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엄승희, "한양도성 城底十里 폐기유적 출토 근대도자의 현황과 특징 -동대문운동장, 무악2구역, 행당동 주개장 유적을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112) : 191-238, 2022
2 정지희, "한성미술품제작소 설립 및 변천과정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233-256, 2019
3 방병선, "한국도자제작기술사" 아카넷 2023
4 강빛나, "을미의제 군복제도의 서구화에서 보여진 수입 직물산업 동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4 (24): 85-95, 2022
5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무악2구역 유적: 서울 종로구 무악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2018
6 정희정, "물질문화 연구론 관점에서 본 조선후기의 왕실 연향용 음식기명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52) : 31-54, 2021
7 "독립신문"
8 엄승희, "대한제국기 황실에서 사용된 프랑스자기의 유입과 특징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9) : 207-243, 2020
9 박현정, "대한제국기 오얏꽃 문양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정지희,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李花紋의 변화와 宮家紋의 등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9 : 243-270, 2020
1 엄승희, "한양도성 城底十里 폐기유적 출토 근대도자의 현황과 특징 -동대문운동장, 무악2구역, 행당동 주개장 유적을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112) : 191-238, 2022
2 정지희, "한성미술품제작소 설립 및 변천과정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233-256, 2019
3 방병선, "한국도자제작기술사" 아카넷 2023
4 강빛나, "을미의제 군복제도의 서구화에서 보여진 수입 직물산업 동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4 (24): 85-95, 2022
5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무악2구역 유적: 서울 종로구 무악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2018
6 정희정, "물질문화 연구론 관점에서 본 조선후기의 왕실 연향용 음식기명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52) : 31-54, 2021
7 "독립신문"
8 엄승희, "대한제국기 황실에서 사용된 프랑스자기의 유입과 특징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9) : 207-243, 2020
9 박현정, "대한제국기 오얏꽃 문양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정지희,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李花紋의 변화와 宮家紋의 등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9 : 243-270, 2020
11 조시내, "대한제국기 宮中宴享用家具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64 (264): 127-157, 2009
12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 "대한제국 황제의 식탁"
13 정희정, "대한제국 연향과 황제 접빈상과의 관계와 그 의미"
14 엄승희, "근대전환기 국내 사료 분석을 통한 서양자기 사용실태 연구 : 식기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3 : 123-153, 2017
15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왕실유물 연구총서, 이화문 李花紋"
16 김대준, "고종시대의 국가재정 연구" 태학사 2004
17 정은주, "개화기와 대한제국기 공문서의 李花紋 전개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47) : 188-221, 2022
18 이정희, "개항기 근대식 궁정연회의 성립과 공연문화사적 의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9 愛知県陶磁資料館, "阿蘭陀焼 憧れのプリントウェアー海を渡ったヨーロッパ陶磁" 2011
20 "農商工部來去文"
21 "訓令照會存案"
22 "梅泉野錄"
23 카타야마 마비, "日本近代의「洋食器」"
24 "承政院日記"
25 "宮內府案"
26 목수현, "大韓帝國期 國家 視覺 象徵의 淵源과 變遷" 한국미술연구소 (27) : 289-321, 2008
27 "各府郡來牒"
28 "儀註"
29 Emma Kroebel, "Wie ich an den koreanischen Kaiserhof kam" R. Jacobsthal 1909
30 Horace N. Allen, "Things Korean" Revell 1908
31 Siegfried Genthe, "Korea-Reiseschilderungen" Iudicium 1905
32 Georges Vogt, "Exposition universelle internationale de 1900 à Paris. Rapports du jury international. Classe 72: ceramique. Rapport de M. George Vog" Impr.nationale 1901
33 장효진, "19세기 말~20세기 초 중국 요업(窯業) 공장(工匠)의 조선 도래" 한국문화연구원 32 : 7-3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