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 재학생의 진학동기와 희망진로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면서 중등음악예비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 전 영역을 교과과정 내에서 습득할 수 있는지 조사·분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06552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2017.2
2017
한국어
780.7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pre-service music teachers'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desired-career, and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xi, 86 L. : 도표 ; 26 cm
지도교수: 주희선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63-6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 재학생의 진학동기와 희망진로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면서 중등음악예비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 전 영역을 교과과정 내에서 습득할 수 있는지 조사·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 재학생의 진학동기와 희망진로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면서 중등음악예비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 전 영역을 교과과정 내에서 습득할 수 있는지 조사·분석해 관련 연구에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비사범계 교원양성기관 재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설문 구성은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진학동기·희망진로를 포함한 교원양성기관 인식도, 그리고 교수내용지식(PCK)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대상의 PCK는 비교적 평이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직이수자와 대학원생 집단 간의 차이는 미미하다. 또한 PCK 하위영역인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 학생지식, 교육과정지식, 환경상황지식 별 분석 결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학동기와 희망진로의 차이는 교직이수자와 교육대학원 재학생 간에 크게 비교되었다. 교사가 되기 위해 교직기관에 진학한 교직이수자는 38.5%, 교육대학원생은 83.8%로 두 배 가량 차이가 나타났다. 또 교원자격증 취득 후 희망진로가 교사인 교직이수자는 40%, 교육대학원생은 85%를 차지했다. 셋째, 비사범계 교원양성기관 재학생은 임용시험 준비와 진로 및 임용시험에 대한 정보제공을 기관에 원하는 것으로 답하였다. 이외에 교직이수자는 더 많은 수업시연의 기회를, 교육대학원생은 다양한 교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학교를 다니며 겪는 어려움에 대한 문항에 교직이수자는 전공수업과 교직수업의 병행, 교육대학원생은 임용시험 준비 병행이라고 답했다. 넷째, 연구대상의 진학동기와 희망진로는 PCK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대상이 교과과정 내에서 수강한 과목 수가 많을수록 PCK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과목과 전공과목은 PCK 하위영역 중에서 학생지식과 교육과정지식, 표현지식 영역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각 교원양성기관은 학생들의 진학동기, 희망진로와는 무관하게 예비교원이 PCK를 적절하게 습득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생의 선발에 최우선시 되는 성적 기준을 완화하면서, 교직 희망도와 소양이 높은 학생들이 진학할 수 있는 선발 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모든 계열의 예비교원과 현직교원을 아우를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 교원양성기관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rvice Music Teachers’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Desired-Career and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includ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at Graduate S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rvice Music Teachers’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Desired-Career and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includ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at Graduate School and Undergraduate students of College of Music who tak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145 students in Pre-Service Music Teachers from College of Music and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The components of the survey were general characteristic of objects,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Desired-Career and PCK.
The characteristics foun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PCK of entire objects represents nonsignificant difference. The difference of PCK of two groups, College of Music and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was low.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7 Subareas of PCK(Instructional strategies knowledge, Knowledge of representation, Subject matter knowledge, Knowledge of evaluation, Knowledge of students, Curricular knowledge, Environmental contextual knowledge). Second, Differences in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nd Desired-Career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wants to be a teacher in College of Music group was 40%, but Graduate students’ percentage was 85%. Third,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are in affiliated with non-education-college want ‘Preparation of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Information about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rom their institution. Except for that, College students chose ‘More opportunities for simulated instruction’, however Graduate School students chose ‘Various co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felt difficult in studying both teaching profession courses in addition to Music Major Courses(College of Music students). The results also represented that the student felt difficult in ‘Preparing for teacher certification exam’ on top of ‘Attending many classes of teaching profession course’(Graduate School Students). Fourth,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nd Desired-Career had not an effect on PCK. Bu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CK and Number of taking classes. As a Study report, institutions are well functioning for developing students’ PCK as Per-Service Institution even if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nd Desired-Career of students are not a teacher. According to study results above, recruiting system which is now based on a grade as a matter of the highest priority should be improved to select suitable students who really want to be a teacher. Furthermore research about whole Pre-Service Music Teacher both educational and non-educational students will go a long way toward to improvement of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