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기수 『한국민요오십곡집』의 장단 및 오선 박자표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hythms and Staff Notation of Fifty Korean Folk Songs by Kim Ki-So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10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김기수의 초기 민요 오선 기보방식을 살펴보고자 『한국민요오십곡집』에 정간보로 표기된 장단과 오선보의 박자표를 비교하였다. 『한국민요오십곡집』에는 50곡이 수록되어 ...

      본고에서는 김기수의 초기 민요 오선 기보방식을 살펴보고자 『한국민요오십곡집』에 정간보로 표기된 장단과 오선보의 박자표를 비교하였다. 『한국민요오십곡집』에는 50곡이 수록되어 있고, 같은 곡이 정간보와 오선보 두 가지 기보법으로 기보되었으며, 세마치장단,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타령장단, 중모리장단이 있었다.
      세마치장단의 경우 3분박 3박자, 2분박 3박자로 나뉘며, 각각 8분의 9박자, 4분의 3박자로 표기하였으며, 기준음표는 속도에 따라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굿거리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12박자, 4박자, 2박자로 나뉘었다. 이 중 12박자의 유형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8분의 6박자, 4분의 6박자, 4분의 3박자, 8분의 9박자로 표기되었다. 기준음표의 선택은 첫마디의 선율과 속도가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자진모리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4박자, 12박자로 나뉘었다. 4박자의 경우 8분의 12박자, 12박자의 경우 4분의 12박자, 4분의 3박자로 표기되었는데 기준음표의 선택은 속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타령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4박자, 12박자로 나뉘었다. 중모리장단은 3분박이며 12박자이며, 이를 4분의 6박자, 8분의 9박자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첫마디의 선율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살펴본 결과, 굿거리장단의 민요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세마치장단의 민요가 많았다.
      『한국민요오십곡집』은 각 장단별로 다양한 장단 유형과 오선보 박자표 표기가 있었는데, 이는 민요 오선 채보의 초기이고, 민요의 즉흥적인 성격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악보집은 첫째, 오선보를 사용했지만, 정간보와 병기함으로써 서양음악에서 해석한 것이 아니라 장단을 기반으로 박자표에 접근했다는 점, 둘째, 최초로 특정 민요 악곡에 장단명을 표기했다는 점, 셋째, 민속악 장단의 이론적인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Kim Gi-Soo's early method of staff notation for folk songs in his work Collection of Fifty Korean Folk Songs. It compares the rhythmic patterns and beat notation between Jeongganbo(traditional Korean score) and Western staff notat...

      This thesis examines Kim Gi-Soo's early method of staff notation for folk songs in his work Collection of Fifty Korean Folk Songs. It compares the rhythmic patterns and beat notation between Jeongganbo(traditional Korean score) and Western staff notation in the collection, which includes 50 songs notated in both systems. The study focuses on different rhythmic patterns such as Semachi, Gutgeori, Jajinmori, Taryeong, and Jungmori. It highlights how these patterns are represented in Western staff notation, with variations in beat and rhythm, reflecting the improvisational nature of folk songs.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its approach to rhythmic pattern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music, marking a pioneering effort in notating specific folk songs and lay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olk music rhythm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