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진숙, "한국 전후시에 나타난 몸에 대한 표상과 그 의미 -『韓國戰後問題詩集』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75-96, 2010
2 이어령, "출판과 교육에 바친 열정" 우촌기념사업회출판부 144-, 1992
3 염무웅, "책읽기, 글쓰기, 책 만들기" 12 : 30-32, 2011
4 송승환, "조향 시의 수사학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47) : 197-217, 2011
5 스티븐 스테판쳅, "전후미국시평설" 동인 2004
6 김양희, "전후 신진시인들의 언어인식과 ‘새로운 시’ 의 가능성" 인문과학연구소 (72) : 61-106, 2014
7 최진석, "전후 문학장의 재구성과 '번역문학' : 을유문화사판 세계문학전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5
8 이봉범, "전후 문학 장의 재편과 잡지 『문학예술』" 상허학회 20 : 169-193, 2007
9 송승환, "전봉건과 김종삼 시의 수사학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2) : 311-332, 2011
10 손혜민, "잡지 [문화세계] 연구 - 전후 문화주의, 세계주의, 그리고 아메리카니즘" 한국근대문학회 (29) : 61-84, 2014
1 남진숙, "한국 전후시에 나타난 몸에 대한 표상과 그 의미 -『韓國戰後問題詩集』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75-96, 2010
2 이어령, "출판과 교육에 바친 열정" 우촌기념사업회출판부 144-, 1992
3 염무웅, "책읽기, 글쓰기, 책 만들기" 12 : 30-32, 2011
4 송승환, "조향 시의 수사학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47) : 197-217, 2011
5 스티븐 스테판쳅, "전후미국시평설" 동인 2004
6 김양희, "전후 신진시인들의 언어인식과 ‘새로운 시’ 의 가능성" 인문과학연구소 (72) : 61-106, 2014
7 최진석, "전후 문학장의 재구성과 '번역문학' : 을유문화사판 세계문학전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5
8 이봉범, "전후 문학 장의 재편과 잡지 『문학예술』" 상허학회 20 : 169-193, 2007
9 송승환, "전봉건과 김종삼 시의 수사학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2) : 311-332, 2011
10 손혜민, "잡지 [문화세계] 연구 - 전후 문화주의, 세계주의, 그리고 아메리카니즘" 한국근대문학회 (29) : 61-84, 2014
11 임종석, "일본문학사" 제이앤씨 2004
12 윤상인, "일본문학번역 60년 현황과 분석 1945-2005" 소명출판 2009
13 피에르 부르디,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14
14 피에르 부르디,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15
15 "세계전후문학전집 9권" 신구문화사 1962
16 "세계전후문학전집 8권" 신구문화사 1961
17 김규동, "새로운 시론" 산호장 1959
18 프레드릭 제임슨, "문화적 맑스주의와 제임슨- 세계 지성 16인과의 대화" 창작과 비평 2014
19 장진길, "독일문학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I) - 1958년부터 1968년까지: 창조와 혼란" 한국카프카학회 (20) : 189-210, 2008
20 김기진, "대담:1955년의 한국문단 -김팔봉" 1956
21 이승규, "김수영의 영미시 영향과 시 창작 관련 양상- 비숍, 로웰, 긴즈버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0) : 467-502, 2006
22 김수영, "김수영 전집- 산문" 민음사 2005
23 최일수, "근현대비평논쟁자료집" 현대문학 682-694,
24 이종호, "1960년대 일본번역문학의 수용과 전집의 발간-신구문화사 <일본전후문제작품집>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1 (21): 7-38, 2015
25 강우원용, "1960년대 일본문학 번역물과 한국― ‘호기심’과 ‘향수’를 둘러싼 독자의 풍속 ―" 한국일본학회 (93) : 79-93, 2012
26 이명찬, "1960년대 시단과 '한국전후문제시집'" 한국독서학회 (26) : 473-499, 2011
27 박숙자, "1960년대 세계문학의 몽타주 그리고 리얼리티 - <세계전후문학전집>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49 (49): 279-309, 2015
28 김진희, "1950년대 지식-번역의 장(場)과 문인번역자의 위상 : 장만영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30) : 229-256, 2014
29 임지연, "1950년대 시의 코스모폴리탄적 감각과 세계사적 개인주체" 한국시학회 (34) : 185-216, 2012
30 정영진, "1950년대 세계주의와 현대성 연구 - 강력한 주체성과 봉쇄된 개성 -" 겨레어문학회 (44) : 263-293, 2010
31 박지영, "1950년대 번역가의 의식과 문화정치적 위치" 상허학회 30 : 351-39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