (45): 71-80, 2017
3 김순임, "추출 조건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당 강하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41-47, 2009
4 오영지,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지상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373-378, 2010
5 김은진,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37-342, 2012
6 박예은, "유산균 발효에 따른 볶은 아마씨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8 (28): 547-554, 2018
7 이우행, "용매에 따른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83-89, 2018
8 신명자, "시멘트 분말 노출에 따른 참갈겨니의 스트레스 저항성" 한국생명과학회 25 (25): 615-623, 2015
9 윤여초, "대마씨 발효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미백 활성 검증" 한국생명과학회 28 (28): 688-696, 2018
10 한소라,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의 용매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793-1798, 2015
11 이민영, "과일 껍질의 비타민 C ,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4 (44): 540-544, 2012
12 Saez-Lara, M. J., "The role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other related diseases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human clinical trials" 2015 : 505-878, 2015
13 Zhishen, J.,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64 : 555-559, 1999
14 Samak, G.,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ons of botanical extracts of Wagatea spicata" 115 : 631-634, 2009
15 Oyaizu, M,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44 : 307-315, 1986
16 Santos, V. A. Q., "Solid-state fermentation of soybean okara : Isoflavones biotransforma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enhancement of nutritional quality" 92 : 509-515, 2018
17 Castillo, M., "Quantification of total bacteria, enterobacteria and lactobacilli populations in pig digesta by real-time PCR" 114 : 165-170, 2005
18 Ann, Y. G,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24 : 817-832, 2011
19 Smeriglio, A.,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ld-pressed seed oil from finola cultivar of cannabis sativa l" 30 : 1298-1307, 2016
20 Waltenberger, B., "Novel natural products for healthy ageing from the mediterranean diet and food plants of other global sources-The MediHealth Project" 23 : 1097-, 2018
21 Forney, L. J., "Molecular microbial ecology : land of the one-eyed king" 7 : 210-220, 2004
22 Tamura, K., "MEGA5 :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28 : 2731-2739, 2011
23 박예은,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105를 이용한 발효 엉겅퀴의 항산화 및 미백효 과에 대한 유용성 평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7 (17): 1-13, 2019
24 김병혁,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33의 생물전환공정을 통한 방풍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활성 증대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9 (29): 1208-1217, 2019
25 Linares, D. M.,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with potential to design natural biofunctional health-promoting dairy foods" 8 : 846-, 2017
26 Marklund, S.,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47 : 469-474, 1974
27 Poojary, M. M., "Influence of innovative processing on γ-aminobutyric acid(GABA)contents in plant food materials" 16 : 895-905, 2017
28 Kim, J. M.,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inhibits neuronal cell death by reduction of excessive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t hippocampal slice cultures and microglia cells" 92 : 74-78, 2003
29 Vrijheid, M.,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child health-A review of recent concerns" 219 : 331-342, 2016
30 Saito, M., "Cytotoxicity and apoptosis induction by butylated hydroxyanisole(BHA)and butylated hydroxytoluene(BHT)" 23 : 4693-4701, 2002
31 Jung, H. K.,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milks as probiotic functional foods" 5 : 29-35, 2000
32 Holasova, M., "Buckwheat-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35 : 207-211, 2002
33 Pandey, S.,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 a comparative study of river Yamuna fish Wallago attu. (Bl. & Schn. )" 309 : 105-115, 2003
34 Blois, M. 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21 : 1999-, 1958
35 Gheldof, N., "Antioxidant capacity of honeys from various floral 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inhibition of in vitro lipoprotein oxidation in human serum J" 50 : 3050-3055, 2002
36 Imai, J.,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60 : 417-420, 1994
알칼리 법으로 추출한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질의 항염증 효능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RCM201425의 만니톨 생산배지 최적화
홍만병초 분획물에 의한 HT-29대장암 세포의 Wnt/β-catenin 신호전달 조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8-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3 | 0.7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