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마을 유형별 주민역량교육에 관한 연구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Residents’ Competency Education Needs of Rural Village Types - Focused on the Building up Rural Village Revitaliz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51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ural development business policy of our country is seeking to change the existing top-down development method to the bottom-up development one. As residents’ participation in village development is being focused, residents’ competence has come to be considered important. Thus, this study classified the village type by investigating resources of the target villages in Chungcheongnam-do through a rural forum, and examined education needs targeting the residents of the villages through a survey. The preferred the type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farm villages were examined. It is needed to raise the efficiency of enhancing village development competence by regarding execution of the priority of competence enhancing education as a practical strategy. This also can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rural catchment typing research.
      번역하기

      The rural development business policy of our country is seeking to change the existing top-down development method to the bottom-up development one. As residents’ participation in village development is being focused, residents’ competence has com...

      The rural development business policy of our country is seeking to change the existing top-down development method to the bottom-up development one. As residents’ participation in village development is being focused, residents’ competence has come to be considered important. Thus, this study classified the village type by investigating resources of the target villages in Chungcheongnam-do through a rural forum, and examined education needs targeting the residents of the villages through a survey. The preferred the type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farm villages were examined. It is needed to raise the efficiency of enhancing village development competence by regarding execution of the priority of competence enhancing education as a practical strategy. This also can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rural catchment typing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환, "한국 농촌 지역의 공간시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88

      2 양병찬, "지역주민의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적 학습체제구축; 지역리더의 육성을 위하여" 12 : 143-164, 2000

      3 성주인,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6 (26): 1-22, 2003

      4 최상철, "지역발전정책의 회고와 새로운 농촌개발 방향" 농촌경제연구원 2013

      5 신중진,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마을만들기 추진방안 연구 - 2007~2009 살고싶은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43-56, 2013

      6 송미령,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모형 정립" 농촌경제연구원 2004

      7 최양부, "정주생활권 설정 및유형화" 농촌경제연구원 1985

      8 농림축산식품부, "일반농산어촌 역량단계별 지원 가이드라인" 농림축산식품부 2014

      9 농림축산식품부,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농촌현장포럼핸드북" 농림축산식품부 2013

      10 임경수, "농촌활력론"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1 이정환, "한국 농촌 지역의 공간시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88

      2 양병찬, "지역주민의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적 학습체제구축; 지역리더의 육성을 위하여" 12 : 143-164, 2000

      3 성주인,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6 (26): 1-22, 2003

      4 최상철, "지역발전정책의 회고와 새로운 농촌개발 방향" 농촌경제연구원 2013

      5 신중진,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마을만들기 추진방안 연구 - 2007~2009 살고싶은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43-56, 2013

      6 송미령,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모형 정립" 농촌경제연구원 2004

      7 최양부, "정주생활권 설정 및유형화" 농촌경제연구원 1985

      8 농림축산식품부, "일반농산어촌 역량단계별 지원 가이드라인" 농림축산식품부 2014

      9 농림축산식품부,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농촌현장포럼핸드북" 농림축산식품부 2013

      10 임경수, "농촌활력론"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11 김영택, "농촌마을 유형별 발전단계 설정을 위한 구분지표체계 개발" 전남대학교 2014

      12 신호철, "농촌마을 및 주택에 관한 연구; 개발과 정비유형에 관한 연구"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1993

      13 오승영,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 연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9

      14 김정섭,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 강화 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385-418, 2010

      15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16 "Small Village Development"

      17 "Rural Development"

      18 "NRN mission"

      19 "NERCRD Target"

      20 Spencer, L. M., "Competence at work: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Wiley 1993

      21 UNCED., "Capacity building. UNDP briefing" UNCED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6 1.05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