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경제성 있는 생물학적 만니톨 고생산을 위해 선별균주의 만니톨 생산 최적화 배지조성을 RSM 방법을 이용하여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김치로부터 분리된 10균주의 만니톨 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40296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61-870(1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 있는 생물학적 만니톨 고생산을 위해 선별균주의 만니톨 생산 최적화 배지조성을 RSM 방법을 이용하여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김치로부터 분리된 10균주의 만니톨 생...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 있는 생물학적 만니톨 고생산을 위해 선별균주의 만니톨 생산 최적화 배지조성을 RSM 방법을 이용하여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김치로부터 분리된 10균주의 만니톨 생산량과 과당으로부터 만니톨 전환율 분석을 통하여 SRCM201425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균주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과 당 발효 분석을 통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하였다. Plackett-Burman design (PBD)을 이용하여 만니톨 생산에 영향을 주는 배지 인자를 선별하기 위해 총 11개의 탄소원, 질소원, 무기원소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fructose와 sucrose, peptone을 선정하였다. 만니톨 생산을 위한 선별된 각 변수의 최적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central composite design (CCD)과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CCD를 통해 만니톨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최적 농도는 fructose 38.68 g/l, sucrose 30 g/l, peptone 39.67 g/l으로 예측되었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실험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MRS 배지에서의 생산량의 약 20배의 만니톨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100 g/l의 fructose가 포함된 MRS 배지 대비 97.46%의 만니톨을 생산하면서, 산업화시 기존 배지 대비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만니톨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최적화를 확립하였으며, 만니톨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비용의 촉매환원 방법을 대체할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optimum medium compositions for cost-effective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RCM201425 isolated from kimchi. L. mesenteroides SRCM21425 from kimchi was selected for efficient mannitol producti...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optimum medium compositions for cost-effective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RCM201425 isolated from kimchi. L. mesenteroides SRCM21425 from kimchi was selected for efficient mannitol production based on fructose analysis and identified by its 16S rRNA gene sequence, as well as by carbohydrate fermentation pattern analysis. To enhance mannitol production by L. mesenteroides SRCM201425, the effects of carbon, nitrogen, and mineral sources on mannitol production were first determined using Plackett-Burman design (PBD). The effects of 11 variables on mannitol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of which three variables, fructose, sucrose, and peptone, were selected. In the second step, each concentration of fructose, sucrose, and peptone was optimiz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and response surface analysis. The predicted concentrations of fructose, sucrose, and peptone were 38.68 g/l, 30 g/l, and 39.67 g/l, respectively. The mathematical response model was reliable, with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R² = 0.9185. Mannitol production increased 20-fold as compared with the MRS medium, corresponding to a mannitol yield 97.46% when compared to MRS supplemented with 100 g/l of fructose in flask system. Furthermore, the production in the optimized medium was cost-effecti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be useful in biological production for catalytic hydrogenation causing byproduct and additional production cos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수지, "전통 장류 유래 Bacillus subtilis SCJ4의 특성확인 및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배양조건 최적화" 한국미생물학회 51 (51): 48-60, 2015
2 서지원, "순창 전통 메주 유래 Lactobacillus brevis SCML 432의 특성 및 통계학적 방법을 활용한 배양 조건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397-410, 2018
3 하광수,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Bacillus subtilis SRCM102046의 균체 증량을 위한 배지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613-624, 2018
4 봉기문,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유래 carotenoid 생산 배지 최적화" 한국유기농업학회 25 (25): 135-148, 2017
5 양희종,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한 Bacillus subtilis NC1 유래 cellulase 생산 배지 최적화" 한국생명과학회 25 (25): 680-685, 2015
6 김명동, "만니톨 생산성이 우수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13305 균주의 생육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0 (30): 41-49, 2018
7 Zhang, Z., "The effect of dextransucrase gene inactivation on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55 : 35-40, 2015
8 Saitou, N., "The Neighbor-joining method :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4 : 406-425, 1987
9 JOSHI, SANKET, "Statistical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Bacillus licheniformis K5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7 (17): 313-319, 2007
10 Grobben, G. J., "Spontaneous formation of a mannitol-producing variant of 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grown in the presence of fructose" 67 : 2867-2870, 2001
1 정수지, "전통 장류 유래 Bacillus subtilis SCJ4의 특성확인 및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배양조건 최적화" 한국미생물학회 51 (51): 48-60, 2015
2 서지원, "순창 전통 메주 유래 Lactobacillus brevis SCML 432의 특성 및 통계학적 방법을 활용한 배양 조건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397-410, 2018
3 하광수,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Bacillus subtilis SRCM102046의 균체 증량을 위한 배지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613-624, 2018
4 봉기문,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유래 carotenoid 생산 배지 최적화" 한국유기농업학회 25 (25): 135-148, 2017
5 양희종,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한 Bacillus subtilis NC1 유래 cellulase 생산 배지 최적화" 한국생명과학회 25 (25): 680-685, 2015
6 김명동, "만니톨 생산성이 우수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13305 균주의 생육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0 (30): 41-49, 2018
7 Zhang, Z., "The effect of dextransucrase gene inactivation on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55 : 35-40, 2015
8 Saitou, N., "The Neighbor-joining method :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4 : 406-425, 1987
9 JOSHI, SANKET, "Statistical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Bacillus licheniformis K5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7 (17): 313-319, 2007
10 Grobben, G. J., "Spontaneous formation of a mannitol-producing variant of 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grown in the presence of fructose" 67 : 2867-2870, 2001
11 Yun, J. W., "Production of mannitol by Lactobacillus sp, KY-107" 11 : 374-379, 1996
12 Yun, J. W., "Mannitol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rans" 9 : 140-146, 1994
13 Otgonbayar, Gan-Erdene,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citreum KACC 91348P Isolated from Kimchi"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1 (21): 968-971, 2011
14 이형로,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화학적 돌연변이를 통한 만니톨 생산능 향상: 고속 대량 선별 기술 개발" 한국생물공학회 28 (28): 213-215, 2013
15 유선균, "Leuconostoc mesenteroides sp. strain JFY 균주에 의한 만니톨 발효 조건의 최적화" 한국생명과학회 15 (15): 374-381, 2005
16 Andreevskaya, M., "Lactobacillus oligofermentans glucose, ribose and xylose transciptomes show higher similarity between glucose and xylose catabolism-induced responses in the early exponential growth phase" 17 : 539-, 2016
17 Ghoreishi, S. M., "Innovative strategies for engineering mannitol production" 20 : 263-270, 2009
18 Yue, M., "Improvement of mannitol production by Lactobacillus brevis mutant 3-A5 based on dual-stage pH control and fed-batch fermentations" 29 : 1923-1930, 2013
19 정은지, "Development of Cabbage Juice Medium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Starter"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7 (27): 2112-2118, 2017
20 Ryu, B. H., "Characteristics of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sp, KY-002" 11 : 636-641, 1996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129의 생물전환공정을 통한 천궁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증대
알칼리 법으로 추출한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질의 항염증 효능
홍만병초 분획물에 의한 HT-29대장암 세포의 Wnt/β-catenin 신호전달 조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8-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3 | 0.7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