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공(空) 개념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다양성 기원과 문제점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 공 개념의 현대적 해석이란 서구 종교와 철학의 관심 하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12124
2010
-
150
KCI등재
학술저널
713-746(3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공(空) 개념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다양성 기원과 문제점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 공 개념의 현대적 해석이란 서구 종교와 철학의 관심 하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
이 논문은 공(空) 개념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다양성 기원과 문제점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 공 개념의 현대적 해석이란 서구 종교와 철학의 관심 하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불교 이해방식을 따라 나타난 공 개념 설명을 의미한다. 이 논문이 행하는 분석은 크게 5가지 준거(準據)에 의지하고 있는데, 첫째에서 셋째까지는 턱(Andrew P. Tuck)이 정리한 서구의 공 개념 이해의 3가지 수용방식, 즉 관념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해석과 20세기 전반기 논리실증주의자들의 관점을 적용한 해석, 그리고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을 활용한 해석이다. 필자는 여기에 중국의 도가적 관점이 적용된 공 개념 해석과 깔루빠하나(David J. Kalupahana)의 공 개념 이해방식에 대한 필자의 해석을 더하여 5가지로 설정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준거들에 의지하여 위와 같은 서구의 불교학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20세기 중후반 동양권 학자들의 공 개념 설명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앞서 진행되어 왔던 서구의 3가지 공 개념 해석방식과 도가적 공 개념 해석방식의 영향이 지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들은 낭만적 관념주의자들의 공 개념 해석방식이 역사적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음을 이미 알고 있었고 또한 그들 나름대로 문제점을 지적 비판하지만 결국 그들의 공 개념 설명방식이 관념주의자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못함을 이 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점 발생이 불교의 연기적 세계관에 대한 미진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연기적 세계관이 지니고 있는 철학적 특성 이해를 위해 보다 거시적인 새로운 관점 도입의 필요성과 그것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disclosing why modern Buddhist scholars show their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of ‘śūnya’. In this paper,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śūnya’ means a new explanation about‘ś&...
This paper aims at disclosing why modern Buddhist scholars show their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of ‘śūnya’. In this paper,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śūnya’ means a new explanation about‘śūnya’ by modern European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cern. The analysis of their explanation is performed by utilizing five criteria in general. Among these five criteria, the former three sorts are the interpretations
influenced by Nineteenth-century idealists, by Early twentieth-century analytic and positivist philosophers, and by post-Wittgensteinians, which are well summarized by Andres P. Tuck. In addition to these three sorts, I added two more sorts, the interpretation influenced by Chinese Taoist perspective and my own interpretation of David J. Kalupahana's understanding of‘śūnya’. This paper analysed some Asian Buddhist scholars'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śūnya’ in the middle and late twentieth-century that are assumed to be influenced greatly by the above former three sorts of interpretation. This analysis shows us that these scholars cannot escape completely from the frames of understanding ‘śūnya’ rooted in the former three sorts and the Taoist way of interpretation, though they know the limitation of those ways of interpretation. Among these four sorts, the idealistic interpretation has still given a great influence on them, even though they try to criticize it.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ir insufficient knowledge regarding the theory of‘dependent arising’(‘pratītyasamutpāda’) results in this problem.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need of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on‘pratītyasamutpāda’ and tries to show a possibility of a new outlook on it in order to understand properly the concept of ‘śūny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인섭,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의 “범주의 도식”과 세친 유식이론의 논의 구조 유사성 고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1) : 173-200, 2009
2 "한글대장경 in: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3 허인섭, "중국철학에서의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의 전개 고찰" 한국동양철학회 (20) : 2003
4 허인섭, "중국불교 특성 이해를 위한 불교 와 도가의 철학방법론 비교: 世親의 ‘投影 三範疇的 사유방식’과 老子의 ‘循環 三範疇的 사유방식’의 차이점을 중" 한국동양철학회 8 : 1997
5 楊惠南, "중관철학" 경서원 1995
6 安井廣濟, "중관사상연구" 문학생활사 1988
7 瓜生律降眞, "중관사상" 경서원 2005
8 허인섭, "위진불교(魏晉佛敎) 성립과정에 개입된 현학(玄學)적 사유양상 고찰-지둔(支遁), 도안(道安), 혜원(慧遠)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철학회 (21) : 137-162, 2004
9 이건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과 마음" 자유사상사 1992
10 김종욱, "불교사상과 서양철학" 민족사 1990
1 허인섭,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의 “범주의 도식”과 세친 유식이론의 논의 구조 유사성 고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1) : 173-200, 2009
2 "한글대장경 in: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3 허인섭, "중국철학에서의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의 전개 고찰" 한국동양철학회 (20) : 2003
4 허인섭, "중국불교 특성 이해를 위한 불교 와 도가의 철학방법론 비교: 世親의 ‘投影 三範疇的 사유방식’과 老子의 ‘循環 三範疇的 사유방식’의 차이점을 중" 한국동양철학회 8 : 1997
5 楊惠南, "중관철학" 경서원 1995
6 安井廣濟, "중관사상연구" 문학생활사 1988
7 瓜生律降眞, "중관사상" 경서원 2005
8 허인섭, "위진불교(魏晉佛敎) 성립과정에 개입된 현학(玄學)적 사유양상 고찰-지둔(支遁), 도안(道安), 혜원(慧遠)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철학회 (21) : 137-162, 2004
9 이건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과 마음" 자유사상사 1992
10 김종욱, "불교사상과 서양철학" 민족사 1990
11 허인섭, "내가 없다(無我)는데 의식은 홀로(唯識)어디에 있는가?" 만해사상실천연합회 (39) : 2009
12 깔루빠하나, "나가르주나" 장경각 1994
13 허 인 섭, "금강경 오가해(金剛經五家解)에 나타난 혜능(惠能)과야보(冶父)의 ‘여시아문(如是我聞)’ 주석의 문제점 고찰" 한국철학회 71 : 35-50, 2002
14 "高麗大藏經"
15 "大正藏"
16 Kalupahana, D. J., "Nagarjuna: The Philosopy of Middle Way" SUNY Press 1986
17 Graham, A. C., "Disputers of the Tao: Philosophical Argument in Ancient China" Open Court 1989
18 Tuck, Andrew P., "Comparative Philosophy and the Philosophy of Scholarship: On the Western Interpretation of Nagarjuna"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19 Kalupahana, D. J., "A History of Buddhist Philosoph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2
『한비자(韓非子)』의 법(法)과 술(術)의 관계 재조명
『論語』「爲政」편 제4장 '지우학(志于學)' 구절에 대한 텍스트 중심의 해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 ![]() |
2007-0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9 | 1.246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