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질환자, 퇴원해도 갈 곳이 없다"
2 "정신질환자 무더기 퇴원, 앞으로 문제는 누가 책임질까"
3 신권철,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물화(物化)되는 인격적 주체성의 복원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637-679, 2014
4 신권철,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 개선과 가정법원의 역할"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5 김종법, "이탈리아 노동운동의 이해"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4
6 "묻지마 살인’ 불안...정신질환자 대비 철저해야"
7 박귀천, "독일의 정신보건법제와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제도" 법학연구소 19 (19): 357-395, 2014
8 신권철, "개정 정신보건법에 따른 입・퇴원제도 운영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9 신권철, "강제입원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4 (24): 1-45, 2017
10 S. Ramon, "過渡期の精神医療:英国とイタリアの経験から" 海声社 1992
1 "정신질환자, 퇴원해도 갈 곳이 없다"
2 "정신질환자 무더기 퇴원, 앞으로 문제는 누가 책임질까"
3 신권철,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물화(物化)되는 인격적 주체성의 복원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637-679, 2014
4 신권철,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 개선과 가정법원의 역할"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5 김종법, "이탈리아 노동운동의 이해"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4
6 "묻지마 살인’ 불안...정신질환자 대비 철저해야"
7 박귀천, "독일의 정신보건법제와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제도" 법학연구소 19 (19): 357-395, 2014
8 신권철, "개정 정신보건법에 따른 입・퇴원제도 운영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9 신권철, "강제입원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4 (24): 1-45, 2017
10 S. Ramon, "過渡期の精神医療:英国とイタリアの経験から" 海声社 1992
11 "http://www.socialesalute.it/res/download/1_74_20110405101827.pdf"
12 "http://www.parlamento.it/home"
13 "http://www.istat.it/it/"
14 "http://www.giustizia.it/giustizia/"
15 "http://www.cortedicassazione.it/home.asp"
16 "http://www.cortecostituzionale.it/default.do"
17 "http://blog.naver.com/mohw2016/221020183577"
18 Dipartimento della Programmazione e dell’Ordinamento del Servizio Sanitario Nazionale, "Rapporto annuale sull’attivita di ricovero ospedaliero: Dati SDO 2011" 2011
19 P. Sarteschi, "Psychiatry, Human Rights and the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20 OCED, "Italia Relazione sullo stato sanitario del pa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