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해당지역 도시민의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 오호감을 분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하삼도(충청․전라․경상 이하 하삼도) 지역 시민이 갖는 각 지역(강원‧경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00440
2009
-
지역 시민 ; 지역편견 ; 언어적 오호감 ; 지역차별 ; Regional Prejudice ; Stereotype ; Dislike-like of Language ; Residents ; Discrimination
3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7-153(3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당지역 도시민의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 오호감을 분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하삼도(충청․전라․경상 이하 하삼도) 지역 시민이 갖는 각 지역(강원‧경기̷...
본 연구는 해당지역 도시민의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 오호감을 분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하삼도(충청․전라․경상 이하 하삼도) 지역 시민이 갖는 각 지역(강원‧경기‧충청‧전라‧경상‧서울)대한 언어적 오호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후 통계 분헉하였다. 다음은 자녀의 배우자로써 지역출신의 호감도를 측정한 후, 정부별(김영삼정부‧김대중정부) 지역차별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충청, 영남지역 시민은 각 지역 언어적 오호도 범주에 긍정하였지만, 호남지역 시민은 동의하지 않았다. 호남에 대한 영남지역 시민 오호감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호남지역 시민은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대해서 미미한 수준에서 응답하고 있다. 자녀 배우자 만족도에서 하삼도 지역 시민은 자신의 지역출신을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다음 순위로는 한결같이 서울 출신을 선호하고 있었다. 정부별 지역차별에 대해서 김영삼정권기에는 호남지역 시민이 상대적으로 차별을 많이 받았다고 응답한 반면, 김대중정권기에는 영남지역 시민이 많이 차별을 받았다는 분석결과이다. 다만 충청지역 시민은 김영삼정부 보다는 김대중정부에 비교적 덜 차별대우 받았다는 연구 분석이다.
결론적으로 각 지역의 언어적 오호도는 영남지역 시민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호남지역 시미은 충청지역 시민에 비해서 낮은 오호도를 보이고 있다. 자녀 배우자 호감도에서 각 지역 시민은 자신의 지역 시민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은 반면, 타 지역 시민은 비선호하고 있다. 지역차별에 인식도 영남지역 시민이 상대적으로 높게 보이고 있다는 연구 결과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a affection for the dislike-like of language on which was effected the categorization of the prejudge and stereotype in three local residents(Chungchong‧Honam‧Kyungsang). This paper at first, was analyzed on survey in...
This study researched a affection for the dislike-like of language on which was effected the categorization of the prejudge and stereotype in three local residents(Chungchong‧Honam‧Kyungsang). This paper at first, was analyzed on survey in other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dislike-like of language that local residents have concerned with each regions. Next, after it was measured the degree of dislike-like as a life partner of his children, comparatively analyzed the degree of discriminations in each regimes(Kim, Yuongsam and Kim, Daejuong's governments)
As a result, local residents of Chungchong and Toungnam approbated the categorization about a affection for the dislike-like of language, but Honam did not. While residents of Youngnam which has the dislike-like for Honam is the highest level, Honam's residents in a little level was comparatively responded to other regions. The degree of contentment on his children parter was to prefer regions of themselves. to others', then all residents of regions liked Seoul people. In the discriminations at each regimes, it was showed much more the differentiations that Honam residents was received treatment in the period of Kim, Youngsam' government, than the discrimination which Youngnam residents was received treatment in the period of Kim, Daejuong' government. It was a result to study that Chungchong' residents was received less treatment in Kim, Daejuong government than in Kim' Youngsam'.
