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하는 여성의 일과 삶에서 나타나는 경력역량인 의미지, 방법지, 관계지의 요소별 특성을 탐구함으로써 어떠한 장인성이 발견되는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07132
2021
-
중년여성 ; 여성 경력 ; 경력역량 ; 장인성 ; 질적 연구 ; working mid-aged women ; women’s career ; career competency ; masterity ; qualitative study
370
KCI등재
학술저널
1-41(4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하는 여성의 일과 삶에서 나타나는 경력역량인 의미지, 방법지, 관계지의 요소별 특성을 탐구함으로써 어떠한 장인성이 발견되는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
본 연구는 일하는 여성의 일과 삶에서 나타나는 경력역량인 의미지, 방법지, 관계지의 요소별 특성을 탐구함으로써 어떠한 장인성이 발견되는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경력 경로를 가진 경력 10년 이상의 중년 여성 7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고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력역량은 중년여성의 일하며 살아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는 점에서 유용한 분석 틀로 활용되었다. 그 결과 일하는 여성의 경력역량은 ‘일을 통한 자아표현(의미지)’. ‘일과 삶의 경험 교차를 통한 전인적 성장(방법지)’, ‘가치 창출의 기반이 되는 관계들(관계지)’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양한 삶의 경험으로 구성된 경력과정에서 자신이 보유한 경력역량을 자유자재로 크래프팅했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장인성을 보여주었다. 중년 여성의 경력역량에서 나타난 장인성은 급변하는 일터 환경 속에서 여성의 지속 가능한 경력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남성 중심적이었던 장인에 대한 논의(장원섭, 2015, 2018)에서 더 나아가 여성 장인성으로 확장될 수 있는 논의의 시작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what masterity is found by investigating career competencies in working women’s work and life. Qualitative data from seven mid-aged women with more than 10 years of diverse work experience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
This study aims to discuss what masterity is found by investigating career competencies in working women’s work and life. Qualitative data from seven mid-aged women with more than 10 years of diverse work experience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career competencies for understanding how mid-aged women work and live. As a result, we found three categories such as “self-expression through work” as knowing why, “a holistic growth through work-life intersection” as knowing how, and “relationships as a basis for value creation” as knowing whom. Working mid-aged women freely crafted their career competencies in a context of their work and non-work, which ultimately show masterity leading to meaningful lives. Masterity found from this study can be explained for women’s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It is also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of studying women’s masterity, as an alternative for the gender-blind discussion of the existing concept of masterity(Chang, 2015, 2018).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덕, "한국의 직업안정성 변화와 원인 분석" (사)한국직업자격학회 8 (8): 45-67, 2019
2 김나정, "한국 근로자들의 경력성공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253-287, 2014
3 서미경, "중・고령기 여성의 재취업 경험과 생애적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199-226, 2012
4 김나형, "중장년층 경력전환에서의 경력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8 (8): 27-52, 2013
5 고기숙, "중년기 남성의 영성지향도,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197-223, 2005
6 Maslow, A, "존재의 심리학(Toward a Psychology of Being" 문예출판사 2012
7 장인온, "전통 수공업 장인의 학습 과정과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59-78, 2013
8 장경진, "장인적 학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24 (24): 71-105, 2021
9 구유정, "장인적 일하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40 (40): 1-30, 2021
10 최솔, "장인적 영향력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4 (24): 119-145, 2021
1 김기덕, "한국의 직업안정성 변화와 원인 분석" (사)한국직업자격학회 8 (8): 45-67, 2019
2 김나정, "한국 근로자들의 경력성공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253-287, 2014
3 서미경, "중・고령기 여성의 재취업 경험과 생애적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199-226, 2012
4 김나형, "중장년층 경력전환에서의 경력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8 (8): 27-52, 2013
5 고기숙, "중년기 남성의 영성지향도,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197-223, 2005
6 Maslow, A, "존재의 심리학(Toward a Psychology of Being" 문예출판사 2012
7 장인온, "전통 수공업 장인의 학습 과정과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59-78, 2013
8 장경진, "장인적 학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24 (24): 71-105, 2021
9 구유정, "장인적 일하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40 (40): 1-30, 2021
10 최솔, "장인적 영향력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4 (24): 119-145, 2021
11 이정아, "장인적 성취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12 (12): 1-28, 2021
12 장원섭, "장인의 탄생" 학지사 2015
13 구유정, "장인(匠人)적 여성 리더의 일과 학습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연구소 41 (41): 137-163, 2020
14 민현주, "자녀출산과 양육시기동안의 여성취업 유형화 : 집단중심추세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의 적용" 한국사회학회 46 (46): 61-87, 2012
15 제현주, "일하는 마음 : 나를 키우며 일하는 법" 어크로스 2018
16 윤자영, "일중독 측정과 실태" 한국산업노동학회 24 (24): 229-260, 2018
17 장원섭, "일의 교육학" 학지사 2006
18 양현정,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로 인한 부정적·긍정적 효과와 진로포부의 관계: 생애주기 단계별 비교" 한국상담학회 16 (16): 155-174, 2015
19 강이수, "여성과 일 : 일터에서 평등을 찾다" 동녘 2015
20 홍정임, "여성 창업가의 성공과 혁신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6 (16): 55-69, 2021
21 이 정, "여성 연구직 마스터의 일터에서 학습과 성장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장인성 이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2 강예지, "세운상가 장인의 일과 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22 (22): 59-82, 2019
23 박영숙, "세계미래보고서 2021" 비즈니스북스 2020
24 장원섭, "명장(明匠)의 길: 우연에서 필연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23-41, 2013
25 김용섭, "라이프 트렌드 2021 : Fight or Flight" 부키 2020
26 장원섭, "다시 장인이다" 영인미디어 2018
