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중학교에서 교재로 삼고 있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족’영역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핵심 내용에 대한 학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30531
2014
Korean
가정과 ; 교과서 ; 의사소통 ; 갈등관리 ; 양성평등 ; Home Economics ; Textbook ; Communication ; Conflict Management ; Gender Equality
KCI등재
학술저널
51-67(1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중학교에서 교재로 삼고 있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족’영역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핵심 내용에 대한 학부...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중학교에서 교재로 삼고 있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족’영역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핵심 내용에 대한 학부모들의 역량을 파악해 보는데 있다.
그 연구결과는 첫째,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족’영역의 핵심 내용은 의사소통, 갈등, 양성평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의사소통 역량은, 교육수준이 가장 유의미하게 상관이 높았다. 의사소통 능력 중 관계적 능력은 자녀가 많을수록 역량이 있으며, 대인적 능력이나 언어적 능력에서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가 역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딸일 경우에, 또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많았다. 셋째, 학부모의 갈등관리 전략에서 통합전략은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분할전략과 회피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분할전략은 어머니가 더 많이 사용하고, 회피전략은 아버지가 더 많이 사용하며 각자 아들에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부모의 양성평등의식은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의식수준이 높았으며 자녀가 아들보다 딸을 가진 경우에 부모의 양성평등 의식이 높았다. 따라서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교육이 남학생에게, 또 아버지에게 더욱 많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학부모 교육에서 의사소통방법, 갈등 해결을 위한 통합전략 사용법, 양성평등의식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ssential contents in the ‘Family’ unit of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and look into the capability of parents with respect to such essential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ssential contents in the ‘Family’ unit of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and look into the capability of parents with respect to such essential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s: First, the essential content d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Family’ unit of Home Economics textbook was found to be the communication, followed by the conflict and gender equality. Second,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of parents were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 level. In the social skill or linguistic skill, mothers were found to have greater capability than fathers were. Third, in relation to the integrating strategies with respect to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of parents, fathers used the integrat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mothers. The parti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used more often among the mothers, while the avoiding strategies were found to be used more frequently among the fathers. Fourth,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er among the mothers, compared to the fathers, and was higher among the parents who had daughters rather than son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STATISTICS KOREA"
2 안이환, "질적연구방법에 기반한 초등학교 학부모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83-104, 2008
3 최정혜, "중학교 기술ㆍ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황 영역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4 (14): 15-25, 2002
4 전미경,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에 관한 연구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하는 가족’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29-49, 2012
5 박미숙, "중학교 가정교과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1-22, 2006
6 김미정, "양성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家政 교과서 삽화의 단원별 계량적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6 (16): 27-41, 2004
7 범기수, "부모의 갈등관리유형에 따른 자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효(孝)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261-283, 2011
8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9 김서현,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서(가정 영역)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73-86, 2011
10 장해순, "갈등관리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회 23 : 113-151, 2003
1 "통계청 STATISTICS KOREA"
2 안이환, "질적연구방법에 기반한 초등학교 학부모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83-104, 2008
3 최정혜, "중학교 기술ㆍ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황 영역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4 (14): 15-25, 2002
4 전미경,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에 관한 연구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하는 가족’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29-49, 2012
5 박미숙, "중학교 가정교과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1-22, 2006
6 김미정, "양성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家政 교과서 삽화의 단원별 계량적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6 (16): 27-41, 2004
7 범기수, "부모의 갈등관리유형에 따른 자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효(孝)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261-283, 2011
8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9 김서현,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서(가정 영역)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73-86, 2011
10 장해순, "갈등관리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회 23 : 113-151, 2003
11 전미경,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45-160, 2010
12 Kim, S. Y., "The relationship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ypes and sexual consciousness by adolescents" 28 : 63-82, 2010
13 Cho, S. K., "The effects of parent-children's communication patterns by adolescent and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on behavior problem" 8 (8): 51-66, 2001
14 Kim, Y. 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high school teacher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08
15 Kim, H. K., "Social work with families" 공동체 2011
16 Um, I. 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self resilience" 22 (22): 51-70, 2012
17 Byun, J. W., "MMPI Characteristic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high school students" Dongguk University 2007
18 Chae, J. H., "Introd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Kyomunsa 2011
19 Jung, H. Y., "Differences of gender equity education between the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s-Focusing on awareness of gender equity and degrees of gender equity teaching practice" 13 (13): 47-57, 2001
20 Choi, Y. I., "7. An analysis of contents and activities of
PBL을 적용한 윤리적 의류소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청소년의 의복동조 준거특성 및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연구: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 특성
청소년의 친환경 소비의식, 소비행동, 소비가치가 교복 재활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37 | 1.6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