The degree of which has dislike-like each local residents, in conclusion, come out more highly to Youngnam's residents than to the other residents, the degree of which has dislike-like showed more lowly to Honam's residents than to Chungchong's. In the food feeling of his children parter's, each residents have the best effect of preferences to themselves, the other side don't have the effect of preference. In the degree recognition, it was results to study a comparative highly revel in Youngnam resi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충남, "호남 중소도시민의 지역편견에 대한 고찰" 대한정치학회 14 (14): 21-50, 2006
2 김만흠, "한국정치의 재인식" 풀빛 1997
3 김재철, "한국정치에 있어서 지역감정 연구" 한남대학교 1996
4 원한식, "한국정치에 있어서 영호남 지역감정" 사회과학연구원 3 : 123-140, 1987
5 고흥화, "한국인의 지역적 편견 in 자료로 엮은 한국인의 지역감정" 성원사 289-300, 1976
6 전병재,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한국사회학회 편 in: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성원사 1990
7 오수열, "한국사회의 남남갈등과 그 해소를 통한 국민통합 방안: 지역갈등을 주심으로" 15 (15): 61-83, 2005
8 유동식, "한국무속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학교출판부 1983
9 김욱, "한국 지역주의의 지역별 특성과 변화 가능성: 대전,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4 (14): 83-105, 2004
10 신복룡, "한국 지역감정의 역사적 배경: 호남 포비아 중심으로"
1 지충남, "호남 중소도시민의 지역편견에 대한 고찰" 대한정치학회 14 (14): 21-50, 2006
2 김만흠, "한국정치의 재인식" 풀빛 1997
3 김재철, "한국정치에 있어서 지역감정 연구" 한남대학교 1996
4 원한식, "한국정치에 있어서 영호남 지역감정" 사회과학연구원 3 : 123-140, 1987
5 고흥화, "한국인의 지역적 편견 in 자료로 엮은 한국인의 지역감정" 성원사 289-300, 1976
6 전병재,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한국사회학회 편 in: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성원사 1990
7 오수열, "한국사회의 남남갈등과 그 해소를 통한 국민통합 방안: 지역갈등을 주심으로" 15 (15): 61-83, 2005
8 유동식, "한국무속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학교출판부 1983
9 김욱, "한국 지역주의의 지역별 특성과 변화 가능성: 대전,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4 (14): 83-105, 2004
10 신복룡, "한국 지역감정의 역사적 배경: 호남 포비아 중심으로"
11 김성국,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적 불안정과 시민권력의 형성 in 한국사회의 구조론적 이해" 아르케 299-343, 1999
12 이성우, "편견 및 편향적 지역개발 가성의 유효성: 주거 밀도를 적용할 경우" 15 (15): 91-112, 2003
13 한석규, "측정방법의 비교를 통한 지역 고정관념의 분석" 6 (6): 168-185, 1992
14 민하영, "청소년과 부모의 지역감정 관계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학회 28 (28): 277-287, 2007
15 김혜숙, "집단범주에 대한 신념과 호감도가 편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성편견, 인종편견과 한국의 성 편견 지역편견의 비교" 15 (15): 1-161, 2001
16 안신호, "집단 고정관념 형성에 있어서의 감정과 지성의 효과" 3-36, 1988
17 노병만, "지역할거주의 정치구조의 형성과 그 원인 분석: 지역감정․지역갈등 개념을 대신하여" 32 (32): 59-85, 1998
18 이갑윤, "지역주의의 정치적 정향과 태도" 극동문제연구소 18 (18): 6-178, 2002
19 흥기용,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요인에 관한 고찰: 영․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13 (13): 81-94, 2001
20 조기숙, "지역주의 선거와 합리적 유권자" 나남 2000
21 김진국, "지역감정의 실상과 그 해소방안 in: 한국심리학회편" 1988
22 김홍석, "지역감정의 사회학적 이해" 부산대학교 1989
23 김용학, "지역감정의 관계적 분석: 결혼 연결망을 중심으로" 24 (24): 1990
24 정기선, "지역감정과 지역갈등인식의 변화: 1988년과 2003년 비교" 한국사회학회 39 (39): 69-99, 2005
25 나간채, "지역(민)간의 사회적 거리감 in: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성원사 79-105, 1990
26 고연규, "지방화 시대에 따른 영호남 균형발전과 지역감정 해소책에 관한 연구" (30) : 285-310, 1991
27 오관석, "지방 정치문화와 참여"
28 송관재, "지각적 특출성과 내외집단편파가 개인의 착각상관에 미치는 영향: 기억추론과 온라인 추록과정의 비교" 연세대학교 1992
29 최영진, "제16대 총선과 한국 지역주의 성격" 35 (35): 149-166, 2001
30 김도종, "제16대 국회의원 선거결과에 대한 집합자료 분석" 34 (34): 105-127, 2000
