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D척도법을 통한 공공시설물 환경색채에 관한 심리적 반응 연구 - 서울시 둔촌동 시설물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Response of Environmental Color in Public Facilities through the SD Method - Focused on the facilities in Dunchon-dong, Seou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6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시설물은 하나의 객체로써 공공공간에 설치되어져 각각의 역할에 맞게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시설물이 지닌 요소는 재질, 형태 등으로 분류되며, 공간의 위치, 활용성 등에 따라 모두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이에 획일화되지 않은 요소들의 구성은 공간의 사용자에게 피로감 및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시설물의 여러 요소 중 환경색채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끼치는 색채의 영향성을 조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첫째, 공공시설물의 종류 및 색채를 규정하는 자료와 심리적 반응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대상에적용시킬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를 도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에 도출된 색채를 적용하고,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PAD모형에 기반한 평가어휘를 추출 후 SD척도법에 맞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조사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Cronhach-α)을 실시하고, 공공시설물의 색채와 평가어휘에 관한 내용을 기술통계 기반으로 도식화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연령대별로 공공시설물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시설물의 색채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0대의 경우 단청 빨간색의 색채 위주로 평가어휘에 대한 반응이 나타났으며, 30대는 단청 빨간색, 서울 하늘색 그리고 남산 초록색에 심리적 반응을 보임으로써 20대보다 30대가 여러 색채에 영향받고 있다는 것을발견하였다. 또한 40대는 단청 빨간색과 무채색 계열의 기와 진회색에 심리적 반응을 나타냈는데, 기와 진회색의 반응은 20~30 대와 차별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 중 자전거 거치대의 색채변화에서는 전 연령대에서 사용자의 심리에양극화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환경색채와 인간의 심리에 대한 연관성 모색을 통해 세분화시킨 색채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지역 시민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추후 시설물의크기, 재질, 사용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 색채의 선정에 있어서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시설물은 하나의 객체로써 공공공간에 설치되어져 각각의 역할에 맞게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시설물이 지닌 요소는 재질, 형태 등으로 분류되며, 공간의 ...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시설물은 하나의 객체로써 공공공간에 설치되어져 각각의 역할에 맞게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시설물이 지닌 요소는 재질, 형태 등으로 분류되며, 공간의 위치, 활용성 등에 따라 모두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이에 획일화되지 않은 요소들의 구성은 공간의 사용자에게 피로감 및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시설물의 여러 요소 중 환경색채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끼치는 색채의 영향성을 조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첫째, 공공시설물의 종류 및 색채를 규정하는 자료와 심리적 반응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대상에적용시킬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를 도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에 도출된 색채를 적용하고,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PAD모형에 기반한 평가어휘를 추출 후 SD척도법에 맞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조사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Cronhach-α)을 실시하고, 공공시설물의 색채와 평가어휘에 관한 내용을 기술통계 기반으로 도식화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연령대별로 공공시설물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시설물의 색채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0대의 경우 단청 빨간색의 색채 위주로 평가어휘에 대한 반응이 나타났으며, 30대는 단청 빨간색, 서울 하늘색 그리고 남산 초록색에 심리적 반응을 보임으로써 20대보다 30대가 여러 색채에 영향받고 있다는 것을발견하였다. 또한 40대는 단청 빨간색과 무채색 계열의 기와 진회색에 심리적 반응을 나타냈는데, 기와 진회색의 반응은 20~30 대와 차별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 중 자전거 거치대의 색채변화에서는 전 연령대에서 사용자의 심리에양극화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환경색채와 인간의 심리에 대한 연관성 모색을 통해 세분화시킨 색채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지역 시민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추후 시설물의크기, 재질, 사용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 색채의 선정에 있어서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영민, "환경심리학 관점의 색채연구 특성에 관한 분석 - 도시·거리·건축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색채학회 27 (27): 89-98, 2013

      2 이진숙 ; 류지선 ; 김한나 ; 이희원,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의 평가 분석" 한국색채학회 28 (28): 71-82, 2014

      3 정지원, "도시환경 분석을 통한 공공디자인의 색채 활용 연구 : 계룡시 공공시설물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3

      4 유성모, "논문작성을 위한 SPSS 통계분석 쉽게 배우기" 황소걸음아카데미 2013

      5 이희원 ; 박지영 ; 이진숙, "광색에 따른 채도와 조도변화에 대한 고령자의 심리반응 연구" 한국색채학회 34 (34): 28-38, 2020

      6 (주)문은배색채디자인, "공공디자인 표준색 견본 개발보급"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08

      7 Lee, Jinyoung, "Urban Image Plan of Seoul City Based on Color. - Focused on the 'Seoul Color' Established by Seoul City-"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2009

      8 Park, Hyeonjin, "Research on features of Environmental Colors in Changsin-dong"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9

      9 Cho, Sungheui,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isual Effects of interior color models using computer graphics" 21 : 59-74, 1995

      10 Kim, Garam, "A study of color-image improvement for establishment of city-identity. -Based of Ansan city-"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t Hongik University 2012

      1 송영민, "환경심리학 관점의 색채연구 특성에 관한 분석 - 도시·거리·건축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색채학회 27 (27): 89-98, 2013

      2 이진숙 ; 류지선 ; 김한나 ; 이희원,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의 평가 분석" 한국색채학회 28 (28): 71-82, 2014

      3 정지원, "도시환경 분석을 통한 공공디자인의 색채 활용 연구 : 계룡시 공공시설물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3

      4 유성모, "논문작성을 위한 SPSS 통계분석 쉽게 배우기" 황소걸음아카데미 2013

      5 이희원 ; 박지영 ; 이진숙, "광색에 따른 채도와 조도변화에 대한 고령자의 심리반응 연구" 한국색채학회 34 (34): 28-38, 2020

      6 (주)문은배색채디자인, "공공디자인 표준색 견본 개발보급"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08

      7 Lee, Jinyoung, "Urban Image Plan of Seoul City Based on Color. - Focused on the 'Seoul Color' Established by Seoul City-"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2009

      8 Park, Hyeonjin, "Research on features of Environmental Colors in Changsin-dong"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9

      9 Cho, Sungheui,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isual Effects of interior color models using computer graphics" 21 : 59-74, 1995

      10 Kim, Garam, "A study of color-image improvement for establishment of city-identity. -Based of Ansan city-"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t Hongik University 2012

      11 Jeong, Heeyoung, "A case study on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method for improving the image of city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1

      12 Han, Eunhee, "A Study on the color scheme of street furniture based on digital image color analysis. -Focused on The Gangnam-gu of Seoul City-" Yonsei University 2015

      13 Park, Sunok,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lors in the Public Design. -Focusing on Convenience Facilities in Seoul City-" The Graduate School of Arts Chung-Ang University 2010

      14 Park, Naree, "A Study on Urban Environmental Color Design of Public and Environmental -Street Furniture center in Gangnam Garosugil-" The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Hanyang University 2016

      15 Ryu, Jiseon, "A Study on Spatial Chroma in Children's Museums Using Chroma psychology"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6

      16 Lim, Jooyoung, "A Study on Sign System Image to Promote a City Brand Image. -Focused on Insadong Sign System-"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2012

      17 Jeong, Jaeeun, "A Study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Methods in line with Indoor Color Change" Graduate School of Arts Chung‐Ang University 2022

      18 Yun, Seungnoh, "A Study on Materials and Colors of the Domestic Public Facilities. -Focusing on Convenience Facilities of Domestic major cities-"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Information Policy Hongik University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