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전기 과시의 신설과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0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 과시제도를 구성하는 개별 과시가 조선 전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신설되고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5세기의 과시는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춘추과시, 사학생과 각 도 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도회가 있었다. 태종대에 권학사목 에 의하여 과시법이 모색되고, 세종대에 춘추과시와 도회 규정이 정비되면서 각각 과시로서 성립되었다. 세조대에는 경학교육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제술 중심의 과시는 약화되었지만, 예종대에 다시 재개되어 성종대에는 『경국대전』 <장권>의 규정으로 수록되었다.
      둘째 16세기에는 다양한 과시가 마련되었다. 16세기의 과시들은 이전의 춘추과시·도회와 같이 『경국대전』의 과시를 계승한 유형, 윤강·윤차 및 승보와 같이 학교시가 과시로 변화된 유형 그리고 정시·전강과 같이 신설된 유형으로 구분된다. 승보는 일찍부터 과시로 운영된 듯하지만, 나머지 과시들은 주로 중종과 명종대에 과시로 법제화되었다. 이러한 과시의 신설 경향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셋째 조선전기에 다양한 과시가 신설된 요인은 표층적·심층적 두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다. 표층적인 요인으로는 제술·고강 병행정책을 들 수 있다. 제술과 고강을 병행하려는 정책 때문에 제술로 평가하는 과시와 고강으로 평가하는 과시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킨 것이다. 또한 심층적인 요인으로는 교육진흥에 관한 당시의 인식을 들 수 있다. 조선전기의 교육당국은 유생들이 자발적으로 학교에 오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기본 인식이 있었고, 이 때문에 강한 인센티브를 주는 과시를 활용하였던 것이다. 이점에서 과시는 강제력을 동원하지 않으면서 교육을 진흥시키려는 고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선후기 과시제도를 구성하는 개별 과시가 조선 전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신설되고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5세기의 과시는 성균관 유...

      본 연구는 조선후기 과시제도를 구성하는 개별 과시가 조선 전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신설되고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5세기의 과시는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춘추과시, 사학생과 각 도 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도회가 있었다. 태종대에 권학사목 에 의하여 과시법이 모색되고, 세종대에 춘추과시와 도회 규정이 정비되면서 각각 과시로서 성립되었다. 세조대에는 경학교육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제술 중심의 과시는 약화되었지만, 예종대에 다시 재개되어 성종대에는 『경국대전』 <장권>의 규정으로 수록되었다.
      둘째 16세기에는 다양한 과시가 마련되었다. 16세기의 과시들은 이전의 춘추과시·도회와 같이 『경국대전』의 과시를 계승한 유형, 윤강·윤차 및 승보와 같이 학교시가 과시로 변화된 유형 그리고 정시·전강과 같이 신설된 유형으로 구분된다. 승보는 일찍부터 과시로 운영된 듯하지만, 나머지 과시들은 주로 중종과 명종대에 과시로 법제화되었다. 이러한 과시의 신설 경향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셋째 조선전기에 다양한 과시가 신설된 요인은 표층적·심층적 두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다. 표층적인 요인으로는 제술·고강 병행정책을 들 수 있다. 제술과 고강을 병행하려는 정책 때문에 제술로 평가하는 과시와 고강으로 평가하는 과시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킨 것이다. 또한 심층적인 요인으로는 교육진흥에 관한 당시의 인식을 들 수 있다. 조선전기의 교육당국은 유생들이 자발적으로 학교에 오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기본 인식이 있었고, 이 때문에 강한 인센티브를 주는 과시를 활용하였던 것이다. 이점에서 과시는 강제력을 동원하지 않으면서 교육을 진흥시키려는 고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follow the estabishment of Gua-Si in 15C-16C of Jo-Seon Dynasty. Gua-Si means the test which evaluates the students, selects some ones and gives the incentive to enter themselves for the second or the last stage of national examination for recruiting bureaucra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15C, only two Gua-Sis were established. Those were Chun-Chu-Gua-Si and Do-Hue. The former was for the students of Seong-Gyun-Gwan(National University) and the second was for the students of Sa-Hak(National Secondary Schools) and Hyang-Gyo(Public Distruct Schools).
      Second, in 16C, many new Gua-Sis appeared. For example, Jeon-Si? Jeon-Gang(for Seong-Gyun-Gwan), Yun-Gang?Yung-Cha (for Seong-Gyun-Gwan and Sa-Hak) and Seung-Bo(for Sa-Hak) were instituted. And the former Gua-Sis, eg. Chun-Chu-Gua-Si and Do-Hue were strengthened.
      Third, the factor of the increasing Gua-Sis was the educational policy which balanced the educuation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But the cogni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which guaranteed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more deeply influenced the process. In short, Gua-Si was the product of the educational ado in the 15C-16C of Jo-Seon Dynasty.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follow the estabishment of Gua-Si in 15C-16C of Jo-Seon Dynasty. Gua-Si means the test which evaluates the students, selects some ones and gives the incentive to enter themselves for the second or the last stage of national examinatio...

