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컴퓨터 기반 평가 체제 개발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고찰 = The Review on the national project or individual paper for Computer-based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24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shift from paper and pencil-based test to computer-based test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n March in this year. But the Computer-base test(or assessment) system is very complex and needs the solution of diverse challenge in field. So, this paper tries to find and suggest the issues of computer-based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and implement in field. First, the theoretical issues, e.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mputer-based assessment system vs paper and pencil-based test be verified and the definition of target domain for computer-based assessment is clearly validated. Second, the practical issues, e.g. to set up of school facilities for ICT, to improve the teacher and student ability and awareness of ICT, be solved. IF to say yes on this issues, the computer-base test(or assessment) system is applicable in field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mputer-based assessment system be established.
      번역하기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shift from paper and pencil-based test to computer-based test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n March in this year. But the Computer-base test(or assessment) system is very complex and needs ...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shift from paper and pencil-based test to computer-based test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n March in this year. But the Computer-base test(or assessment) system is very complex and needs the solution of diverse challenge in field. So, this paper tries to find and suggest the issues of computer-based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and implement in field. First, the theoretical issues, e.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mputer-based assessment system vs paper and pencil-based test be verified and the definition of target domain for computer-based assessment is clearly validated. Second, the practical issues, e.g. to set up of school facilities for ICT, to improve the teacher and student ability and awareness of ICT, be solved. IF to say yes on this issues, the computer-base test(or assessment) system is applicable in field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mputer-based assessment system be establish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을 학생 평가에 적용하고자 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관련 선행 연구 분석 및 현장 교사 인식 조사를 통해,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적용에 앞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선결 과제로서 첫째, 컴퓨터 기반 평가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능력의 규명 문제, 컴퓨터 기반 평가의 신뢰도 문제 등의 이론적 문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둘째, 학교 현장의 기반 시설 고도화, 평가 시행 주체인 현장 교사, 피험자인 학생들의 컴퓨터 기반 평가에 대한 인식 수준 제고 등의 실제적 문제 등이 존재함을 논하였다. 또한 컴퓨터 사용 능력 등 개별 학생 간 편차의 해소가 요구되고, 이는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의 신뢰도는 물론 평가 결과의 해석과도 연관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을 학생 평가에 적용하고자 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관련 선행 연구 분석 및 현장 교사 인식 조사를 통해, 컴퓨터 기...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을 학생 평가에 적용하고자 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관련 선행 연구 분석 및 현장 교사 인식 조사를 통해,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적용에 앞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선결 과제로서 첫째, 컴퓨터 기반 평가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능력의 규명 문제, 컴퓨터 기반 평가의 신뢰도 문제 등의 이론적 문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둘째, 학교 현장의 기반 시설 고도화, 평가 시행 주체인 현장 교사, 피험자인 학생들의 컴퓨터 기반 평가에 대한 인식 수준 제고 등의 실제적 문제 등이 존재함을 논하였다. 또한 컴퓨터 사용 능력 등 개별 학생 간 편차의 해소가 요구되고, 이는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의 신뢰도는 물론 평가 결과의 해석과도 연관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희, "한국 초․중등학교교육 성과 종단조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 김경희, "한국 초․중등 학교교육 성과 종단조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4 백순근,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지원체제 구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5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Ⅲ)"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6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7 백순근,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8 이경화, "컴퓨터 기반(CBT-EL) 한글해득 표준화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4) : 67-96, 2017

      9 정한호,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 기반 평가 간 점수 비교: 성별과 학습능력에 따른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81-104, 2010

      10 김명화,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능력 평가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1 김경희, "한국 초․중등학교교육 성과 종단조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 김경희, "한국 초․중등 학교교육 성과 종단조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4 백순근,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지원체제 구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5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Ⅲ)"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6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7 백순근,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8 이경화, "컴퓨터 기반(CBT-EL) 한글해득 표준화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4) : 67-96, 2017

      9 정한호,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 기반 평가 간 점수 비교: 성별과 학습능력에 따른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81-104, 2010

      10 김명화,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능력 평가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11 박은아,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능력 평가 도구 개발 및 시범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2 김경희,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3 최혁준, "컴퓨터 기반 과학 수행평가 문항 개발 : 전류계와 전압계 회로 연결 실험" 과학교육연구소 37 (37): 348-358, 2013

      14 임해미,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컴퓨터 기반 수학 평가 결과에 대한 영향 요인 비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7 (27): 157-170, 2017

      15 최인선, "수학에서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 방안 탐색" 209-219, 2013

      16 김희경, "맞춤형 교육 지원을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입(Ⅰ) - 온․오프라인 형성평가 시스템 설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7 김인숙, "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입(Ⅳ) - 형성평가시스템 고도화 및 현장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8 김인숙, "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입(Ⅲ) -채점 및 피드백 시스템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9 김희경, "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입(Ⅱ) - 온라인 문항관리시스템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 전성균, "국제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 현황및 공개 문항 비교" 21 (21): 93-97, 2017

      21 김미경, "국가단위 평가의 수요자 중심 정보활용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Ⅵ) -단위학교 적용 활성화와 시스템 안정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2 김미경, "국가단위 평가의 수요자 중심 정보활용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Ⅴ) -맞춤형 학력진단검사 확대와 시스템 고도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3 정한호,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기반 평가(CBT)에 대한 질적 연구: 학생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5 (25): 73-100, 2009

      24 노윤오,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력 측정을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 기반 평가 결과 비교"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6 (6): 83-103, 2013

      25 박은아, "‘ICT 활용능력’과 ‘사회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컴퓨터 기반 사회과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21-153, 2014

      26 박지현, "PISA의 평가틀에서 컴퓨터기반 수학평가에 대한 소고" 212-218, 2012

      27 김혜숙, "PISA 2012 수학 컴퓨터기반평가에서의 ‘큰 물고기 작은 연못 효과’(BFLPE)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0 (30): 1065-1074, 2018

      28 송미영,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컴퓨터 기반 평가 결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9 송미영,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자료집 : PISA 2006~PISA 2012 컴퓨터 기반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30 Singleton, C., "Computer-based assessment in education" 18 (18): 58-7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연구소 ->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