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정책적 대응 방향: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isk Issues and Policy for Future Society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2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ital transformation refers to the economic and social effects of digitisation and digitalisation. Although digital transformation acts as a useful tool for economic/social development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life, it can have negative effe...

      Digital transformation refers to the economic and social effects of digitisation and digitalisation. Although digital transformation acts as a useful tool for economic/social development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life, it can have negative effects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ethical problems, deepening social gaps, etc.).
      The government is actively establishing policies to promote digital transformation to secure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hegemony, however,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related risk issues and implementing policies to prevent them are relatively slow. Thus,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s risk issues of the future society that can be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media articles big data through the Embedded Topic Modeling method. Specifically, first, detailed issues of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major countries were identified. Then detailed issues of negativ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jor countries and Korea were identified. Further, by synthesizing the results, futur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for responding the negative effects was propose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does not only affect technological fields but also affect the overall society, such as national security, social issues, and fairness issue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promote the positive func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but also prepare policies to counter the negative func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the detailed issues of future social risks of digital transformation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contexts, so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policy to respond to the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ational and social context. Third, the government should set a major direction for responding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minimize confusion among stakeholders, and prepare effective policy meas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짓화(digitisation)와 디지털화(digitalisation)의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은 경제/사회 발전 및 삶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짓화(digitisation)와 디지털화(digitalisation)의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은 경제/사회 발전 및 삶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작용하지만 부정적 영향(개인정보 오남용, 윤리문제 야기, 사회적 격차 심화 등)을 미칠 수도 있는 양면성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산업 경쟁력 및 기술 패권 확보 등을 위하여 디지털 전환 촉진정책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디지털 전환 관련 위험이슈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 추진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초래할 수 있는 미래사회 위험이슈를 Embedded Topic Modeling 방법론 기반의 언론기사 빅데이터 정량분석으로 체계화 및 구체화하고,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 이슈들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주요국과 한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이슈를 구체화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정부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근거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의 역기능은 기술 분야에만 한정되어 나타나지 않고 국가안보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는 디지털 전환의 순기능 촉진뿐만 아니라 역기능 대응을 위한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 세부이슈들은 국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정부는 국가적/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이해관계자들의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의 큰 방향을 설정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영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변화와 혁신정책 방향성 재정립: 창조적 학습사회 전환을 중심으로" 기술경영경제학회 28 (28): 153-165, 2020

      2 박승창, "증강휴먼 AI 기술의 역기능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1595-1598, 2021

      3 안준모, "인공지능을 통한 행정의 고도화 : 기회와 도전" 한국행정연구원 30 (30): 1-33, 2021

      4 고학수 ; 정해빈 ; 박도현, "인공지능과 차별" 한국법학원 171 : 199-277, 2019

      5 엄효진 ; 이명진, "인공지능(AI) 기반 지능정보사회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 경제사회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21 (21): 1-19, 2020

      6 윤상오,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챗봇(ChatBot)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2 (32): 83-104, 2018

      7 신영진, "안전한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인공지능기술 적용에 따른 역기능 방지 및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6 (6): 135-162, 2020

      8 김용진, "디지털전환 시대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방안" 대한산업공학회 25 (25): 20-24, 2018

      9 신동수, "디지털 전환이 생산성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국제경제리뷰 1-22, 2021

      10 심우민, "디지털 전환과 사회갈등 - 입법학적 분석과 대안 -" 유럽헌법학회 (37) : 481-522, 2021

      1 여영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변화와 혁신정책 방향성 재정립: 창조적 학습사회 전환을 중심으로" 기술경영경제학회 28 (28): 153-165, 2020

      2 박승창, "증강휴먼 AI 기술의 역기능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1595-1598, 2021

      3 안준모, "인공지능을 통한 행정의 고도화 : 기회와 도전" 한국행정연구원 30 (30): 1-33, 2021

      4 고학수 ; 정해빈 ; 박도현, "인공지능과 차별" 한국법학원 171 : 199-277, 2019

      5 엄효진 ; 이명진, "인공지능(AI) 기반 지능정보사회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 경제사회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21 (21): 1-19, 2020

      6 윤상오,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챗봇(ChatBot)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2 (32): 83-104, 2018

      7 신영진, "안전한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인공지능기술 적용에 따른 역기능 방지 및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6 (6): 135-162, 2020

      8 김용진, "디지털전환 시대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방안" 대한산업공학회 25 (25): 20-24, 2018

      9 신동수, "디지털 전환이 생산성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국제경제리뷰 1-22, 2021

      10 심우민, "디지털 전환과 사회갈등 - 입법학적 분석과 대안 -" 유럽헌법학회 (37) : 481-522, 2021

      11 한재필, "디지털 전환 시대의 서비스 혁신" 국토연구원 2018

      12 임희종 ; 최보름 ; 송지희, "기업의 디지털 전환 (DT) 경쟁력 분석 모형개발 및 적용: 공기업 10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25 (25): 61-100, 2021

      13 김승현, "[혁신성장 전망_창업・중소・중견기업 정책 전망] 디지털 혁신생태계로의 전환을 준비하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

      14 장훈, "[유럽] 디지털 전환과 노동의 미래" 27 (27): 10-13, 2017

      15 이명화, "[OECD] OECD 과학기술산업 지표를 통해 본 디지털 전환 동향과 도전과제" 27 (27): 16-21, 2017

      16 Dieng, A. B., "Topic modeling in embedding spaces" 8 : 439-453, 2020

      17 Wu, L., "Smart supply chain management: A review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27 (27): 395-417, 2016

      18 Blei, D. M., "Probabilistic topic models" 55 (55): 77-84, 2012

      19 Blei, D. 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3 : 993-1022, 2003

      20 OECD, "Going Digital: Shaping Policies, Improving Lives"

      21 Mikolov, T.,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words and phrases and their compositionality" 26 : 3111-3119, 2013

      22 Büyüközkan, Gülçin, "Digital Supply Chain: Literature review and a proposed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97 : 157-177, 2018

      23 임규건 ; 안재익, "Bright Internet 신뢰네트워크 도입에 따른 지능정보사회의 사이버 역기능 해소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22 (22): 99-11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