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9 MeV 전자 선형가속기에서 발생한 방사화 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ctivation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9 MeV Electron Linear Accelerator for Container Security Insp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7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tivation characteristics that occur in a linear accelerator for container security inspection. In the computer simulation design, first, the targets consisted of a tungsten (Z=74) single material target and a tungsten (Z=74) and copper (Z=29) composite target. Second, the fan beam collimator was composed of a single material of lead (Z=82) and a composite material of tungsten (Z-74) and lead (Z=82) depending on the material. Final, the concrete in the room where the linear accelerator was located contained magnetite type and impurities. In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optical neutron flux was calculated using the MCNP6 code as a F4 Tally for the linear accelerator and structure. Second, the photoneutron flux calculated from the MCNP6 code was applied to FISPACT-II to evaluate the activation product. Final, the decommissioning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activation product. As a result, first, it was the most common in photoneutron targets, followed by a collimator and a concrete 10 cm deep. Second, activation products were produced as by-products of W-181 in tungsten targets and collimator, and Co-60, Ni-63, Cs-134, Eu-152, Eu-154 nuclides in impurity-containing concrete. Final, it was found that the tungsten target satisfies the permissible concentration for self-disposal after 90 days upon decommissioning. These results could be confirmed that the photoneutron yield and degree of activation at 9 MeV energy were insignificant. However, it is thought that W-181 generated from the tungsten target and collimator of the linear accelerator may affect the exposure when disassembled for repair.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basic data on the management of activated parts of a linear accelerator for container security inspection. In addition, When decommissioning the linear accelerator for container security inspection,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to prove the standard that permissible concentration of self-disposa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tivation characteristics that occur in a linear accelerator for container security inspection. In the computer simulation design, first, the targets consisted of a tungsten (Z=74) single material target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tivation characteristics that occur in a linear accelerator for container security inspection. In the computer simulation design, first, the targets consisted of a tungsten (Z=74) single material target and a tungsten (Z=74) and copper (Z=29) composite target. Second, the fan beam collimator was composed of a single material of lead (Z=82) and a composite material of tungsten (Z-74) and lead (Z=82) depending on the material. Final, the concrete in the room where the linear accelerator was located contained magnetite type and impurities. In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optical neutron flux was calculated using the MCNP6 code as a F4 Tally for the linear accelerator and structure. Second, the photoneutron flux calculated from the MCNP6 code was applied to FISPACT-II to evaluate the activation product. Final, the decommissioning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activation product. As a result, first, it was the most common in photoneutron targets, followed by a collimator and a concrete 10 cm deep. Second, activation products were produced as by-products of W-181 in tungsten targets and collimator, and Co-60, Ni-63, Cs-134, Eu-152, Eu-154 nuclides in impurity-containing concrete. Final, it was found that the tungsten target satisfies the permissible concentration for self-disposal after 90 days upon decommissioning. These results could be confirmed that the photoneutron yield and degree of activation at 9 MeV energy were insignificant. However, it is thought that W-181 generated from the tungsten target and collimator of the linear accelerator may affect the exposure when disassembled for repair.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basic data on the management of activated parts of a linear accelerator for container security inspection. In addition, When decommissioning the linear accelerator for container security inspection,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to prove the standard that permissible concentration of self-dispos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목적은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하는 방사화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전산모사 설계는 첫째, 표적은 텅스텐(Z=74) 단일물질 표적 및 텅스텐(Z=74)과 구리(Z=29) 복합물질 표적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부채꼴(Fan beam) 조준기는 물질에 따라 납(Z=82) 단일 물질과 텅스텐(Z-74)과 납(Z=82)의 복합물질로 구성하였다. 셋째 선형가속기가 위치한 방(Room)의 콘크리트는 Magnetite type 및 불순물(Impurity)을 포함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MCNP6 코드를 이용하여 선형가속기 및 구조물을 F4 Tally로 광중성자 플럭스(Flux)를 계산하였다. 둘째, MCNP6 코드에서 계산된 광중성자 플럭스를 FISPACT-II에 적용하여 방사화 생성물을 평가하였다. 셋째, 방사화 생성물의 비방사능을 통해 해체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광중성자 분포는 표적에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조준기 및 10 cm 깊이의 콘크리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사화 생성물은 텅스텐 표적 및 조준기에서 W-181, 불순물이 포함된 콘크리트에서 Co-60, Ni-63, Cs-134, Eu-152, Eu-154 핵종이 부산물(by-product)로 생성되었다. 셋째, 해체 시 텅스텐 표적은 90일 이후 자체 처분 허용 농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9 MeV 에너지에서의 광중성자 수율(Yield) 및 방사화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선형가속기 텅스텐 표적 및 조준기에서 발생한 W-181은 수리를 위한 분해 시 피폭의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선형가속기 방사화된 부품관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선형 가속기 해체 시 자체처분을 만족하는 농도 기준을 입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 목적은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하는 방사화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전산모사 설계는 첫째, 표적은 텅스텐(Z=74) 단일물질 표적 및 텅스텐(Z=74)과 구리(Z=29) 복합...

