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te of Sanjeonsa temple(山田寺址) in Japan is a clan temple which was built in 641 by the prayers of the Soa(蘇我倉山田石川麻呂) presumptively of Baekje origin, and it shows the architecture culture of Baekje. In other words, the ar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03252
2006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9-68(2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ite of Sanjeonsa temple(山田寺址) in Japan is a clan temple which was built in 641 by the prayers of the Soa(蘇我倉山田石川麻呂) presumptively of Baekje origin, and it shows the architecture culture of Baekje. In other words, the arc...
The site of Sanjeonsa temple(山田寺址) in Japan is a clan temple which was built in 641 by the prayers of the Soa(蘇我倉山田石川麻呂) presumptively of Baekje origin, and it shows the architecture culture of Baekje. In other words, the architecture techniques of Baekje, observed from the ruined temple site in Yongjeong-li, Mireuk temple site, Jeonglim temple site, Neung temple site, and Keumgang temple site, are implied in the arrangement, the axis part under the basic platform, and the platform of the temple site on a field in the mountains.
The commonness of the architecture of Baekje and that of Japan shown from this proves that the two countries had constantly exchanged their culture until after the second quarter of the seventh century like they had done before. It also verifies that the active subject of the exchange was Baekje.
However, after the first half of the seventh century, Japan started its cultural interchange with Goguryeo, Silla, and China. Therefore, they might have influence on the site of Sanjeonsa temple(山田寺址). This is a topic for later discussion.
국문 초록 (Abstract)
倭 山田寺址는 백제계로 추정되는 蘇我倉山田石川麻呂의 발원에 의해 641년에 창건된 氏寺로 여기에는 백제의 건축문화가 내포되어 있다. 즉, 용정리 폐사지를 비롯한 미륵사지, 정림사지, ...
倭 山田寺址는 백제계로 추정되는 蘇我倉山田石川麻呂의 발원에 의해 641년에 창건된 氏寺로 여기에는 백제의 건축문화가 내포되어 있다. 즉, 용정리 폐사지를 비롯한 미륵사지, 정림사지, 능사지, 금강사지 등에서 살필 수 있는 백제의 건축기술들이 산전사지의 가람배치, 기단 아래의 축기부, 기단 등에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백제와 왜의 건축문화 상통성은 한편으로 7세기 2/4분기 이후까지 양국의 문화교류가 이전처럼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한편, 그 전파 주체가 백제였음도 알게 한다.
하지만 7세기 전반 이후 왜는 백제뿐만 아니라 고구려, 신라, 중국 등과도 교류를 맺고 있어 산전사지에서 이들 문화의 존재 또한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해선 차후의 논제로 삼고자 한다.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0.84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