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조직개편의 효과 실증분석: 노무현・이명박 정부의 중앙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의 변화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National Government Reorganization: A Focus on Changes in the Network Structures of Formal Document Exchanges between the Roh and Lee Administr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10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is usually influenced by the (new) president’s policy orien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resident. This study propose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se changes empirically between the Roh Administration and the Lee Administration, focusing on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s. This study applies social network analysis to research structural changes in inter-governmental co-working networks using formal document exchanges among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network structure changes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al. In particular, ministries with economic functions in the Lee Administr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pability as a broker in the network compared to during the Roh Administration.
      번역하기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is usually influenced by the (new) president’s policy orien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resident. This study propose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se changes empirically between the ...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is usually influenced by the (new) president’s policy orien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resident. This study propose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se changes empirically between the Roh Administration and the Lee Administration, focusing on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s. This study applies social network analysis to research structural changes in inter-governmental co-working networks using formal document exchanges among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network structure changes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al. In particular, ministries with economic functions in the Lee Administr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pability as a broker in the network compared to during the Roh Administ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정부조직개편의 효과를, 노무현-이명박 정부 간 정권변화에 따른 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라는 관점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실증분석결과,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정부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처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뚜렷한 변화는 노무현 정부에서 국가관리기능을 담당하는 부처들(중앙인사위원회와 행정자치부)에 대한 네트워크 집중도가 높았던 반면, 이명박 정부에서는 산업경제기능을 담당하는 부처들에 대한 집중도가 두드러지게 높아졌다는 점이다. 특히, 산업경제기능을 담당하는 부처들(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금융위원회, 농림수산식품부)은 조직개편 이후 사이중심성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기획재정부의 경우, 내향중심성과 사이중심성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하여 노무현 정부 때에 비해 부처 간 네트워크 구조에서 보다 중핵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정부조직개편의 효과를, 노무현-이명박 정부 간 정권변화에 따른 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라는 관점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실...

      이 논문은 정부조직개편의 효과를, 노무현-이명박 정부 간 정권변화에 따른 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라는 관점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실증분석결과,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정부부처 간 업무관계 네트워크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처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뚜렷한 변화는 노무현 정부에서 국가관리기능을 담당하는 부처들(중앙인사위원회와 행정자치부)에 대한 네트워크 집중도가 높았던 반면, 이명박 정부에서는 산업경제기능을 담당하는 부처들에 대한 집중도가 두드러지게 높아졌다는 점이다. 특히, 산업경제기능을 담당하는 부처들(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금융위원회, 농림수산식품부)은 조직개편 이후 사이중심성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기획재정부의 경우, 내향중심성과 사이중심성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하여 노무현 정부 때에 비해 부처 간 네트워크 구조에서 보다 중핵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덕, "현대 국가의 행정학" 법문사 2003

      2 김영평, "행정개혁의 논리와 방향 in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나남 1993

      3 염재호, "한일 행정개혁의 비교연구: 정부조직개편의 제도론적 접근" 정부학연구소 15 (15): 71-106, 2009

      4 이창신, "한국행정부조직 인력구조의 개체군 생태론적 변동에 관한 연구: 시 행정부조직을 중심으로" 23 (23): 1988

      5 이병태, "한국중앙정부조직개편의 성격" 5 (5): 2001

      6 오재록, "한국의 권력제 권력구조: 진단과 처방" 한국한술정보 2007

      7 조석준, "한국 중앙관서간의 교호작용에 관한 연구" 15 (15): 36-53, 1977

      8 김우식, "한국 정부조직의 팽창요인에 관한 연구: 상공부와 건설부를 사례로" 30 (30): 1996

      9 박천오, "한국 정부조직개편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조직학회 8 (8): 1-30, 2011

      10 이창길, "중앙부처의 수평적 정책네트워크 구조 분석: 협력과 경쟁 그리고 권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1-47, 2007

      1 정용덕, "현대 국가의 행정학" 법문사 2003

      2 김영평, "행정개혁의 논리와 방향 in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나남 1993

      3 염재호, "한일 행정개혁의 비교연구: 정부조직개편의 제도론적 접근" 정부학연구소 15 (15): 71-106, 2009

      4 이창신, "한국행정부조직 인력구조의 개체군 생태론적 변동에 관한 연구: 시 행정부조직을 중심으로" 23 (23): 1988

      5 이병태, "한국중앙정부조직개편의 성격" 5 (5): 2001

      6 오재록, "한국의 권력제 권력구조: 진단과 처방" 한국한술정보 2007

      7 조석준, "한국 중앙관서간의 교호작용에 관한 연구" 15 (15): 36-53, 1977

      8 김우식, "한국 정부조직의 팽창요인에 관한 연구: 상공부와 건설부를 사례로" 30 (30): 1996

      9 박천오, "한국 정부조직개편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조직학회 8 (8): 1-30, 2011

