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호영, "희양산 봉암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림군락구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382-393, 2012
2 이정은, "흑산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식생 유형" 한국환경생태학회 32 (32): 289-302, 2018
3 이정은, "평창 두타산 산림식생의 군집유형과 입지환경요인의 상관관계" 한국산림과학회 106 (106): 275-287, 2017
4 오해성, "주왕산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한국환경생태학회 32 (32): 118-131, 2018
5 김호진, "전라남도 홍도 산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유형분류와 임분 구조" 한국산림과학회 107 (107): 245-257, 2018
6 이하영,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791-802, 2015
7 김호진,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202-219, 2017
8 배관호,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일대 산림군락의 식생조성 및 구조" 한국산림과학회 92 (92): 536-544, 2003
9 김학윤,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림식생의 조성 및 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188-201, 2017
10 윤충원, "우리나라의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형 분류" 한국산림과학회 100 (100): 504-521, 2011
1 이호영, "희양산 봉암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림군락구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382-393, 2012
2 이정은, "흑산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식생 유형" 한국환경생태학회 32 (32): 289-302, 2018
3 이정은, "평창 두타산 산림식생의 군집유형과 입지환경요인의 상관관계" 한국산림과학회 106 (106): 275-287, 2017
4 오해성, "주왕산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한국환경생태학회 32 (32): 118-131, 2018
5 김호진, "전라남도 홍도 산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유형분류와 임분 구조" 한국산림과학회 107 (107): 245-257, 2018
6 이하영,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791-802, 2015
7 김호진,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202-219, 2017
8 배관호,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일대 산림군락의 식생조성 및 구조" 한국산림과학회 92 (92): 536-544, 2003
9 김학윤,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림식생의 조성 및 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188-201, 2017
10 윤충원, "우리나라의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형 분류" 한국산림과학회 100 (100): 504-521, 2011
11 이효혜미, "우리나라 삼림의 변화와 전망" 한국하천호수학회 47 (47): 337-341, 2014
12 곽광호, "서남해 도서․해안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관리 - 천관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28 (28): 173-191, 2016
13 이중효, "불영사계곡 일대 소나무림의 군락유형과 개체군동태" 한국산림과학회 93 (93): 59-66, 2004
14 변성엽, "봉화군 장군봉 일대 천연림과 인공조림지내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1032-1046, 2016
15 박삼봉, "백두대간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819-841, 2015
16 황광모, "백두대간 중부권역 천연림의 산림피복형 분류와 종다양성" 한국산림과학회 104 (104): 14-25, 2015
17 윤주완, "백두대간 소백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630-637, 2010
18 김민수,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한국환경생태학회 32 (32): 176-184, 2018
19 오현경, "백두대간 강원도 4개 권역의 관속식물상 - 오대산, 대관령~석병산, 청옥산~덕항산, 금대봉~태백산 권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1 (21): 43-63, 2018
20 변준기, "백두대간 갈전곡봉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7 (27): 477-484, 2014
21 조영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한국도서(섬)학회 29 (29): 217-237, 2017
22 박석곤, "남한 정맥 마루금의 산림식생유형 및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753-763, 2015
23 강현미,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소나무우점군락 특성 -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751-761, 2016
24 변준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9 (29): 204-224, 2016
25 정보광,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꼬리진달래 자생지 환경특성 및 보전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9 (19): 87-100, 2016
26 이서희, "구룡산의 산림군집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한국산림과학회 101 (101): 526-537, 2012
27 Hill, M. O.,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Press 50-, 1979
28 Korea Forest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9 Yun, C. W., "Quantitative analysis of vegetat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23 (23): 281-291, 2000
30 Braun-Blau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ü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Springer-Verlag 631-, 1964
3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32 Korea Forest Service,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33 Korea Forest Service,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3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35 "Korea Forest service"
36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Geologic information system"
37 Lee, K. J., "Forest ecology" Hyangmunsa 395-, 1996
38 Son, Y. H., "Forest ecology" Hyangmunsa 346-, 2016
39 Bae, K. H., "Forest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of vegetation data to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in the Sungjubong recreational forest" 5 (5): 51-59, 2001
40 Yun, C. W,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41 손호준, "DMZ 인근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대성산, 주파령)의 식물상 및 식생군집분석" 한국산림과학회 105 (105): 19-41, 2016
42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999-, 2003
43 이정민, "Cluster 분석에 의한 백두대간 남부권역 천연림의 산림 분류" 한국산림과학회 103 (103): 12-22, 2014
44 Ellenberg, H, "Aufgaben a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45 Curtis, J. T.,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32 (32): 476-496, 1951
46 An, M. W., "A study on the flora of Mt. Seondal (Gyeongbuk)" Andong National University 2018
47 Korea Forest service, "A study on introducing payments for environmental services on genetic reserve forest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219-,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