27 최유연, "기업체 여성인력의 경력역량 측정도구 개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28 오정주, "기업 여성중간관리자의 리더십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조직사회화 및 조직구조적 관점에서" 한국성인교육학회 24 (24): 37-69, 2021
2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기술발전에 따른 여성 일자리 전망과 대응전략(Ⅱ): 플랫폼 일자리를 중심으로" 2019
30 이지영, "국내 성인근로자의 경력역량 척도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75-296, 2019
31 손진희,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의 진로경험: 직장 경력 5-10년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501-522, 2013
32 김재순, "고숙련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일터에서의 성장과 학습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131-149, 2013
33 구유정, "고경력 여성의 경력 만화경 돌리기" 한국성인교육학회 23 (23): 1-26, 2020
34 송민영, "고경력 비서의 일터에서의 성장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비서학회 27 (27): 59-86, 2018
35 김종희,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85-223, 2014
36 전연숙, "경력단절 여성의 도움추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6 (6): 45-70, 2016
37 장지현, "경력단절 여성의 구직경로가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8 (78): 31-76, 2010
38 진성미, "경력 자본과 경력 아비투스: 경력과 일터학습" 원격교육연구소 9 (9): 73-92, 2013
39 진성미, "경력 역량 탐색을 위한 평생학습의 시사" 원격교육연구소 5 (5): 21-44, 2009
40 김영조,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의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9 (19): 71-100, 2012
41 이요행,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8 (18): 639-657, 2005
42 Sullivan, S. E, "Using the kaleidoscope career model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of women's careers : Designing HRD programs that attract and retain women" 10 (10): 32-49, 2008
43 Colakoglu, S. N, "The impact of career boundarylessnes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 The role of career competencies, career autonomy, and career insecurity" 79 (79): 47-59, 2011
44 Raider, H,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employment principle for a new organizational era" Oxford University Press 187-200, 1996
45 DeFillippi, R. J, "The boundaryless career : A competency-based perspective" 15 : 307-324, 1994
46 Bourdieu, P, "The Logic of Practice" Polity Press 1990
47 McLagan, P. A, "The ASTD training and development competency study: A model building challenge" 36 : 1982
48 McClelland, D. D, "Testing for competency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49 Newman, K. L, "Sustainable careers: Lifecycle engagement in work" 40 (40): 136-143, 2011
50 Carstensen, L. L, "Social and emotional patterns in adulthood : support for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7 (7): 331-, 1992
51 Higgins, M. C, "Reconceptualizing mentoring at work : A developmental network perspective" 26 (26): 264-288, 2001
52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16
53 서용한, "NCS 확산을 위한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과 커리어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정보학회 36 (36): 207-221, 2017
54 Steger, M. F, "Measuring meaningful work : The work and meaning inventory(WAMI)" 20 (20): 322-337, 2012
55 Collins, C, "Making Motherhood Work: How Women Manage Careers and Caregiving" Princeton Unviersity Press 2019
56 Sandberg, S, "Lean in: Women, work, and the will to lead" Alfred A. Knopf 2013
57 Rosener, J. B, "Leadership, Gender, and Organization: Issues in Business Ethics (vol. 27)" Springer 19-29, 1990
58 Arthur, M. B, "Intelligent enterprise, intelligent careers" 9 (9): 7-20, 1995
59 Arthur, M. B, "Handbook of Career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5, 1989
60 Eagly, A. H, "Gender and leadership style : A meta analysis" 108 (108): 233-256, 1990
61 Kong, H, "From hotel career management to employees’ career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ompetency" 31 (31): 76-85, 2012
62 Barton, T. R, "Feminist leadership: Building nurturing academic communities" 22 (22): 2006
63 Evetts, J, "Dimensions of career: Avoiding reification in the analysis of change" 26 : 1-21, 1992
64 Francis-Smythe,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Competencies Indicator(CCI)" 21 (21): 227-248, 2012
65 장원섭, "Developing ‘masterity’: the ‘habitus’ of lifelong learning" 교육연구소 18 (18): 243-252, 2017
66 Jacques, E, "Death and the mid-life crisis" 46 : 502-514, 1965
67 Akkermans, J, "Competencies for the contemporary career :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Career Competencies Questionnaire" 40 (40): 245-267, 2013
68 Hall, D. T,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Sage Publications 2002
69 Kuijpers, M. A. C. T, "Career competencies for career succ ess" 55 (55): 168-178, 2006
70 Hill, E. J, "Beyond the mommy track : The influence of new-concept part-time work for professional women on work and family" 25 (25): 121-136, 2004
71 Cooper, M. W,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male midlife period: A disciplinary, cohort study"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Boston 1977
72 Carraher, M, "A kaleidoscope career perspective on facu lty sabbaticals" 19 (19): 295-313, 2014
73 Hill, C. E,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5 (25): 517-572, 1997
74 통계청,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20
75 Eby, L. T, ". Predictors of success in the era of the boundaryless career" 24 (24): 689-708, 2003
76 Ericsson, A, ". Peak: Secrets from the new science of expertis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6
초임 학교장의 학교공동체 구성원 간 갈등 관리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배움의 발견 - 형식교육 경험이 없는 노인(J)의 생애사 연구 -
네트워킹 행동 유형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6 | 1.56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4 | 1.977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