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경희, "한국 초․중등학교교육 성과 종단조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 김경희, "한국 초․중등 학교교육 성과 종단조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4 백순근,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지원체제 구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5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Ⅲ)"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6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7 백순근,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8 이경화, "컴퓨터 기반(CBT-EL) 한글해득 표준화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4) : 67-96, 2017
9 정한호,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 기반 평가 간 점수 비교: 성별과 학습능력에 따른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81-104, 2010
10 김명화,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능력 평가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1 김경희, "한국 초․중등학교교육 성과 종단조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 김경희, "한국 초․중등 학교교육 성과 종단조사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 교육부, "한 아이도 놓치지 않고 기초학력 책임진다"
4 백순근,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지원체제 구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5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Ⅲ)"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6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7 백순근,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8 이경화, "컴퓨터 기반(CBT-EL) 한글해득 표준화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4) : 67-96, 2017
9 정한호,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 기반 평가 간 점수 비교: 성별과 학습능력에 따른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81-104, 2010
10 김명화,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능력 평가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11 박은아,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능력 평가 도구 개발 및 시범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2 김경희,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3 최혁준, "컴퓨터 기반 과학 수행평가 문항 개발 : 전류계와 전압계 회로 연결 실험" 과학교육연구소 37 (37): 348-358, 2013
14 임해미,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컴퓨터 기반 수학 평가 결과에 대한 영향 요인 비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7 (27): 157-170, 2017
15 최인선, "수학에서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 방안 탐색" 209-219, 2013
16 김희경, "맞춤형 교육 지원을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입(Ⅰ) - 온․오프라인 형성평가 시스템 설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7 김인숙, "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입(Ⅳ) - 형성평가시스템 고도화 및 현장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8 김인숙, "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입(Ⅲ) -채점 및 피드백 시스템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9 김희경, "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입(Ⅱ) - 온라인 문항관리시스템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 전성균, "국제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 현황및 공개 문항 비교" 21 (21): 93-97, 2017
21 김미경, "국가단위 평가의 수요자 중심 정보활용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Ⅵ) -단위학교 적용 활성화와 시스템 안정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2 김미경, "국가단위 평가의 수요자 중심 정보활용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Ⅴ) -맞춤형 학력진단검사 확대와 시스템 고도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3 정한호,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기반 평가(CBT)에 대한 질적 연구: 학생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5 (25): 73-100, 2009
24 노윤오,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력 측정을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 기반 평가 결과 비교"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6 (6): 83-103, 2013
25 박은아, "‘ICT 활용능력’과 ‘사회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컴퓨터 기반 사회과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21-153, 2014
26 박지현, "PISA의 평가틀에서 컴퓨터기반 수학평가에 대한 소고" 212-218, 2012
27 김혜숙, "PISA 2012 수학 컴퓨터기반평가에서의 ‘큰 물고기 작은 연못 효과’(BFLPE)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0 (30): 1065-1074, 2018
28 송미영,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컴퓨터 기반 평가 결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9 송미영,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자료집 : PISA 2006~PISA 2012 컴퓨터 기반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30 Singleton, C., "Computer-based assessment in education" 18 (18): 58-7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