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중간계층의 특성 및 상태의 변화 =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al Change of Middle Class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54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polarization is defined in two ways. One definition is related to class. It means the proportional decrease of middle class and the proportional increase of low and high classes. The other definition is related to the declining status. First, bipolarization related to class cannot be correct in China because middle class has increased since the reforming of traditional socialist system.
      Second, the decline of status can be correct in some classes while it cannot be correct in other classes. The income of self-employed individuals which is one of middle class, has decreased. The income of agricultural workers which is one of low classes, has decreased. The incomes of governmental and social administrators, professional managers, and private entrepreneurs have increased. But income trends of other classes are not enough to interpret them as bipolarized. Clerical employees have maintained in the middle position of income level. We cannot interpret that commercial and service-sector workers, and industrial workers have fallen in terms of income level. In summary, in China, bipolarization is relative and partial.
      On the other hand, middle class holds a middle position in terms of economic status. But in comparison with other classes, middle class are internally heterogeneous. Labor class are comparatively homogeneous. Middle class are composed of various occupational groups. Especially, old middle class is different from new middle class.
      번역하기

      Bipolarization is defined in two ways. One definition is related to class. It means the proportional decrease of middle class and the proportional increase of low and high classes. The other definition is related to the declining status. First, bipol...

      Bipolarization is defined in two ways. One definition is related to class. It means the proportional decrease of middle class and the proportional increase of low and high classes. The other definition is related to the declining status. First, bipolarization related to class cannot be correct in China because middle class has increased since the reforming of traditional socialist system.
      Second, the decline of status can be correct in some classes while it cannot be correct in other classes. The income of self-employed individuals which is one of middle class, has decreased. The income of agricultural workers which is one of low classes, has decreased. The incomes of governmental and social administrators, professional managers, and private entrepreneurs have increased. But income trends of other classes are not enough to interpret them as bipolarized. Clerical employees have maintained in the middle position of income level. We cannot interpret that commercial and service-sector workers, and industrial workers have fallen in terms of income level. In summary, in China, bipolarization is relative and partial.
      On the other hand, middle class holds a middle position in terms of economic status. But in comparison with other classes, middle class are internally heterogeneous. Labor class are comparatively homogeneous. Middle class are composed of various occupational groups. Especially, old middle class is different from new middle cl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양극화개념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한다. 하나는 계급적 입장에서의 정의이다. 이는 중간계층이 축소되면서 상층이나 하층으로 모이는 현상이다. 다른 하나는 지위 상 하락하는 현상이다. 중간계층의 구성원이 계속 중간계층으로 머물더라도 지위가 하락해서 하층에 근접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컨대, 중간계층에 머물더라도 소득․권력․소비․의식 등 다양한 기준에서 하락하여 하층에 근접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런데, 계급적 입장에서 양극화는 중국사회에 적용하기 힘들 것 같다. 중간계층이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확대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간계층이 확대되더라도 이것이 중간계층․비중간계층의 경제적 지위하락과 소득양극화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중간계층 가운데 개체공상호는 소득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사무원은 소득이 중간적 위치를 지속하는 현상을 보인다. 상층 가운데 국가․사회관리자와 전문경영자는 최근들어 소득수준의 증가율이 급속히 상승하고 있고 사영기업주 상층도 소득증가율이 상승하는 집단이다.
      반면, 상업․서비스직이나 산업노동자는 개혁․개방 이래 특별히 상대적 소득수준이 하락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상업․서비스직이나 산업노동자로 유입한 농민공이 도시부문에서 양극화추세를 조장하여왔다. 농업노동자의 경우, 개혁․개방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었지만, 1990년대에 접어들어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하락함에 따라 양극화추세를 조장하였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소득의 불균등정도가 심화되면서도 하층의 소득이 계속 감소하는 절대적 불평등추세는 아니며, 소득불균등정도가 심화되면서도 하층의 소득이 계속 증가하는 상대적 불평등추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의 양극화는 굳이 표현한다면, 부분적․상대적 양극화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히 중간계층과 관련한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간계층은 다양한 직업집단으로 구성되어있지만, 경제적 지위에서 중간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동질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간계층은 다른 계층에 비해 내부적으로 매우 이질적기도 하다. 노동자계급과 자본가계급은 내부적으로 비교적 동질적인 반면, 중간계층은 우선 계층구조에서 중간적 위치라는 이유 때문에 같은 범주로 묶고 있기 때문에 다른 계층에 비해 이질적일 수 있다. 특히 구중간계층과 신중간계층으로 각각 분류되는 직업집단간에 이질성이 상당히 존재한다는 점은 살펴본와 같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양극화개념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한다. 하나는 계급적 입장에서의 정의이다. 이는 중간계층이 축소되면서 상층이나 하층으로 모이는 현상이다. 다른 하나는 지위 ...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양극화개념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한다. 하나는 계급적 입장에서의 정의이다. 이는 중간계층이 축소되면서 상층이나 하층으로 모이는 현상이다. 다른 하나는 지위 상 하락하는 현상이다. 중간계층의 구성원이 계속 중간계층으로 머물더라도 지위가 하락해서 하층에 근접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컨대, 중간계층에 머물더라도 소득․권력․소비․의식 등 다양한 기준에서 하락하여 하층에 근접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런데, 계급적 입장에서 양극화는 중국사회에 적용하기 힘들 것 같다. 중간계층이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확대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간계층이 확대되더라도 이것이 중간계층․비중간계층의 경제적 지위하락과 소득양극화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중간계층 가운데 개체공상호는 소득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사무원은 소득이 중간적 위치를 지속하는 현상을 보인다. 상층 가운데 국가․사회관리자와 전문경영자는 최근들어 소득수준의 증가율이 급속히 상승하고 있고 사영기업주 상층도 소득증가율이 상승하는 집단이다.
      반면, 상업․서비스직이나 산업노동자는 개혁․개방 이래 특별히 상대적 소득수준이 하락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상업․서비스직이나 산업노동자로 유입한 농민공이 도시부문에서 양극화추세를 조장하여왔다. 농업노동자의 경우, 개혁․개방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었지만, 1990년대에 접어들어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하락함에 따라 양극화추세를 조장하였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소득의 불균등정도가 심화되면서도 하층의 소득이 계속 감소하는 절대적 불평등추세는 아니며, 소득불균등정도가 심화되면서도 하층의 소득이 계속 증가하는 상대적 불평등추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의 양극화는 굳이 표현한다면, 부분적․상대적 양극화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히 중간계층과 관련한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간계층은 다양한 직업집단으로 구성되어있지만, 경제적 지위에서 중간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동질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간계층은 다른 계층에 비해 내부적으로 매우 이질적기도 하다. 노동자계급과 자본가계급은 내부적으로 비교적 동질적인 반면, 중간계층은 우선 계층구조에서 중간적 위치라는 이유 때문에 같은 범주로 묶고 있기 때문에 다른 계층에 비해 이질적일 수 있다. 특히 구중간계층과 신중간계층으로 각각 분류되는 직업집단간에 이질성이 상당히 존재한다는 점은 살펴본와 같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버크롬비, "현대자본주의와 중간계급" 한울 1986