31 이정진, "정당연합과 지역주의" 극동문제연구소 19 (19): 5-138, 2003
32 이소영, "전통적 가치와 지역감정" 37 (37): 31-35, 2003
33 김태균, "전통사상과 한국정치" 성균관대학교 1995
34 최장집, "이데올로기로서의 지역감정 in: 한국 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 1996
35 박군석, "영호남인의 사회구조 요인 지각과 사회정체성이 상대박탈과 집합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7 (17): 59-72, 2003
36 공인숙, "영·호남 지역 아동 및 청소년의 지역감정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59-167, 2007
37 홍영오, "암묵적 연합검사에 의한 지역 편견의 측정" 15 (15): 185-204, 2001
38 김혜숙, "심리학에서 본 지역감정: 지역간 고정관념과 편견의 실상-세대간 전이가 존재하는가?" 춘계심포지엄 1988
39 이동호, "신념 좌담회:<지역감정 해소는 이렇게> in: 영,호남인은 지역굴레 벗어나 적의없는 의학(戱謔)으로 감정풀라"
40 김?범?준, "사회적 범주화가 지역감정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6 (16): 1-18, 2002
41 민경환, "사회심리학 연구의 활성화 방안: 역사형성에의 참여" 한국임상심리학회 1991
42 정근식, "불균등 발전과 지역주의, 그리고 지역 담론의 변화 한국사회사학회 편 in: 한국현대사와 사회변동" 문학과 지성사 285-317, 1997
43 안완기, "국민의 정부 하에서 지역감정 해소방안: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2 (2): 211-236, 1999
44 한국방송개발원, "TV프로그램의 지역 이미지 분석연구" 한국방송개발원 1994
45 Sechrist, G. B, "Stereotypes and prejudice as social nonns in The social psychology of prejudice: Historical perspectives" Lewinian Press 2002
46 Crandall, C. S, "Social norms and the expression and suppression of prejudice: The struggle for internalization" 82 : 359-378, 2002
47 Tajfel, H.,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 33 : 1-39, 1982
48 Jonathan, L. Freedman, "Social Psychology" Prentice-Hall 464-473, 1981
49 Howard, J. W., "Social Categorization and Memory for Ingroup and Out group Behavior" 38 : 301-310, 1980
50 Rothbort, M, "Social Categorization and Behavioral episodes: A cogni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tergroup contact" 41 : 81-104, 1985
51 Katz D, "Racial Prejudice and Racial Stereotypes" 28 : 280-290, 1933
52 Lippman Walter, "Public Opinion" The Macmillian Company 79-103, 1950
53 Sechrist, G. B, "Perceived consensus influences intergroup behavior and stereotype accessibility" 80 : 645-654, 2001
54 Hong, Yi-sup, "Korea's Self-identity" Yonsei University Press 1973
55 Stephen, W. G, "Intergroup relation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 2" Random House 599-659, 1985
56 Brigham, J. C, "Ethnic stereotypes" 76 : 15-38, 1971
57 Helgesen, G, "Democracy and Authority in Korea" Sr. Martin's Press 1988
58 Koh, Byong-ik, "Confucianism in Comtemporary Korea in Confucian Traditions in East Asian Moder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59 Tu, Wei-ming, "Confucian Traditions in East Asian Modern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60 Blanchard, F. A, "Condemning and condoning racism: A social context approach to interracial setting" 79 : 993-997, 1971
61 Berger, P., "An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in Search of an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Transaction Published 1988
62 이진숙, "8도인의 성격특성에 대한 선견관념" 12 : 74-87, 1959
63 박찬욱, "4․13 총선의 정치적 의의 in: 4․13 총선: 캠페인 사례연구와 쟁점 분석"
64 박상병, "4 ․13총선 결과와 정당체계: 변화와 한계 in: 4․13총선: 캠페인 사례연구와 쟁점분석"
광주 지역 학문 목적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9-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6-06-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4 | 0.837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