홉즈(Hobbes), 로크(Locke), 루소(Rousseau) 등을 통해 체계화된 사회계약이론(social contract theory)은 정부의 정당성의 근원에 국민의 동의가 존재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근대 헌정주의(constitutionalism)...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홉즈(Hobbes), 로크(Locke), 루소(Rousseau) 등을 통해 체계화된 사회계약이론(social contract theory)은 정부의 정당성의 근원에 국민의 동의가 존재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근대 헌정주의(constitutionalism)...
홉즈(Hobbes), 로크(Locke), 루소(Rousseau) 등을 통해 체계화된 사회계약이론(social contract theory)은 정부의 정당성의 근원에 국민의 동의가 존재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근대 헌정주의(constitutionalism)의 기초를 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런데 이들이 정부의 정당성의 근원을 밝힘에 있어서 왜 ‘계약’이라는 법개념을 활용하였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즉, ‘계약’은 전통적으로 ‘사법’(private law) 분야의 핵심적인 법개념인데, 이러한 계약개념이 ‘공법’(public law)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의문에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법사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가지 면을 살펴보아야 하는데, 하나는 사법(私法)에서의 계약법의 발전역사이고, 다른 하나는 기독교의 언약사상(언약신학)이다.
우선 사법상 계약의 발전사를 보면 형식성 및 자연법과의 관련성이 강조되던 데에서부터 개인의 의사가 강조되는 방향으로 발전해 온 것을 볼 수 있다. 홉즈, 로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1) 형식성 및 자연법과의 관련성이 강조되던 전통적인 계약법과 2) 개인의 의사가 강조되는 근대적인 계약법의 모습이 둘 다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선 이들은 사회계약의 효력을 논의하면서 순수하게 개인의 의사에만 의존하여 설명하고 있지는 않고, 그 내용의 자연법과의 부합성을 함께 보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계약법의 모습을 일부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을 동시에 ‘개인간의 합의’를 사회계약의 효력의 핵심적인 요소로 보고 있는데, 이점에서는 근대적인 계약법의 모습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언약신학의 영향이 사회계약론자들에게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언약신학은 구약성경에 있는 다양한 언약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데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베즈(Bèze), 후커(Hooker), 알투지우스(Althusius), 그로티우스(Grotius) 등을 통해 법사상으로 체계화되었고, 이것이 세속화되면서 사회계약론이 나타나게 되었다. 다만 홉즈, 로크에 비해서 루소에 있어서는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사법상 계약의 발전사와 언약신학의 맥락에서 사회계약론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계약론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계약론의 현대적 의미를 새롭게 밝히는 데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준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진영, "홉스의 사회계약론에 함축된 정부의 역할과 시장경제질서" 한독경상학회 27 (27): 1-27, 2009
2 김용환, "홉스의 사회ㆍ정치철학 - 「리바이어던 읽기」" 철학과 현실사 1999
3 오수웅, "홉스와 로크의 자연권, 자연법 개념 비교연구: 『리바이어던』와 『통치론』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1) : 2007
4 이호선, "헌정질서 상의 정의와 사회계약론" 법학연구소 30 (30): 355-385, 2018
5 이국운, "프로테스탄티즘과 입헌주의" 기독교학문연구회 11 (11): 135-168, 2006
6 Locke, John, "통치론" 까치 1996
7 신상현, "토마스 홉스의 사회계약이론과 국가형벌권의 제한 -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바람직한 지도자의 역할에 대하여"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16 (16): 2016
8 임미원, "칸트의 실천철학의 기초―자율성과 사회계약론을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22 (22): 191-224, 2019
9 조한상, "존 로크 사회계약론의 현대 헌법적 의의"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7 (37): 2015
10 최병조, "이호정 교수화갑기념논문집, 『법률행위론의 사적 전개와 과제』" 박영사 1998
