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점유의 법적 성질-로마법과 독일법이 우리 점유법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The legal nature of possession-Implications of Roman and German Law for Korean Possession’s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20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대 로마인들이 처음으로 점유(possessio)와 소유(proprietas)를 구별한 이래로 로마의 점유개념을 계수한 유럽의 각 나라들은 독자적인 점유제도를 법전에 두고 있다. 우리 민법에서는 민법 제192조 이하에서 개념의 해석상 많은 논쟁을 유발하고 있는 점유권이라는 용어를 규정하고 있다. 현재 점유권이 점유와 동일한 개념인지, 그리고 점유권은 법적으로 사실인지 아니면 권리인지 등에 관한 여러 해석상의 논쟁이 우리 민법 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우리 민법 제194조에서 간접점유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 간접점유라는 개념이 우리 민법 제19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점유권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유와 점유권의 명확한 개념이해를 위하여, 직접점유와 간접점유의 법적 성질, 직접점유와 간접점유의 관계 및 점유권의 개념과 그것의 법적 성질을 각각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우리의 점유권을 이해하기 위하여 법역사적 해석방법론과 비교법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로마법과 독일법에서의 점유개념을 우리의 점유권과 비교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결과를 기초로 우리의 점유와 점유권 그리고 직접점유와 간접점유 및 직접점유자와 간접점유자에게 존재하는 점유와 점유권의 법적 성질을 규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마법상의 점유, 소지 및 특시명령점유, 그리고 보통법(ius commune) 시대의 프리드리히 칼 폰 사비니(Friedrich Carl von Savigny)의 점유법(Das Recht des Besitzes), 나아가 독일민법 입법과정에서 독일입법자들의 점유에 관한 생각을 추적 조사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점유는 본질적으로 사실이며, 우리의 점유권은 점유보호를 설명하기 위하여 법리적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법전에서 그 용어를 사용할 실익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있다.
      번역하기

      고대 로마인들이 처음으로 점유(possessio)와 소유(proprietas)를 구별한 이래로 로마의 점유개념을 계수한 유럽의 각 나라들은 독자적인 점유제도를 법전에 두고 있다. 우리 민법에서는 민법 제19...

      고대 로마인들이 처음으로 점유(possessio)와 소유(proprietas)를 구별한 이래로 로마의 점유개념을 계수한 유럽의 각 나라들은 독자적인 점유제도를 법전에 두고 있다. 우리 민법에서는 민법 제192조 이하에서 개념의 해석상 많은 논쟁을 유발하고 있는 점유권이라는 용어를 규정하고 있다. 현재 점유권이 점유와 동일한 개념인지, 그리고 점유권은 법적으로 사실인지 아니면 권리인지 등에 관한 여러 해석상의 논쟁이 우리 민법 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우리 민법 제194조에서 간접점유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 간접점유라는 개념이 우리 민법 제19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점유권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유와 점유권의 명확한 개념이해를 위하여, 직접점유와 간접점유의 법적 성질, 직접점유와 간접점유의 관계 및 점유권의 개념과 그것의 법적 성질을 각각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우리의 점유권을 이해하기 위하여 법역사적 해석방법론과 비교법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로마법과 독일법에서의 점유개념을 우리의 점유권과 비교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결과를 기초로 우리의 점유와 점유권 그리고 직접점유와 간접점유 및 직접점유자와 간접점유자에게 존재하는 점유와 점유권의 법적 성질을 규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마법상의 점유, 소지 및 특시명령점유, 그리고 보통법(ius commune) 시대의 프리드리히 칼 폰 사비니(Friedrich Carl von Savigny)의 점유법(Das Recht des Besitzes), 나아가 독일민법 입법과정에서 독일입법자들의 점유에 관한 생각을 추적 조사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점유는 본질적으로 사실이며, 우리의 점유권은 점유보호를 설명하기 위하여 법리적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법전에서 그 용어를 사용할 실익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덕수, "채권각론" 박영사 2019

