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민속학계의 동향과 한국 민속학의 설 자리 모색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민속학이란 학문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밀레니엄 시대〔當代〕의 중국민속학은 학문 정체성의 확립에서 학술 품격 혁신으로의 과정을 걷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학문적 방향을 설정하고, 어떠한 연구 범식(範式 : 양식, 패턴)을 세우느냐가 현재 중국민속학의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각에서 2000년 이후 중국민속학의 연구 현황에 대해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학문 성격에 대한 논의로서, 중국민속학계에서 사회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설정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평술(評述)하였다. 둘째는 학문 이론체계의 건립으로서, 중국민속학계의 민속지에 관한 새로운 주장에 관해 살펴보았다. 셋째는 연구영역의 혁신으로서, 역사민속학ㆍ구비문학연구〔民間文藝學〕ㆍ명절 및 공휴일문화 연구ㆍ민간신앙 연구 등 네 분야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았다. 필자가 보기에 근래의 중국민속학연구는 정화(精華)의 계승과 지식 혁신, 즉 경서제민(經世濟民)이란 민속학의 학문 좌표 설정과 이론 수준의 향상이라는 두 가지 주저로 귀납할 수 있다.
      번역하기

      민속학이란 학문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밀레니엄 시대〔當代〕의 중국민속학은 학문 정체성의 확립에서 학술 품격 혁신으로의 과정을 걷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학문적 방향...

      민속학이란 학문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밀레니엄 시대〔當代〕의 중국민속학은 학문 정체성의 확립에서 학술 품격 혁신으로의 과정을 걷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학문적 방향을 설정하고, 어떠한 연구 범식(範式 : 양식, 패턴)을 세우느냐가 현재 중국민속학의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각에서 2000년 이후 중국민속학의 연구 현황에 대해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학문 성격에 대한 논의로서, 중국민속학계에서 사회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설정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평술(評述)하였다. 둘째는 학문 이론체계의 건립으로서, 중국민속학계의 민속지에 관한 새로운 주장에 관해 살펴보았다. 셋째는 연구영역의 혁신으로서, 역사민속학ㆍ구비문학연구〔民間文藝學〕ㆍ명절 및 공휴일문화 연구ㆍ민간신앙 연구 등 네 분야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았다. 필자가 보기에 근래의 중국민속학연구는 정화(精華)의 계승과 지식 혁신, 즉 경서제민(經世濟民)이란 민속학의 학문 좌표 설정과 이론 수준의 향상이라는 두 가지 주저로 귀납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learning of folklore, chinese folklore in the millennium is in the process of academic innovation from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s an academic discipline. At present, the academic direction-establishment and research style-establishment are the new big thing in the chinese folklore. This paper researched the three present situation of a studies on chinese folklore after year 2000 in this sense.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academic nature in the learned circles of chinese folklore that chinese folklore as a social science should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Second,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theory system as the new opinions for ethnography in the learned circles of chinese folklore.
      Third,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innovation of the research field as the study of historical folklore,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the study of holiday, the study of folk beliefs. I deem that recent research trend of chinese folklore are organized two issues here; the first is the academic coordinate-establishment as the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and the second is the improvement academic standards.
      번역하기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learning of folklore, chinese folklore in the millennium is in the process of academic innovation from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s an academic discipline. At present, the academic direction-establishment and re...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learning of folklore, chinese folklore in the millennium is in the process of academic innovation from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s an academic discipline. At present, the academic direction-establishment and research style-establishment are the new big thing in the chinese folklore. This paper researched the three present situation of a studies on chinese folklore after year 2000 in this sense.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academic nature in the learned circles of chinese folklore that chinese folklore as a social science should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Second,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theory system as the new opinions for ethnography in the learned circles of chinese folklore.
      Third,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innovation of the research field as the study of historical folklore,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the study of holiday, the study of folk beliefs. I deem that recent research trend of chinese folklore are organized two issues here; the first is the academic coordinate-establishment as the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and the second is the improvement academic standar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학문 정체성의 확립에서 학술적 발전
      • Ⅱ. 본론
      • Ⅲ. 맺는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학문 정체성의 확립에서 학술적 발전
      • Ⅱ. 본론
      • Ⅲ. 맺는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비교민속학회 25 : 2003

      2 비교민속학회 26 : 2004

      3 비교민속학회 27 : 2004

      4 비교민속학회 28 : 2005

      5 비교민속학회 29 : 2005

      6 임석재, "한국민속학의 현황과 전망" 이화여자대학교 33 : 1979

      7 김태곤, "한국민속학의 방향" 원광대학교 9 : 1972

      8 장장식, "한국민속학 일본민속학" 국립민속박물관 2005

      9 김태곤, "한국민속학 연구 10년 반성" 민속학회 (12) : 1980

      10 인권환, "한국 민속학의 형성․전개와 과제" 민속학회 29 : 1997

      1 비교민속학회 25 : 2003

      2 비교민속학회 26 : 2004

      3 비교민속학회 27 : 2004

      4 비교민속학회 28 : 2005

      5 비교민속학회 29 : 2005

      6 임석재, "한국민속학의 현황과 전망" 이화여자대학교 33 : 1979

      7 김태곤, "한국민속학의 방향" 원광대학교 9 : 1972

      8 장장식, "한국민속학 일본민속학" 국립민속박물관 2005

      9 김태곤, "한국민속학 연구 10년 반성" 민속학회 (12) : 1980

      10 인권환, "한국 민속학의 형성․전개와 과제" 민속학회 29 : 1997

      11 "창간사" 민속학회 1 : 1969

      12 주영하, "중국에서의 민족학과 민속학"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10) : 2004