      10 이창길, "중앙부처의 수평적 정책네트워크 구조 분석: 협력과 경쟁 그리고 권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1-47, 2007

      11 조석준, "중앙부처와 각급 지방행정기관간의 기능분야별 접촉빈도에 관한 연구" 14 (14): 100-117, 1976

      12 박순애, "중앙부처간 협력・갈등관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국가표준업무 관련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6 (46): 207-234, 2008

      13 김영평, "정책이론에서 합리성의 한계와 모순의 관리" 한국행정연구소 46 (46): 1-33, 2008

      14 오재록, "정부조직의 네트워크 실증연구 : 43개 중앙행정기관의 수평적.수직적 네트워크 측정" 한국행정연구원 15 (15): 27-54, 2007

      15 유홍림, "정부조직설계 표준모델 개발" 한국조직학회 2006

      16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정부조직법 전부개정법률안(안상수의원 대표발의) 검토보고서" 국회행정자치위원회 2008

      17 조성한, "정부조직구조의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241-261, 2008

      18 조성한, "정부조직구조의 영향요인" 한국조직학회 4 (4): 1-18, 2007

      19 오재록, "정부조직개편에 따른 기획재정부의 권력관계 변화 분석" 한국행정연구소 47 (47): 212-232, 2009

      20 박대식, "정부조직개편에 대한 제도-선택적 분석: 국민의 정부 조직개편을 중심으로" 35 (35): 2001

      21 박대식, "정부조직개편 접근법 비교분석: 미국과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5 (5): 103-126, 2008

      22 행정안전부, "정부조직개편 백서" 행정안전부 2008

      23 오재록, "정부부처의 네트워크: 이명박 정부 41개 중앙행정기관 실증연구" 한국조직학회 8 (8): 31-58, 2011

      24 오재록, "정부부처의 권력 크기 분석 : 이명박 정부의 41개 중앙행정기관 실증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 (20): 67-91, 2011

      25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부기능과 조직개편. 인수위 발표자료"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08

      26 염재호, "정부관료제의 역사적 형성과 제도변화-중앙행정기관 조직시스템 변화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0 (10): 5-49, 2004

      27 민진, "이명박 정부의 중앙정부조직개편 사례 연구: 2008년 2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5 (5): 259-284, 2008

      28 박천오, "이명박 정부의 조직개편에 대한 공무원 인식: 통합부처 소속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9 (49): 1-30, 2011

      29 김근세, "우리나라 정부조직의 신설, 폐지, 승계" 30 (30): 1996

      30 박영기, "우리나라 정부조직의 변천에 관한 역사적 고찰" 21 (21): 1987

      31 이창원, "우리나라 정부기구 개편에 관한 비판적 고찰: 김대중 정부 3년을 중심으로" 10 (10): 2001

      32 이창원, "우리나라 민주화 이후의 정부조직 개편의 특성에 대한 고찰: ‘작은 정부론’적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17, 2009

      33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02

      34 행정안전부, "사무관리실무편람" 행정안전부 2008

      35 오재록, "관료적 자율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45개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8 (18): 3-29, 2010

      36 Borgatti, S.P.,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Analytic Technologies 2002

      37 Moe,Ronald C, "Traditional Organizational Principles and the Managerial Presidency: From Phoenix to Ashes" 50 (50): 129-140, 1990

      38 Johnson,N, "The Reorganization of Central Government" 49 (49): 1-12, 1971

      39 Wasserman, S,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1994

      40 Moore,Patricia, "Reorganization 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Westview Press 1955-1958, 1998

      41 Conant,J, "Reorganization and the Bottom Line" 46 (46): 48-56, 1986

      42 Boyle,J.M, "Reorganization Reconsidered: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Departmentalization Problem" 39 (39): 458-465, 1979

      43 Knott, Jack H, "Reforming Bureaucracy: The Politics of Institutional Choice" Prentice-Hall 1987

      44 Stanton T.H,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Government Performance"

      45 Ziller,J, "Organising the Central State Adminstration: Policies and Instrument" OECD 2006

      46 Fain, T. G, "Federal Reorganization: The Executive Branch" Bowker 1977

      47 Dunleavy,P, "Democracy, Bureaucracy and Public Choice.:Economic Explanations in Political Science" Harvester Wheatsheaf 1991

      48 Caiden,Gerald E, "Administrative Reform Comes of Age in The New Effective Public Manager" Jossy-Bass Publishers 1991

      49 Hood, C. C., "Administrative Argument" Dartmouth 1991

      50 송하중, "21세기 행정환경과 정부기능" 2 (2):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