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탈리아의 강제입원제도 = Involuntary Admission of Ita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45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eptember 2016, the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n unconstitutional ruling on the compulsory admission provisions of Article 24 of the Mental Health Act in the unanimous agreement of the judges. Prior to this, in May 2016, the National Assembly revised the Mental Health Act enacted in 1995 and amended it to the new Mental Health Welfare Act.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hospitalization by a guardian in Article 24, which was the most problematic regulations in the previous Mental Health Act. Compulsory admission and forced treatment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constitute a serious violation of individual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there shall be a need fo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legal basis for allowing such infringement. However, there are not many legal studies on the forced admission system of mental patients in Korea.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look at foreign cases and get implications out from the cas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Italy's case where abolished mental hospitals and strictly restricts focused admission. In the following, it introduces the overview and actual condition of the compulsory admission system in Italy, the contents of related laws and guidelines. In the conclusion, I review the the compulsory admission system in Italy, and come out with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in Korean forced admission system and policies.
      번역하기

      In September 2016, the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n unconstitutional ruling on the compulsory admission provisions of Article 24 of the Mental Health Act in the unanimous agreement of the judges. Prior to this, in May 2016, the National Assembly rev...

      In September 2016, the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n unconstitutional ruling on the compulsory admission provisions of Article 24 of the Mental Health Act in the unanimous agreement of the judges. Prior to this, in May 2016, the National Assembly revised the Mental Health Act enacted in 1995 and amended it to the new Mental Health Welfare Act.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hospitalization by a guardian in Article 24, which was the most problematic regulations in the previous Mental Health Act. Compulsory admission and forced treatment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constitute a serious violation of individual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there shall be a need fo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legal basis for allowing such infringement. However, there are not many legal studies on the forced admission system of mental patients in Korea.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look at foreign cases and get implications out from the cas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Italy's case where abolished mental hospitals and strictly restricts focused admission. In the following, it introduces the overview and actual condition of the compulsory admission system in Italy, the contents of related laws and guidelines. In the conclusion, I review the the compulsory admission system in Italy, and come out with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in Korean forced admission system and poli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9월 헌법재판소는 정신보건법 제24조의 강제입원 조항에 대해 재판관 전원일치로 위헌 결정을 내렸다. 그리고 이에 앞서 2016년 5월 국회는 1995년 제정된 정신보건법을 전부 개정하여 새로운 정신건복지법을 입법하였다. 정신건강복지법은 정신보건법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제24조의 가족인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의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강제입원 및 강제치료는 개인의 자유권적 기본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침해를 허용하는 법적 근거에 대해서는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정신질환자의 강제입원제도 관련 법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외국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시사점을 얻을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정신병원을 폐지하고 강제입원제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강제입원제도에 대한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전개(Ⅱ)와 그 실태(Ⅲ), 관련 법령 및 지침의 내용(Ⅳ) 등을 소개한다. 그리고 결론에서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특징 및 시사점을 정리함으로서 우리나라의 강제입원 관련 제도 및 정책 마련에 단초가 되고자 한다.
      번역하기

      2016년 9월 헌법재판소는 정신보건법 제24조의 강제입원 조항에 대해 재판관 전원일치로 위헌 결정을 내렸다. 그리고 이에 앞서 2016년 5월 국회는 1995년 제정된 정신보건법을 전부 개정하여 새...

      2016년 9월 헌법재판소는 정신보건법 제24조의 강제입원 조항에 대해 재판관 전원일치로 위헌 결정을 내렸다. 그리고 이에 앞서 2016년 5월 국회는 1995년 제정된 정신보건법을 전부 개정하여 새로운 정신건복지법을 입법하였다. 정신건강복지법은 정신보건법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제24조의 가족인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의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강제입원 및 강제치료는 개인의 자유권적 기본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침해를 허용하는 법적 근거에 대해서는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정신질환자의 강제입원제도 관련 법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외국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시사점을 얻을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정신병원을 폐지하고 강제입원제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강제입원제도에 대한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전개(Ⅱ)와 그 실태(Ⅲ), 관련 법령 및 지침의 내용(Ⅳ) 등을 소개한다. 그리고 결론에서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특징 및 시사점을 정리함으로서 우리나라의 강제입원 관련 제도 및 정책 마련에 단초가 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전개
      • Ⅲ.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실태
      • Ⅳ.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내용
      • Ⅴ. 결론 : 특징 및 시사점
      • Ⅰ. 서론
      • Ⅱ.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전개
      • Ⅲ.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실태
      • Ⅳ. 이탈리아 강제입원제도의 내용
      • Ⅴ. 결론 : 특징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신질환자, 퇴원해도 갈 곳이 없다"

      2 "정신질환자 무더기 퇴원, 앞으로 문제는 누가 책임질까"

      3 신권철,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물화(物化)되는 인격적 주체성의 복원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637-679, 2014

      4 신권철,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 개선과 가정법원의 역할"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5 김종법, "이탈리아 노동운동의 이해"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4

      6 "묻지마 살인’ 불안...정신질환자 대비 철저해야"

      7 박귀천, "독일의 정신보건법제와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제도" 법학연구소 19 (19): 357-395, 2014

      8 신권철, "개정 정신보건법에 따른 입・퇴원제도 운영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9 신권철, "강제입원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4 (24): 1-45, 2017

      10 S. Ramon, "過渡期の精神医療:英国とイタリアの経験から" 海声社 1992

      1 "정신질환자, 퇴원해도 갈 곳이 없다"

      2 "정신질환자 무더기 퇴원, 앞으로 문제는 누가 책임질까"

      3 신권철,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물화(物化)되는 인격적 주체성의 복원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2 (22): 637-679, 2014

      4 신권철,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 개선과 가정법원의 역할"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5 김종법, "이탈리아 노동운동의 이해"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4

      6 "묻지마 살인’ 불안...정신질환자 대비 철저해야"

      7 박귀천, "독일의 정신보건법제와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제도" 법학연구소 19 (19): 357-395, 2014

      8 신권철, "개정 정신보건법에 따른 입・퇴원제도 운영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9 신권철, "강제입원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4 (24): 1-45, 2017

      10 S. Ramon, "過渡期の精神医療:英国とイタリアの経験から" 海声社 1992

      11 "http://www.socialesalute.it/res/download/1_74_20110405101827.pdf"

      12 "http://www.parlamento.it/home"

      13 "http://www.istat.it/it/"

      14 "http://www.giustizia.it/giustizia/"

      15 "http://www.cortedicassazione.it/home.asp"

      16 "http://www.cortecostituzionale.it/default.do"

      17 "http://blog.naver.com/mohw2016/221020183577"

      18 Dipartimento della Programmazione e dell’Ordinamento del Servizio Sanitario Nazionale, "Rapporto annuale sull’attivita di ricovero ospedaliero: Dati SDO 2011" 2011

      19 P. Sarteschi, "Psychiatry, Human Rights and the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20 OCED, "Italia Relazione sullo stato sanitario del pae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68 0.99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