      13 張紫晨, "중국민속학이 걸어온 70년" 민속학회 23 : 1990

      14 유철량, "중국민속학사:中國民俗學思想의 發展" 남도민속학회 (17) : 79-112, 2008

      15 劉鐵梁, "중국 민속학 연구 동향 및 과제" 민속학회 29 : 1997

      16 龐建春, "중국 민속박물관의 역사와 현황" 국립민속박물관 (13) : 393-418, 2003

      17 竹田 旦, "일본에 있어서 민속학의 성립과 발전" 민속학회 29 : 1997

      18 박환영, "영국의 도시민속학 경향에 대한 연구" 한국민속학회 41 : 123-144, 2005

      19 김태곤, "민속학회 창립 10주년 기념 심포지움 요지문" 한국민속학회 12 : 1980

      20 최인학, "민속학의 성과와 반성과 과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72 : 1981

      21 주영하, "민속문화의 국제화 요구와비교민속학의 대응" 한국민속학회 40 : 179-213, 2004

      22 임재해, "민속문화의 공유 가치와민중의 문화주권" 한국민속학회 40 : 109-178, 2004

      23 이정재, "독일의 도시민속학 연구 경향" 한국민속학회 41 : 145-183, 2005

      24 이상현, "독일 도시민속학의 이론적 체계와 응용성" 비교민속학회 22 : 2002

      25 남근우, "도시민속학에서 포클로리즘 연구로 -임재해의 ‘비판적 성찰’에 부쳐-" 한국민속학회 47 : 29-69, 2008

      26 박환영, "도시민속학" 역락 2006

      27 박계홍, "韓國民俗學의 회고와 전망" 민속학회 21 : 1988

      28 김태곤, "韓國民俗學原論" 시인사 1984

      29 정연학, "鍾敬文과 중국민속학" 비교민속학회 15 : 1998

      30 劉宗迪, "論「海外經」與「大荒經」與上古曆法月令制度的關係" 北京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1

      31 陳崗龍, "蟒古思故事論"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3

      32 蕭 放, "荊楚歲時記硏究-兼論傳統中國民衆生活中的時間觀念"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0

      33 武宇嫦, "禮與俗的演繹-民俗學視野下的「禮記」硏究" 北京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7

      34 呂 微, "神話何爲-神聖敍事的傳承與闡釋"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1

      35 주강현, "碧初 洪命喜의 임꺽정(林巨正)과 風俗의 제문제- 1920년대 후반 한국민속학 형성기에서 洪碧初가 반드시 기록되어야 하는 이유 -" 한국역사민속학회 15 : 105-138, 2002

      36 鞠 熙, "碑刻民俗志--北京舊城寺廟碑刻民俗分析及其數据處理" 北京師範大學博士學位論文 2007

      37 董曉萍, "田野民俗志"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3

      38 董曉萍, "現代民俗學講演錄"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7

      39 陳華文, "浙江民俗史" 杭州出版社 2008

      40 顧希佳, "浙江故事史" 杭州出版社 2008

      41 蕭 放, "歷史民俗學的理論和方法芻議"

      42 高丙中, "日常生活的現代與後現代遭遇:中國民俗學發展的機遇與路向" (3) : 2006

      43 黎 敏, "建國初十年(1949-59) 民俗文獻史" 中國文史出版社 2008

      44 郭必恒, "史記」的民俗學硏究" 北京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2

      45 尹虎彬, "古代經典與口頭傳統"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2

      46 朝戈金譯, "口頭詩學-帕里․洛德理論"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0

      47 朝戈金, "口頭史詩詩學-冉皮勒「江格爾」程式句法硏究"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0

      48 曹福林, "先秦民俗史" 人民出版社 2008

      49 周巍峙, "中華民族의 文化를 새롭게 建設하자" 민속학회 29 : 1997

      50 趙世瑜, "中國現代民俗學(1918-1937)" 北京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1997

      51 "中國民間歌謠集成"

      52 "中國民間故事集成"

      53 "中國民族民間舞踊集成"

      54 "中國民族民間器樂曲集成"

      55 劉鐵梁 主編, "中國民俗文化志․北京․門頭溝區卷" 中央編譯出版社 2006

      56 劉鐵梁 主編, "中國民俗文化志․北京․宣武區卷" 中央編譯出版社 2006

      57 劉鐵梁, "中國民俗學發展的幾個階段" 山東大學校 4 : 1998

      58 王文寶, "中國民俗學史" 巴蜀書社 1995

      59 鍾敬文主編, "中國民俗史" 人民出版社 2008

      60 蕭 放․吳靜瑾, "中國歲時節日硏究綜述(1983-2003)" 學苑出版社 2006

      61 "中國曲藝音樂集成"

      62 "中國曲藝志"

      63 "中國戱曲音樂集成"

      64 "中國戱曲志"

      65 祁連休, "中國古代民間故事類型硏究" 河北敎育出版社 2007

      66 "中國俗談集成"

      67 董曉萍, "不灌而治-山西四社五村水利文獻與民俗" 中華書局 2003

      68 高丙中, "“民俗志”與“民族誌”的使用對于民俗學的當下意義" (1) : 2007

      69 남근우, "‘민속’의 근대, 탈근대의 민속학" 한국민속학회 38 : 191-220, 2003

      70 강등학, "21세기 민속학의 과제와 전망" 한국민속학회 40 : 25-40, 2004

      71 나경수, "21세기 민속문화와 정책 방향" 한국민속학회 40 : 41-65, 2004

      72 임재해, "20세기 민속학을 보는 '현재학' 논의의 비판적 인식" 남도민속학회 (11) : 211-260, 2005

      73 劉錫誠, "20世紀中國民間文學學術史" 河南大學出版社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