      2 김형석, "주석민법, 물권법(1): §185-§261" 한국사법행정학회 2019

      3 송덕수, "점유권 양도의 허구성과 민법 제196조의 개정제안" 한국민사법학회 91 : 3-37, 2020

      4 정병호, "점유권 개념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329-364, 2014

      5 성중모, "소유권의 본질과 史的 기원 ―로마의 초기 역사를 예로 하여―" 한국법철학회 22 (22): 135-158, 2019

      6 최병조, "민법주해, 물권(1) : 제185조-제210조" 박영사 1997

      7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1998

      8 Rolf Knütel, "로마법산책(Spaziergänge im römischen Recht)" 법문사 2008

      9 최병조, "로마법강의" 박영사 1999

      10 현승종, "로마法" 법문사 2004

      1 송덕수, "채권각론" 박영사 2019

      2 김형석, "주석민법, 물권법(1): §185-§261" 한국사법행정학회 2019

      3 송덕수, "점유권 양도의 허구성과 민법 제196조의 개정제안" 한국민사법학회 91 : 3-37, 2020

      4 정병호, "점유권 개념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329-364, 2014

      5 성중모, "소유권의 본질과 史的 기원 ―로마의 초기 역사를 예로 하여―" 한국법철학회 22 (22): 135-158, 2019

      6 최병조, "민법주해, 물권(1) : 제185조-제210조" 박영사 1997

      7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1998

      8 Rolf Knütel, "로마법산책(Spaziergänge im römischen Recht)" 법문사 2008

      9 최병조, "로마법강의" 박영사 1999

      10 현승종, "로마法" 법문사 2004

      11 신유철, "김형배교수 고희기념 논문집" 박영사 2004

      12 서을오, "使用取得 요건으로서의 善意 요구 시점-특히 Ulp. D. 41,3,10,pr. (16 ed.)의 해석과 관련하여-" 한국법사학회 (48) : 251-273, 2013

      13 Max Kaser, "Römisches Privatrecht" C. H. Beck 2017

      14 Alexander Georg Achilles, "Protokolle der Kommission für die zweite Lesung des Entwurfs des Bürgerlichen Gesetzbuchs. Im Auftrage des Reichs-Justizamts, Band 3: Sachenrecht" I. Guttentag 1899

      15 Hilfsarbeiter der Redaktoren, "Motive zu dem Entwurfe eines Bürgerlichen Gesetzbuches für das Deutsche Reich, Band 3: Sachenrecht" I. Guttentag 1888

      16 Bernhard Windscheid, "Lehrbuch des Pandektenrechts, Band 1" Literarische Anstalt Rütten Und Loening 1906

      17 Rudolphus Gneist, "Institutionum et Regularum Iuris Romani Syntagma" in aedibus B. G. Teubneri 1880

      18 Max Kaser, "Eigentum und Besitz im älteren römischen Recht" Böhlau 1956

      19 Benno Mugdan, "Die gesammten Materialien zum Bürgerlichen Gesetzbuch für das Deutsche Reich, Band 3: Sachenrecht" R. v. Decker's Verlag 1899

      20 Werner Schubert, "Die Vorlagen der Redaktoren für die erste Kommission zur Ausarbeitung des Entwurfs eines Bürgerlichen Gesetzbuches, Sachenrecht, Teil 1: Allgemeine Bestimmungen, Besitz und Eigentum" Walter de Gruyter 1982

      21 Horst Heinrich Jakobs, "Die Beratung des Bürgerlichen Gesetzbuchs in systematischer Zusammenstellung der unveröffentlichten Quellen, Sachenrecht I, §§ 854-1017" Walter de Gruyter 1985

      22 Youn Seok Choi, "Der Besitzerwerb des Erben: Historische Entwicklungen, die Lösung des § 857 BGB und ihre Anwendungsprobleme" Peter Lang 2013

      23 Max Kaser, "Das Römische Privatrecht, 1. Abschnitt: Das altrömische, das vorklassische und klassische Recht" C. H. Beck 1971

      24 Friedrich Carl von Savigny, "Das Recht des Besitzes" Georg Friedrich Heyer 1837

      25 Theodorus Mommsen, "Corpus Iuris Civilis, Volumen Primum: Institutiones" Apud Weidmannos 1954

      26 Guido Bömer, "Besitzmittlungswille und mittelbarer Besitz" Mohr Siebeck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