1 배진영, "홉스의 사회계약론에 함축된 정부의 역할과 시장경제질서" 한독경상학회 27 (27): 1-27, 2009
2 김용환, "홉스의 사회ㆍ정치철학 - 「리바이어던 읽기」" 철학과 현실사 1999
3 오수웅, "홉스와 로크의 자연권, 자연법 개념 비교연구: 『리바이어던』와 『통치론』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1) : 2007
4 이호선, "헌정질서 상의 정의와 사회계약론" 법학연구소 30 (30): 355-385, 2018
5 이국운, "프로테스탄티즘과 입헌주의" 기독교학문연구회 11 (11): 135-168, 2006
6 Locke, John, "통치론" 까치 1996
7 신상현, "토마스 홉스의 사회계약이론과 국가형벌권의 제한 -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바람직한 지도자의 역할에 대하여"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16 (16): 2016
8 임미원, "칸트의 실천철학의 기초―자율성과 사회계약론을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22 (22): 191-224, 2019
9 조한상, "존 로크 사회계약론의 현대 헌법적 의의"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7 (37): 2015
10 최병조, "이호정 교수화갑기념논문집, 『법률행위론의 사적 전개와 과제』" 박영사 1998
11 홍기원, "이성 그리고 권리: 후고 그로티우스의 법철학" 터닝포인트 2022
12 안상혁,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영음사 2016
13 VanDrunen, David, "언약과 자연법" 부흥과 개혁사 2018
14 김기창, "약속, 합의 그리고 계약" 한국법사학회 (29) : 317-353, 2004
15 Birnbaum, Simon, "세대간 복지계약" 한국법제연구원 2020
16 고봉진, "사회계약론의 역사적 의의- 홉스, 로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비교 -" 법과정책연구원 20 (20): 55-82, 2014
17 조긍호, "사회계약론연구: 홉스ㆍ로크ㆍ루소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18 송석현, "사회계약론 패러다임의 현대적 의미와 한계- 토마스 홉스의 경우" 도시인문학연구소 4 (4): 91-124, 2012
19 Rousseau, Jean-Jacques, "사회계약론"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20 조규창, "비교법(상)" 소화 2005
21 정태윤, "민법상의 원인의 개념과 로마법에서의 카우사" 한국사법학회 14 (14): 399-432, 2007
22 배건이, "미래세대 보호를 위한 법이론 연구-세대간 계약을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2020
23 Hobbes, Thomas, "리바이어던 1, 2" 나남 2008
24 하재홍, "루소는 자연법 사상가인가?" 법학연구원 (80) : 263-291, 2023
25 김영희, "로마법상 계약책임 법리" 법학연구원 25 (25): 95-131, 2015
26 현승종, "로마법" 법문사 2004
27 김종호, "도덕적 사회주의의 환상에 대한 비판으로서 사회계약론과 자본주의의 법철학적 기초"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8 (8): 199-246, 2020
28 김현철, "근대 초기 사회계약론에서 자유와 권리의 지위" 한국법철학회 5 (5): 35-54, 2002
29 Witte, John, Jr., "권리와 자유의 역사" IVP 2015
30 Cicero, Marcus Tullius, "국가론" 한길사 2014
31 Maine, Henry Sumner, "고대법" 세창출판사 2009
32 서길원, "계약이란 무엇인가 : 계약에 관한 주석적 고찰" 한들출판사 2004
33 김욱곤, "계약의 구속력의 근거에 대한 일고찰"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창간) : 1987
34 Abegg, Andreaß, "Vom Contrat Social zum Gesellschaftsvertragsrecht: Formen und Funktion des Verwaltungsvertrags in der fragmentierten Gesellschaft" 1 : 2008
35 Skinner, Quentin, "Two Concepts of Citizenship" 55 (55): 1993
36 Hooker, Richard, "The Works of Mr. Richard Hooker" Clarendon Press 1887
37 Simmons, A. John, "The Social Contract Theorists: Critical Essays on Hobbes, Locke, and Rousseau"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99
38 Atiyah, P. S, "The Rise and Fall of Freedom of Contract"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39 Beza, Theodore, "The Right of Magistrates: Concerning the Rights of Rulers over their Subjects and the Duty of Subjects towards their Rulers" 1574
40 Berman, Harold J., "The Religious Sources of General Contract Law: An Historical Perspective" 14 (14): 1986
41 Elazar, Daniel J., "The Political Theory of Covenant: Biblical Origins and Modern Developments" 10 (10): 1980
