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영훈, "한국경제사1" 일조각 2016
2 에나프, 마르셀, "진리의 가격: 증여와 계약의 계보학" 눌민 2018
3 고들리에, 모리스, "증여의 수수께끼" 문학동네 2011
4 정헌목, "증여의 네 번째 의무: 희생제의와 선물교환, 그리고 사회 혹은 공동체의 형성" 비교문화연구소 24 (24): 471-501, 2018
5 조영준, "조선후기 조직의 賻儀와 경제적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71-196, 2012
6 이헌창,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접근" 일조각 2010
7 신동원,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역사문제연구소 (75) : 344-391, 2006
8 김혁, "조선후기 단오부채[節扇]의 생산과 가치 순환" 한국고문서학회 36 : 121-163, 2010
9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상행위와 그 성격" 8 : 1999
10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물품구매와 그 성격" 9 : 1998
1 이영훈, "한국경제사1" 일조각 2016
2 에나프, 마르셀, "진리의 가격: 증여와 계약의 계보학" 눌민 2018
3 고들리에, 모리스, "증여의 수수께끼" 문학동네 2011
4 정헌목, "증여의 네 번째 의무: 희생제의와 선물교환, 그리고 사회 혹은 공동체의 형성" 비교문화연구소 24 (24): 471-501, 2018
5 조영준, "조선후기 조직의 賻儀와 경제적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71-196, 2012
6 이헌창,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접근" 일조각 2010
7 신동원,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역사문제연구소 (75) : 344-391, 2006
8 김혁, "조선후기 단오부채[節扇]의 생산과 가치 순환" 한국고문서학회 36 : 121-163, 2010
9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상행위와 그 성격" 8 : 1999
10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물품구매와 그 성격" 9 : 1998
11 박미해, "조선중기 예송(例送)·증송(贈送)·별송(別送)으로의 처가부양: 오희문의 『쇄미록(瑣尾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138-163, 2008
12 김혁, "조선시대 지방관의 선물정치와 부채(扇)" 영남문화연구원 (15) : 97-142, 2009
13 이성임, "조선 중기 어느 양반가문의 농지경영과 노비사환" 80 : 1995
14 李成妊, "조선 중기 양반관료의 ‘稱念’에 대하여" 조선시대사학회 (29) : 47-74, 2004
15 이성임, "일기 자료를 통해 조선 사회의 또 다른 모습" 한국학중앙연구원 (33) : 306-318, 2015
16 폴라니, 칼, "인간의 경제 1" 풀빛 1983
17 오명석, "선물의 혼과 신화적 상상력: 모스 『증여론』의 재해석" 한국문화인류학회 43 (43): 3-46, 2010
18 박세진, "선물과 이름: ‘근본적인 인정 행위’로서의 증여" 비교문화연구소 22 (22): 265-309, 2016
19 박이택, "맛질의 농민들" 일조각 2001
20 박정호,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 - 증여의 사회학적 본질과 기능 그리고 호혜성의 원리에 대하여" 한국문화사회학회 7 (7): 7-49, 2009
21 폴라니, 칼, "거대한 전환" 길 2009
22 전경목, "『미암일기』를 통해 본 16세기 양반관료의 사회관계망 연구-해배 직후 시기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73) : 71-113, 2015
23 Godelier, Maurice, "The Mental and The Material" VERSO 1984
24 이영훈, "19세기 서울시장의 역사적 특질" 경제사학회 48 : 3-39, 2010
25 이성임, "16세기 조선 양반관료의 사환과 그에 따른 수입" 145 : 1995
26 이성임, "16세기 이문건가의 수입과 경제생활" 97 : 2001
27 이성임, "16세기 양반사회의 "膳物經濟"" 한국사연구회 (130) : 53-82, 2005
28 최주희, "16세기 양반관료의 선물관행과 경제적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71) : 245-289, 2009
29 이성임, "16세기 양반 사족의 貢納制 참여 방식 -李文健의 『黙齋日記』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05) : 73-106, 2012
30 김경숙, "16세기 사대부 집안의 제사설행과 그 성격" 98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