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귀멸의 칼날』 속 혈귀의 상징적 함의 = The Symbolic Meaning of ‘Oni’ in “Demon Slayer”: Focused on Story Balance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412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원작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필두로 한 ‘귀멸의 칼날’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기록하여, 2010년대 이후 등장한 일본 문화콘텐츠 중 가장 주목도가 높은 작품이다. 그중 만...

      원작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필두로 한 ‘귀멸의 칼날’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기록하여, 2010년대 이후 등장한 일본 문화콘텐츠 중 가장 주목도가 높은 작품이다. 그중 만화 『귀멸의 칼날』은 ‘귀멸의 칼날’ 시리즈의 원형 콘텐츠로서 해당 시리즈의 주제를 가장 완결성 있게 드러내고 있어 연구 가치가 높다. 본 고는 『귀멸의 칼날』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이 지닌 사회문화적 함의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귀멸의 칼날』의 서사적 특이성은 작중 등장하는 ‘혈귀(鬼)’에 있다. 혈귀는 초반에 주동 인물이 쓰러트려야만 하는 절대악으로 묘사되나, 작품이 진행될수록 그 성격이 다층적으로 변한다. 이러한 혈귀의 특이성은 『귀멸의 칼날』의 서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작품의 주제의식과 연결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 선행연구에서 혈귀는 그 중요성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혈귀를 중심으로 작품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하고자 한다.
      스토리텔링 분석을 위한 방법론으로 안숭범의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을 사용했다.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혈귀를 중심으로 『귀멸의 칼날』을 분석하는 데 적합하다. 첫째, 사건이나 장면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서사 분석 방법론과 달리 캐릭터를 중심으로 작품의 서사를 분석한다. 둘째, 주동인물이 아닌 ‘부정적 인물’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귀멸의 칼날』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크게 조명받지 않았던 혈귀에 집중하여 작품을 해석했다는 점,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을 스토리 시간이 긴 발전형 길항서사에 적용할 수 있게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mon Slayer” series, including the original manga and anime, has become extremely popular around the world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Japanese contents to emerge since the 2010s. Among them, the manga “Demon Slayer” is the original...

      The “Demon Slayer” series, including the original manga and anime, has become extremely popular around the world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Japanese contents to emerge since the 2010s. Among them, the manga “Demon Slayer” is the original content of the “Demon Slayer” series and has a high research value as it reveals the theme of the series in the most complete wa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orytelling of “Demon Slayer” to reveal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work.
      The narrative uniqueness of the “Demon Slayer” lies in the ‘Oni’ that appears in the series. In the beginning, ‘Oni’ is depicted as an absolute evil that the protagonist must defeat, but as the work progresses, its character changes in a multilayered manner. The specificity of ‘Oni’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narrative of the “Demon Slayer”, which is ultimately connected to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work. However, in the current Korean literature, ‘Oni’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orytelling of the work by focusing on ‘Oni’.
      A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storytelling, I used Ahn's ‘Story Balance Model’. The story balance model is suitable for analyzing “Demon Slayer” centered on the ‘Oni’ in the following ways. First, unlike traditional narrative analysis methodologies that focus on events or scenes, this methodology analyzes the narrative of a work by focusing on characters. Second, the work is analyzed through the eyes of a villain rather than a protagoni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s the work by focusing on the ‘Oni’,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on “Demon Slayer”, and that it extends the story balance model to a developmental antagonistic narrative with a long story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발전형 길항서사에서의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
      • Ⅲ.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으로 읽는 『귀멸의 칼날』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발전형 길항서사에서의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
      • Ⅲ.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으로 읽는 『귀멸의 칼날』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