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국주의 전쟁과 우물가의 여인들 = Imperialist War and Women at the We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1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20세기 초 일본의 제국주의 전쟁 시기에 참전 군인들에게 지급되었던 오마모리, 미가와리, 이몬닌교, 센닌바리를 통해 국가주도의 전쟁에 국민을 동원하기 위해 사용된 선전 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육군의 경우에는 복대의 형태로 센닌바리를 소지했으며, 아주 작은 사이즈의 미가와리 봉투는 주머니에 넣기도 했다. 카미카제 특공대의 경우에는 이몬닌교를 전투기나 어뢰 안의 공간에 매달았다. 전쟁 초기에 사원/신사에서 징병군인 개인에게 미가와리를 지급하다가 전쟁 후기에는 1천 명이 바느질을 함께 도와야만 만들어질 수 있는 센닌바리를 권장하게 된다. 이는 제국주의 전쟁에 관한 내국인과 식민지인들의 관심과 지원을 폭넓게 끌어내려했던 전략적 선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문제는 군인의 안전을 비는 부적이 사원이나 신사를 통해서만 지급되던 오마모리나 미가와리 외에도 여성의 손으로 만들어지는 인형과 센닌바리로까지 변용되고 확장되었다는 점이다. 사원이나 신사에서 의식을 거쳐 성화되었던 부적의 형식이 확장되어 자원봉사나 가족을 위한 정성이라는 명분으로 식민지 여성의 노동력까지 강요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센닌바리는 전쟁의 수동적인 피해자인 여성들로 하여금 전쟁을
      일으킨 주체에 대한 저항 대신에 소극적인 지원자로 만드는 효과가 있는 물체였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20세기 초 일본의 제국주의 전쟁 시기에 참전 군인들에게 지급되었던 오마모리, 미가와리, 이몬닌교, 센닌바리를 통해 국가주도의 전쟁에 국민을 동원하기 위해 사용된 선전 전...

      이 글에서는 20세기 초 일본의 제국주의 전쟁 시기에 참전 군인들에게 지급되었던 오마모리, 미가와리, 이몬닌교, 센닌바리를 통해 국가주도의 전쟁에 국민을 동원하기 위해 사용된 선전 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육군의 경우에는 복대의 형태로 센닌바리를 소지했으며, 아주 작은 사이즈의 미가와리 봉투는 주머니에 넣기도 했다. 카미카제 특공대의 경우에는 이몬닌교를 전투기나 어뢰 안의 공간에 매달았다. 전쟁 초기에 사원/신사에서 징병군인 개인에게 미가와리를 지급하다가 전쟁 후기에는 1천 명이 바느질을 함께 도와야만 만들어질 수 있는 센닌바리를 권장하게 된다. 이는 제국주의 전쟁에 관한 내국인과 식민지인들의 관심과 지원을 폭넓게 끌어내려했던 전략적 선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문제는 군인의 안전을 비는 부적이 사원이나 신사를 통해서만 지급되던 오마모리나 미가와리 외에도 여성의 손으로 만들어지는 인형과 센닌바리로까지 변용되고 확장되었다는 점이다. 사원이나 신사에서 의식을 거쳐 성화되었던 부적의 형식이 확장되어 자원봉사나 가족을 위한 정성이라는 명분으로 식민지 여성의 노동력까지 강요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센닌바리는 전쟁의 수동적인 피해자인 여성들로 하여금 전쟁을
      일으킨 주체에 대한 저항 대신에 소극적인 지원자로 만드는 효과가 있는 물체였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propaganda strategy for national mobilization given by various talismans like a Omamori, Migawari,
      Yimonningyo, Senninbari to soldiers drafted as talismen in the war of Japan’s imperialism will be considered. The Army wore a Senninbari for the purpose of waist support and they put a small sized Migawari envelope into the jacket
      pocket. In the case of Kamikaze tokkotai, they usually hung the Imonningyo in space of fighter or torpedo. In early wartime, Buddhism/Shinto temple distribute to personal draft soldier, but it was changed to give a Senninbari which
      needed 1 thousand people’s help in later wartime. It could be a strategic choice to bring wider attention to and get support of locals and the colony about the Greater East Asia War. The crucial issue was a talisman for the army’s safety which was materially transformed and expanded from Omamori & Migawari. It was distributed by members of the temple to Imonningyo & Senninbari which was made by women. Ritually consecrated talisman in the temple was changed to Senninbari that forced needlework of colonial women in the name of patriotic volunteers and devotion for the draft families. To conclude, Senninbari was an efficient material that made the women, who were passive victims of the Greater East Asia War, to be reluctant supporters.
      번역하기

      In this paper, the propaganda strategy for national mobilization given by various talismans like a Omamori, Migawari, Yimonningyo, Senninbari to soldiers drafted as talismen in the war of Japan’s imperialism will be considered. The Army wore a Senn...

      In this paper, the propaganda strategy for national mobilization given by various talismans like a Omamori, Migawari,
      Yimonningyo, Senninbari to soldiers drafted as talismen in the war of Japan’s imperialism will be considered. The Army wore a Senninbari for the purpose of waist support and they put a small sized Migawari envelope into the jacket
      pocket. In the case of Kamikaze tokkotai, they usually hung the Imonningyo in space of fighter or torpedo. In early wartime, Buddhism/Shinto temple distribute to personal draft soldier, but it was changed to give a Senninbari which
      needed 1 thousand people’s help in later wartime. It could be a strategic choice to bring wider attention to and get support of locals and the colony about the Greater East Asia War. The crucial issue was a talisman for the army’s safety which was materially transformed and expanded from Omamori & Migawari. It was distributed by members of the temple to Imonningyo & Senninbari which was made by women. Ritually consecrated talisman in the temple was changed to Senninbari that forced needlework of colonial women in the name of patriotic volunteers and devotion for the draft families. To conclude, Senninbari was an efficient material that made the women, who were passive victims of the Greater East Asia War, to be reluctant suppor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미가와리(身代) : 불교사원과 신사(神社)의 전쟁 지원
      • III. 오마모리의 확장 : ‘이몬닌교(慰問人形)’와 카미카제 특공대
      • IV. 센닌바리와 우물가의 여인들 : 사원에서 민간으로 확장되는 전쟁지원
      • V. 정리하는 말
      • I. 들어가는 말
      • II. 미가와리(身代) : 불교사원과 신사(神社)의 전쟁 지원
      • III. 오마모리의 확장 : ‘이몬닌교(慰問人形)’와 카미카제 특공대
      • IV. 센닌바리와 우물가의 여인들 : 사원에서 민간으로 확장되는 전쟁지원
      • V. 정리하는 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