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의 특성을 이해하고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에 관련된 변인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K시 보건소에 등록된 치매노인으로 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02016
2010
Korean
Family function ; Dementia ; Caregiver ; Self-efficacy ; 가족기능 ; 치매 ; 부양 자기효능감
KCI등재
학술저널
717-731(15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의 특성을 이해하고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에 관련된 변인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K시 보건소에 등록된 치매노인으로 주...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의 특성을 이해하고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에 관련된 변인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K시 보건소에 등록된 치매노인으로 주간보호센터 이용자 24명과 방문간호서비스 대상자 57명으로 전체 치매노인 81명과 그 부양자 81명이었다. 치매노인은 인구학적 특성, 인지수준, 정신행동증상,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 등을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가 조사하였고 주부양자는 인구학적 특성, 부양동기, 자기효능감, 가족의 지지, 지역사회의 지지, 가족기능을 자가기입식 설문에 의해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기능은 부양자의 자기효능감, 가족의 지지, 지역사회의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단계적 변수선택법에 의한 중회귀분석 결과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사회의 지지, 치매 유형, 주부양자의 자기효능감이었다. 지역사회의 지지와 주부양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이 높았고 치매유형이 기타 치매에 비해 혈관성 치매인 경우 가족기능이 더 높았다.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의 부양부담을 완화하고 가족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지지와 부양자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determinants of family function of family with the elderly dementia. Method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dementia sufferers and caregivers by nurses or social workers caring ...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determinants of family function of family with the elderly dementia. Method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dementia sufferers and caregivers by nurses or social workers caring for dementia sufferers in health center during July to September 2007.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version 9.1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eterminant of family function. Result : Factors affecting family function were community support, caregiving self-efficacy of caregiver, dementia type. Conclusion : To increase family function, there is a need to increase caregiver's self efficacy and community support.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중돈, "한국치매가족연구" 홍익제 1995
2 한국치매협회, "치매조호평가집" 2005
3 조근영, "치매노인가족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4 이은희, "치매노인 학대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91-110, 2004
5 김영인,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2009
6 김은주, "치매노인 주부양자가 인지한 부양부담, 사회적 지지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5
7 조맹제, "치매노인 유병율 조사" 보건복지부 2008
8 마범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주단기보호소 이용 부양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99
9 김영철,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02
10 김재범,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가족기능과 주부양자의 대처방식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2009
1 권중돈, "한국치매가족연구" 홍익제 1995
2 한국치매협회, "치매조호평가집" 2005
3 조근영, "치매노인가족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4 이은희, "치매노인 학대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91-110, 2004
5 김영인,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2009
6 김은주, "치매노인 주부양자가 인지한 부양부담, 사회적 지지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5
7 조맹제, "치매노인 유병율 조사" 보건복지부 2008
8 마범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주단기보호소 이용 부양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99
9 김영철,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02
10 김재범,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가족기능과 주부양자의 대처방식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2009
11 정유석, "질병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과 고혈압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16 (16): 814-823, 1995
12 고영, "지역사회거주 3세대 노인부양 가족의 가족 기능" 서울대학교 2003
13 이수진, "주간보호시설과 재가치매노인 주간호자의 삶의 만족, 우울, 부담감" 가톨릭대학교 2004
14 윤은자, "재가노인의 건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611-627, 2007
15 김영희,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1273-1287, 2009
16 김경숙, "재가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결정모형" 서울대학교 2008
17 황윤영, "일 지역 여성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아통합감간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1843-1854, 2009
18 이선경,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기요인과 보호요인의 이론적 과정모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9 이영희, "만성질환이 있는 가족과 정상가족의 가족기능 비교연구 : 노인가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88
20 이은옥, "만성질환으로 인한 가족기능 변화 모형" 29 (29): 467-484, 1999
21 윤은자, "노인의 우울, 기분상태와 생활만족도"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3091-3106, 2008
22 김옥수, "노인의 외로움과 사회적지지, 가족기능간의 관계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3 (33): 425-432, 2003
23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표준화 연구, 제1편:MMSE-K의 개발" 28 (28): 125-135, 1989
24 박종한, "노인기능상태 평가의 신뢰도" 34 (34): 475-483, 1995
25 통계청, "고령자통계보도자료"
26 김승돈,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5) : 7-32, 2009
27 이은희, "가족기능이 재가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연구" 19 : 173-197, 2003
28 Harwood, D. 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among probable Alzheimer's disease patients" 6 (6): 212-220, 1998
29 Epstein, N. B., "The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9 (9): 171-180, 1983
30 Sherbourne, C.. D.,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32 (32): 705-714, 1991
31 Au, A.,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in dementia family caregivers: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13 (13): 761-768, 2009
32 Lachs, M., "Risk factors for reported elder abuse and neglect : a nine-year observational cohort study" 37 : 469-474, 1997
33 Streib, G. F., "Older families a Decade Review" 42 : 205-225, 1980
34 Schmidt, M. D., "Meet the health care needs of older adults by using a chronic care Model" 11 (11): 30-34, 1985
35 Mahoney, F. I., "Functional evaluation : the Barthel index" 14 : 61-65, 1965
36 Miller, J. R., "Family-focused care" McGraw-Hill Book Company 1980
37 Beekman, N, R., "Family caregiving, dementia, and social support"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99
38 Wilson, H. S., "Family caregiving for a relative with Alzheimer's dementia : coping with negative choice" 38 (38): 94-98, 1989
39 Baldwin, B. A., "Family caregiving : trends and forecasts" 11 (11): 172-174, 1990
40 Alexopoulos, G. S.,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23 (23): 271-284, 1988
41 Chou, K. R., "Burden experienced by caregivers of relatives with dementtiia in Taiwan" 48 (48): 206-214, 1999
42 Lawton, M. P.,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9 (9): 179-186, 1969
43 Teri L., "Assessment of behavioral problems in dementia: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 problems checklist" 7 (7): 622-631, 1992
44 Robert, C. S., "Assessing family functioning across three areas of relationships" 31 (31): 231-235, 1982
45 Hollen, P., "A Holistic model of individual and family health based on a continum of choice" 3 (3): 27-42, 1981
46 Folstein, M. F.,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 for the Clinician" 12 (12): 189-198, 1975
중환자실 면회규정 실태 및 간호사의 면회시간에 대한 태도
네트워크 침입 탐지를 위한 의사결정나무 모형 적용에 대한 연구
기본적인 연관기준값을 이용한 연관성 순위 결정 함수의 개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8 | 0.956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