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ffect of Formation of Segmented Fractures Induced by Fluid Injection on Major Design Parame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9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체를 주입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기술은 지열이나 석유 및 가스 등을 추출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본 기술을 적용 시 단일균열이 형성되면 이러한 에너지를 추출하는데 가장 ...

      유체를 주입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기술은 지열이나 석유 및 가스 등을 추출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본 기술을 적용 시 단일균열이 형성되면 이러한 에너지를 추출하는데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균열의 형성은 매우 드문 현상이며 분할된 형태의 균열생성이 흔한 현상이다. 이에 균열간 기계적 상호작용의 영향으로 설계변수에서도 단일균열을 가정하고 적용되었던 값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균열이 분할 생성되었을 경우 기계적인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기존의 개발된 모델과 연계하여 설계변수인 길이, 균열폭, 그리고 압력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균열의 형성은 이렇게 유체를 주입하여 암반을 파쇄 시 사용되는 설계변수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ck fracturing technique through fluid injection into the wellbore has been widely used to extract geothermal heat and to enhance oil and gas production. Single fracture formation is ideal for the production.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sin...

      Rock fracturing technique through fluid injection into the wellbore has been widely used to extract geothermal heat and to enhance oil and gas production. Single fracture formation is ideal for the production.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single fracture formation. Instead, the formation of segmented fracture is a common phenomenon. Therefore, design parameters are expected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single fracture because of mechanical interaction between segmented fractures. In this paper, design parameters such as length, aperture, and net pressure are evaluated by using model of segmented fracture in which numerical technique is incorporated to consider mechanical interaction between segments. Results show that the existence of fracture segmentation affects design parameters in fracturing treatment in rock by fluid inje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Introduction
      • 2. Model of Hydraulic Fracture for the SHF
      • 3. Evaluation of Mechanical Interaction in SHF
      • ABSTRACT
      • 요지
      • 1. Introduction
      • 2. Model of Hydraulic Fracture for the SHF
      • 3. Evaluation of Mechanical Interaction in SHF
      • 4. Examples
      • 5. Conclusions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영종, "다중으로 분할된 수압파쇄균열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21 (21): 45-52, 2005

      2 심영종, "Study on the Fractur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n Rock by Hydraulic Fracturi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7 (7): 43-53, 2006

      3 Kemp, L.F, "Study of Nordgren’s Equation of Hydraulic Fracturing" SPE Production Engineering 311-314, 1990

      4 Economides, M.J., "Reservoir Stimulation,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856-, 2000

      5 Nordgren, R.P., "Propagation of a Vertical Hydraulic Fracture" 306-314, 1972

      6 Sato, K., "Post-frac Analyses Indicating Multiple Fractures Created in a Volcanic Formation" 14 (14): 284-291, 1999

      7 Germanovich, L. N., "Modeling Multisegmented Hydraulic Fracture in Two Extreme Cases: No Leakoff and Dominating Leakoff" 35 (35): 1998

      8 Lehman, L.V., "Etiology of Multiple Fractures, SPE 37406"

      9 Stadulis, J.M., "Development of a Completion Design to Control Screenouts Caused by Multiple Near-wellbore Fractures, SPE 29549"

      10 Davidson, B.M., "Analysis of Abnormally High Fracture Treating Pressures Caused by Complex Fracture Growth, SPE 26154"

      1 심영종, "다중으로 분할된 수압파쇄균열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21 (21): 45-52, 2005

      2 심영종, "Study on the Fractur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n Rock by Hydraulic Fracturi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7 (7): 43-53, 2006

      3 Kemp, L.F, "Study of Nordgren’s Equation of Hydraulic Fracturing" SPE Production Engineering 311-314, 1990

      4 Economides, M.J., "Reservoir Stimulation,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856-, 2000

      5 Nordgren, R.P., "Propagation of a Vertical Hydraulic Fracture" 306-314, 1972

      6 Sato, K., "Post-frac Analyses Indicating Multiple Fractures Created in a Volcanic Formation" 14 (14): 284-291, 1999

      7 Germanovich, L. N., "Modeling Multisegmented Hydraulic Fracture in Two Extreme Cases: No Leakoff and Dominating Leakoff" 35 (35): 1998

      8 Lehman, L.V., "Etiology of Multiple Fractures, SPE 37406"

      9 Stadulis, J.M., "Development of a Completion Design to Control Screenouts Caused by Multiple Near-wellbore Fractures, SPE 29549"

      10 Davidson, B.M., "Analysis of Abnormally High Fracture Treating Pressures Caused by Complex Fracture Growth, SPE 26154"

      11 Medlin, W.L., "Abnormal Treating Pressures in MHF Treatments, SPE 12108"

      12 Mahrer, K.D., "A Review and Perspective on Far-field Hydraulic Fracture Geometry Studies" 24 : 13-2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46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