42 Gordley, James, "The Philosophical Origins of Modern Contract Doctrin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43 Grim, Dieter, "The Oxford Handbook of Comparative Constitu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44 Black, Antony, "The Juristic Origins of Social Contract Theory" 14 (14): 1993
45 DiMatteo, Larry A., "The History of Natural Law Theory: Transforming Embedded Influences into a Fuller Understanding of Modern Contract Law" 60 (60): 1999
46 Höpfl, Harro, "The History of Contract as a Motif in Political Thought" 84 : 1979
47 O’Donovan, Oliver, "The Desire of the Nations: Rediscovering the Roots of Political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8 Tierney, Brian, "Religion, Law and Growth of Constitutional Thought: 1150-16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49 Althusius, Johaness, "Politica" Liberty Fund 1995
50 Novak, David, "O’liver O’Donovan’s Critique of Autonomy" 9 (9): 2008
51 Grotius, Hugo, "On the Law of War and Peace" Lonang Institute 2005
52 Valcke, Catherine, "On Comparing French and English Contract Law: Insights from Social Contract Theory" 4 (4): 2009
53 Eusden, John, "Natural Law and Convenant Theology in New England, 1620-1670" 1960
54 Gordley, James, "Natural Law Origins of the Common Law of Contract" 8 : 1990
55 Mendenhall, George E., "Law and Covenant in Israel and the Ancient Near East" The Presbyterian Board of Colportage of Western Pennsylvania 1955
56 Cumyn, Michelle, "La contractualisation de l’action publique: contrat juridique ou contrat social?" 47 (47): 2006
57 Gierke, Otto Friedrich von, "Johannes Althusius und die Entwickling der Naturrechtlichen Staatstheorien: Zugleich ein Beitrag zur Geschichte der Rechtssystematik" Wentworth Press 2018
58 Thompson, Martyn P., "Ideas of Contract in English Political Thoughts in the Age of John Locke" Routledge 2020
59 Kaveny, Cathleen, "Hauerwas and the Law: Framing a Productive Conversation" 75 (75): 2012
60 Laslett, Peter, "Encyclopedia of Philosophy, Vol. 9" Thomson Gale 2006
61 Marcoux, Alexei M., "Encyclopedia of Law & Society" SAGE Publications 2007
62 Brinig, Margaret, "Covenant and Contract" 12 : 1999
63 Lomasky, Loren E., "Contract, Covenant, Constitution" 28 (28): 2011
64 Rosenfeld, Michel, "Contract and Justice: The Relation between Classical Contract Law and Social Contract Theory" 70 (70): 1985
65 Everett, William Johnson, "Contract and Covenant in Human Community" 36 (36): 1987
66 Kary, Joseph H., "Contract Law and the Social Contract: What Legal History Can Teach Us about the Political Theory of Hobbes and Locke" 31 (31): 1999
67 Baker, John, "An Introduction to English Leg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점유의 법적 성질-로마법과 독일법이 우리 점유법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1801년(순조 1) ‘辛酉獄事’의 시작과 변화 樣相-李家煥ㆍ李基讓 추국 사건과 周文謨 神父 추국 관련 『推案及鞫案』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이혼 소송과 판결의 특징-18세기 유정기의 이이(離異) 청원 사례를 중심으로-
‘계약 원인’의 변천 — 로마 고전기에서 유럽 중세 후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