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중기 선물 관행에 관한 경제인류학적 시론: 의례적 선물과 사회의 재생산 = An Economic Anthropological Approach on Gifts during Joseon Dynasty: Ritualistic Gifts and Social Reprod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9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basic study to interpret the public culture from fragmentary gift records found in diaries of the mid­Joseon period. Through examining the theoretical achievements on gift researches in the anthropological field,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ift that Marcel Moss called “total presentation” were overlooked in the former researches on gift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shows that ritualistic gifts appear among the various gift practices in fragmentary records of the diary, and that such gifts from a local official implies a public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family. Furthermore,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way the individual and social identities works by clarifying 'public' or ceremonial gifts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society in the diaries.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 basic study to interpret the public culture from fragmentary gift records found in diaries of the mid­Joseon period. Through examining the theoretical achievements on gift researches in the anthropological field, this study points o...

      This article is a basic study to interpret the public culture from fragmentary gift records found in diaries of the mid­Joseon period. Through examining the theoretical achievements on gift researches in the anthropological field,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ift that Marcel Moss called “total presentation” were overlooked in the former researches on gift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shows that ritualistic gifts appear among the various gift practices in fragmentary records of the diary, and that such gifts from a local official implies a public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family. Furthermore,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way the individual and social identities works by clarifying 'public' or ceremonial gifts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society in the dia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 중기 일기에 산견되는 단편적인 선물 기록으로부터 당대 문화를 해석해내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인류학계가 거둔 선물 연구의 이론적 성과를 검토한 뒤, 기존의 조선시대 선물 연구에서 마르셀 모스가 “전체적 급부”라고 칭했던 증여의 특성을 간과했음을 지적한다. 나아가 일기에 단편적으로 등장하는 다종다양한 선물 관행 중 의례적인 선물 관행이 나타나며, 지방관을 매개로 한 국가의 의례적 선물은 국가와 사족 간의 공적인 관계를 함의함을 보여준다. 이처럼 일기 속에서 사회의 재생산과 관련한 공적인 혹은 의례적 선물을 선별해 개인과 사회 정체성의 작동 방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조선 중기 일기에 산견되는 단편적인 선물 기록으로부터 당대 문화를 해석해내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인류학계가 거둔 선물 연구의 이론적 성과를 검토한 뒤, 기존의 조선시대 선...

      이 글은 조선 중기 일기에 산견되는 단편적인 선물 기록으로부터 당대 문화를 해석해내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인류학계가 거둔 선물 연구의 이론적 성과를 검토한 뒤, 기존의 조선시대 선물 연구에서 마르셀 모스가 “전체적 급부”라고 칭했던 증여의 특성을 간과했음을 지적한다. 나아가 일기에 단편적으로 등장하는 다종다양한 선물 관행 중 의례적인 선물 관행이 나타나며, 지방관을 매개로 한 국가의 의례적 선물은 국가와 사족 간의 공적인 관계를 함의함을 보여준다. 이처럼 일기 속에서 사회의 재생산과 관련한 공적인 혹은 의례적 선물을 선별해 개인과 사회 정체성의 작동 방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훈, "한국경제사1" 일조각 2016

      2 에나프, 마르셀, "진리의 가격: 증여와 계약의 계보학" 눌민 2018

      3 고들리에, 모리스, "증여의 수수께끼" 문학동네 2011

      4 정헌목, "증여의 네 번째 의무: 희생제의와 선물교환, 그리고 사회 혹은 공동체의 형성" 비교문화연구소 24 (24): 471-501, 2018

      5 조영준, "조선후기 조직의 賻儀와 경제적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71-196, 2012

      6 이헌창,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접근" 일조각 2010

      7 신동원,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역사문제연구소 (75) : 344-391, 2006

      8 김혁, "조선후기 단오부채[節扇]의 생산과 가치 순환" 한국고문서학회 36 : 121-163, 2010

      9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상행위와 그 성격" 8 : 1999

      10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물품구매와 그 성격" 9 : 1998

      1 이영훈, "한국경제사1" 일조각 2016

      2 에나프, 마르셀, "진리의 가격: 증여와 계약의 계보학" 눌민 2018

      3 고들리에, 모리스, "증여의 수수께끼" 문학동네 2011

      4 정헌목, "증여의 네 번째 의무: 희생제의와 선물교환, 그리고 사회 혹은 공동체의 형성" 비교문화연구소 24 (24): 471-501, 2018

      5 조영준, "조선후기 조직의 賻儀와 경제적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71-196, 2012

      6 이헌창,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접근" 일조각 2010

      7 신동원,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역사문제연구소 (75) : 344-391, 2006

      8 김혁, "조선후기 단오부채[節扇]의 생산과 가치 순환" 한국고문서학회 36 : 121-163, 2010

      9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상행위와 그 성격" 8 : 1999

      10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물품구매와 그 성격" 9 : 1998

      11 박미해, "조선중기 예송(例送)·증송(贈送)·별송(別送)으로의 처가부양: 오희문의 『쇄미록(瑣尾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138-163, 2008

      12 김혁, "조선시대 지방관의 선물정치와 부채(扇)" 영남문화연구원 (15) : 97-142, 2009

      13 이성임, "조선 중기 어느 양반가문의 농지경영과 노비사환" 80 : 1995

      14 李成妊, "조선 중기 양반관료의 ‘稱念’에 대하여" 조선시대사학회 (29) : 47-74, 2004

      15 이성임, "일기 자료를 통해 조선 사회의 또 다른 모습" 한국학중앙연구원 (33) : 306-318, 2015

      16 폴라니, 칼, "인간의 경제 1" 풀빛 1983

      17 오명석, "선물의 혼과 신화적 상상력: 모스 『증여론』의 재해석" 한국문화인류학회 43 (43): 3-46, 2010

      18 박세진, "선물과 이름: ‘근본적인 인정 행위’로서의 증여" 비교문화연구소 22 (22): 265-309, 2016

      19 박이택, "맛질의 농민들" 일조각 2001

      20 박정호,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 - 증여의 사회학적 본질과 기능 그리고 호혜성의 원리에 대하여" 한국문화사회학회 7 (7): 7-49, 2009

      21 폴라니, 칼, "거대한 전환" 길 2009

      22 전경목, "『미암일기』를 통해 본 16세기 양반관료의 사회관계망 연구-해배 직후 시기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73) : 71-113, 2015

      23 Godelier, Maurice, "The Mental and The Material" VERSO 1984

      24 이영훈, "19세기 서울시장의 역사적 특질" 경제사학회 48 : 3-39, 2010

      25 이성임, "16세기 조선 양반관료의 사환과 그에 따른 수입" 145 : 1995

      26 이성임, "16세기 이문건가의 수입과 경제생활" 97 : 2001

      27 이성임, "16세기 양반사회의 "膳物經濟"" 한국사연구회 (130) : 53-82, 2005

      28 최주희, "16세기 양반관료의 선물관행과 경제적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71) : 245-289, 2009

      29 이성임, "16세기 양반 사족의 貢納制 참여 방식 -李文健의 『黙齋日記』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05) : 73-106, 2012

      30 김경숙, "16세기 사대부 집안의 제사설행과 그 성격" 98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