      This study is to follow the estabishment of Gua-Si in 15C-16C of Jo-Seon Dynasty. Gua-Si means the test which evaluates the students, selects some ones and gives the incentive to enter themselves for the second or the last stage of national examination for recruiting bureaucra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15C, only two Gua-Sis were established. Those were Chun-Chu-Gua-Si and Do-Hue. The former was for the students of Seong-Gyun-Gwan(National University) and the second was for the students of Sa-Hak(National Secondary Schools) and Hyang-Gyo(Public Distruct Schools).
      Second, in 16C, many new Gua-Sis appeared. For example, Jeon-Si? Jeon-Gang(for Seong-Gyun-Gwan), Yun-Gang?Yung-Cha (for Seong-Gyun-Gwan and Sa-Hak) and Seung-Bo(for Sa-Hak) were instituted. And the former Gua-Sis, eg. Chun-Chu-Gua-Si and Do-Hue were strengthened.
      Third, the factor of the increasing Gua-Sis was the educational policy which balanced the educuation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But the cogni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which guaranteed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more deeply influenced the process. In short, Gua-Si was the product of the educational ado in the 15C-16C of Jo-Seon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15세기의 과시
      • Ⅲ. 16세기의 과시
      • Ⅳ.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15세기의 과시
      • Ⅲ. 16세기의 과시
      • Ⅳ. 결론
      • 참고자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태진, "조선초기 도회의 교육적 성격에 대한 고찰" 안암교육학회 1998

      2 최광만, "조선전기 도회의 성격" 12 : 2002

      3 박현순, "영조․정조대 도기전강과 일차전강의 정비" 2013

      4 "高麗史"

      5 "課試謄錄"

      6 "續大典"

      7 "經國大典"

      8 "朝鮮王朝實錄"

      9 "承政院日記"

      10 "宋史"

      1 오태진, "조선초기 도회의 교육적 성격에 대한 고찰" 안암교육학회 1998

      2 최광만, "조선전기 도회의 성격" 12 : 2002

      3 박현순, "영조․정조대 도기전강과 일차전강의 정비" 2013

      4 "高麗史"

      5 "課試謄錄"

      6 "續大典"

      7 "經國大典"

      8 "朝鮮王朝實錄"

      9 "承政院日記"

      10 "宋史"

      11 "大典續錄"

      12 "大典後續錄"

      13 여영기, "四部學堂 課試制度의 정비와 四學合製의 성립과정" 한국교육사학회 35 (35): 57-83, 2013

      14 "各司受敎"

      15 최광만, "17세기 과시제도의 형성과정" 교육사학회 22 (22): 55-83, 2012

      16 최광만, "17세기 公都會의 運營과 性格" 한국교육사학회 30 (30): 147-16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5-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istory or Education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사학회 -> 교육사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History o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6 1.46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