      본 연구 목적은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하는 방사화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전산모사 설계는 첫째, 표적은 텅스텐(Z=74) 단일물질 표적 및 텅스텐(Z=74)과 구리(Z=29) 복합물질 표적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부채꼴(Fan beam) 조준기는 물질에 따라 납(Z=82) 단일 물질과 텅스텐(Z-74)과 납(Z=82)의 복합물질로 구성하였다. 셋째 선형가속기가 위치한 방(Room)의 콘크리트는 Magnetite type 및 불순물(Impurity)을 포함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MCNP6 코드를 이용하여 선형가속기 및 구조물을 F4 Tally로 광중성자 플럭스(Flux)를 계산하였다. 둘째, MCNP6 코드에서 계산된 광중성자 플럭스를 FISPACT-II에 적용하여 방사화 생성물을 평가하였다. 셋째, 방사화 생성물의 비방사능을 통해 해체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광중성자 분포는 표적에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조준기 및 10 cm 깊이의 콘크리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사화 생성물은 텅스텐 표적 및 조준기에서 W-181, 불순물이 포함된 콘크리트에서 Co-60, Ni-63, Cs-134, Eu-152, Eu-154 핵종이 부산물(by-product)로 생성되었다. 셋째, 해체 시 텅스텐 표적은 90일 이후 자체 처분 허용 농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9 MeV 에너지에서의 광중성자 수율(Yield) 및 방사화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선형가속기 텅스텐 표적 및 조준기에서 발생한 W-181은 수리를 위한 분해 시 피폭의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선형가속기 방사화된 부품관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선형 가속기 해체 시 자체처분을 만족하는 농도 기준을 입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상범, "연구로 2호기 방사화 수조 콘크리트의 재고량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방어학회 37 (37): 202-207, 2012

      2 윤창기, "수출입화물의 국제운송 보안강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3 조성원, "미국의 컨테이너 100% 검색제도와 우리나라 공급망관리 참여자의 영향과 대응방안"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1461-1485, 2009

      4 한상현, "국제해상컨테이너와 관련된 테러행위의 유형과 보안전략의 고찰" 한국관세학회 9 (9): 29-49, 2008

      5 차길용, "경수로 구조재 내 불순물 조성 및 함량이 중성자 방사화 핵종 재고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14 (14): 91-100, 2016

      6 조영호, "X-ray 컨테이너 화물검색시스템의 전자선형가속기 주변 콘크리트 차폐벽 내 방사화생성물에 대한 몬테카를로법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1035-1039, 2010

      7 W. R. Nelson, "X-ray Production Yields for Linatrons 200A, 1000A and 3000A" 1-3, 1998

      8 UKAEA, "The FISPACT-II User Manual" UK Atomic Energy Authority 2018

      9 L. H. Lee, "Supply Chain Security-Are you ready?" Stanford University 2004

      10 I. H. Kim, "Study of X-Ray Shielding Design of Dual Imaging Container Inspection Facility using Monte Carlo Computer Simulation Metho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8

      1 홍상범, "연구로 2호기 방사화 수조 콘크리트의 재고량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방어학회 37 (37): 202-207, 2012

      2 윤창기, "수출입화물의 국제운송 보안강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3 조성원, "미국의 컨테이너 100% 검색제도와 우리나라 공급망관리 참여자의 영향과 대응방안"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1461-1485, 2009

