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그동안 경상계정 개방과 위안화 환율시스템 개혁 등 일련의 개방화 개혁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안정화 정책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자본계정의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2098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그동안 경상계정 개방과 위안화 환율시스템 개혁 등 일련의 개방화 개혁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안정화 정책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자본계정의 개...
중국은 그동안 경상계정 개방과 위안화 환율시스템 개혁 등 일련의 개방화 개혁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안정화 정책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자본계정의 개방화는 기존처럼 ‘점진식 개방’형식을 취할 가능성이 높아, 완전개방은 여전히 미지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자본계정의 개방과 환율시스템 개혁은 필연적 관계를 가지므로, 중국 경제 변동성은 다수의 국가에게 파급효과를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자본계정 개방화에 대한 환경변화를 신용스프레드(credit spread)의 변동성(volatility)으로 감지하여, 자본계정 개방과 금융안정과 상관성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신용스프레드는 금융의 안정성을 가늠하는 기초적인 지표로 간주할 수 있으며, 최근 중국의 ‘외자은행에 대한 회사채시장 개방조치’에서 보듯이, 위안화 채권발행은 자본계정 개방화의 가속화를 가져와 중국 채권수익률과 신용스프레드간의 동태적 변동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분석방법은, GARCH(p,q)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해보고, 향후 변동성을 예측해 볼 것이다. GARCH를 사용하는 원인은 적은수의 파라미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긴 래그의 ARCH모형을 추정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있고 본 연구에서는 중국, 한국과 미국의 상호간 신용스프레드의 상관성 분석, 국 가간 장기적 균형관계 규명을 위해 벡터오차수정모형(VECM)과 충격반응함수(OIRF)의 동태적 변화와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금융안정성에 대한 상관성을 파악해 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자본계정개방에 따른 거시적 경제지표의 변화와 중국, 미국과 한국 자본시장의 상호간 연계성을 진단할 수 있으며, 향후 중국 자본시장의 발전방향에 대한 전망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