      2 홍두승, "한국사회발전과 중산층의 역할(중산층의 역할과 사회발전)" 2006

      3 이중희, "중국에서의 중간계층의 성장과 구조변화"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9 (9): 221-250, 2005

      4 이중희, "중국 노동자계급의 구성 및 상태의 변화" 한국아시아학회 9 (9): 51-77, 2006

      5 민승규, "소득양극화의 현상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006

      6 홍두승, "사회계층․계급론" 다산출판사 2002

      7 李强, "轉型時期中國社會分層" 沈陽: 遼寧敎育出版社 2004

      8 張偉, "衝突與變數: 中國社會中間階層政治分析"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5

      9 李强, "社會分層與貧富差別" 福州: 鷺江出版社 2000

      10 陸學藝, "當代中國社會流動"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4

      1 에버크롬비, "현대자본주의와 중간계급" 한울 1986

      2 홍두승, "한국사회발전과 중산층의 역할(중산층의 역할과 사회발전)" 2006

      3 이중희, "중국에서의 중간계층의 성장과 구조변화"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9 (9): 221-250, 2005

      4 이중희, "중국 노동자계급의 구성 및 상태의 변화" 한국아시아학회 9 (9): 51-77, 2006

      5 민승규, "소득양극화의 현상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006

      6 홍두승, "사회계층․계급론" 다산출판사 2002

      7 李强, "轉型時期中國社會分層" 沈陽: 遼寧敎育出版社 2004

      8 張偉, "衝突與變數: 中國社會中間階層政治分析"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5

      9 李强, "社會分層與貧富差別" 福州: 鷺江出版社 2000

      10 陸學藝, "當代中國社會流動"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4

      11 陸學藝, "當代中國社會階層硏究報告"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2

      12 孫立平, "斷裂:20世紀90年代以來的中國社會"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

      13 孫立平, "斷裂:20世紀90年代以來的中國社會"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

      14 李春玲, "斷裂與碎片: 當代中國社會階層分化實證硏究"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5

      15 孫立平, "失衡:斷裂社會的運作邏輯"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4

      16 魏杰,譚偉, "基尼係數理論與中國現實的碰撞(2006)"

      17 孫立平, "博弈:斷裂社會的利益衝突與和諧"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6

      18 李春玲, "十大社會階層的劃分(當代中國社會流動)"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4

      19 吳鵬森, "努力擴大中間階層, 率先構建現代化社會構造:上海現代化社會結構初探(2005)" 中國社會學网

      20 周曉虹, "中産階級: 何以可能與何以可爲" 2002. 中國人民大學. 復印報刊資料 2 : 2003

      21 葛延風, "中國城市企業勞動就業與社會保障狀況: 抽樣調査分析報告"

      22 周曉虹, "中國中産階層調査"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KCI등재
      2009-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2 0.8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