      4 한상현, "국제해상컨테이너와 관련된 테러행위의 유형과 보안전략의 고찰" 한국관세학회 9 (9): 29-49, 2008

      5 차길용, "경수로 구조재 내 불순물 조성 및 함량이 중성자 방사화 핵종 재고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14 (14): 91-100, 2016

      6 조영호, "X-ray 컨테이너 화물검색시스템의 전자선형가속기 주변 콘크리트 차폐벽 내 방사화생성물에 대한 몬테카를로법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1035-1039, 2010

      7 W. R. Nelson, "X-ray Production Yields for Linatrons 200A, 1000A and 3000A" 1-3, 1998

      8 UKAEA, "The FISPACT-II User Manual" UK Atomic Energy Authority 2018

      9 L. H. Lee, "Supply Chain Security-Are you ready?" Stanford University 2004

      10 I. H. Kim, "Study of X-Ray Shielding Design of Dual Imaging Container Inspection Facility using Monte Carlo Computer Simulation Metho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8

      11 NCRP, "Structural Shielding Design and Evaluation for Megavoltage X- and Gamma-Ray Radiotherapy Facilities"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2005

      12 NCRP, "Structural Shielding Design and Evaluation for Medical Use of X Ray and Gamma the Rays of Energies up to 10 MeV"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1976

      13 B. H. Seo, "Status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prospects for easing" KINU 25-33, 2018

      14 "Regulation on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and self-disposal standards, attached table 2"

      15 "Regulation on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and self-disposal standards, attached table 1"

      16 IAEA, "Radiation protection in the design of radiotherapy facilities"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06

      17 NCRP, "Radiation Protection for Particle Accelerator Facilities"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2005

      18 SAND, "Operational Experience with Varex 6/9 MeV Linac, SAND2018-2797C" Sandia National laboratory

      19 "Nuclear Data Center at KAERI"

      20 ANSI, "Nuclear Analysis and Design of Concrete Radiation Shielding for Nuclear Power Plants"

      21 NCRP, "Neutron Contamination from Medical Electron Accelerator"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1984

      22 D. Y. Lee, "Neutron Activation Analysis of the Medical Linear Accelerator – Maintenance, Repair and Dismantling-"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7

      23 IAEA, "Material Properties Database for Irradiated Core Structural Components for Lifetime Management for Long Term Operation of Research Reactors"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8-16, 2019

      24 NANL, "MCTN6TM USER’S MANUAL, Rev. 0"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13

      25 박은태, "MCNPX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실의 광중성자 선량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83-289, 2015

      26 이창호, "MCNP6 코드를 이용한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전자 선형가속기 표적에서 발생한 광자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14 (14): 193-201, 2020

      27 이창호, "MCNP6 코드를 이용한 컨테이너 보안 검색용 전자 선형가속기 표적과 조준기에서 발생한 광중성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14 (14): 455-465, 2020

      28 G. S. Jo, "Large Container Radiation Inspection Technology and Domestic Status" 21 (21): 26-32, 2006

      29 KARA, "Implementation Level Diagnosis for the Field Study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ology"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Applicaion 143-186, 2013

      30 IAEA, "Hnadbook on photonuclear data for applications Cross-sections and spectr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18-264, 2000

      31 J. H. Lee, "Evaluation of Activation Characteristics of 10 MeV Electron Accelerator" 368-369, 2014

      32 Port Management Division, "Development of the World's First 3-D High-Speed Container Inspection System"

      33 Q. Gao, "Design and Optimization of the Target in Electron Linear Accelerator" 3663-3665, 2013

      34 Y. H. Cho, "Analysis of the Photoneutron Activation Effects Generted by 9 MeV X-ray in a Container Cargo Inspection Facility" 140 (140): 1-8, 2020

      35 D. H. Kim, "Analysis of Activation and Use the code"

      36 Y. H. Cho, "Analysis of Activaion Products by (n,γ)Reaction in a Cargo Inspection Facility Based on High Energy X-Ra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37 S. M. Lee, "A Study on Evaluation of Dose Rate of Shielding Facility for Air cargo Security System using Monte Carlo Method" Hanyang University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