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춘하(魏春霞), "흑도 문화 속의 길상 우의(黑陶文化中的吉祥寓意)" 43 (43): 14-, 2020
2 왕충보(王忠保), "해대지역대문구용산문화 도자 예기 분석(海岱地區大汶口龍山文化陶禮器試析)" 산동대학교 2013
3 이춘복, "키클라데스 조각 요소가 차용된 현대 도자조형의 표현과 특징연구" 한국도자학회 18 (18): 167-182, 2021
4 왕이효(王爾孝), "치박도자지(淄博陶瓷志)" 산동전자공업인쇄창(山東電子工業印刷廠) 2003
5 이춘복, "촉각 감각의 수용과 도자조형 표현의 확장성 연구" 한국도자학회 19 (19): 133-145, 2022
6 구경옥(邱耿鈺), "중국현대민간도자연구(中國現代民間陶瓷研究)" 하북미술출판사(河北美術出版社) 2005
7 양일유(梁一儒), "중국인 심미 심리 연구(中國人審美心理研究)" 산동인민출판사(山東人民出版社)
8 원굉(遠宏), "중국민간도자예술(中國民間陶瓷藝術)" 흑룡강미술출판사(黑龍江美術出版社) 1996
9 장부야(張夫也), "전통공예의 여정(傳統工藝之旅)" 요녕미술출판사(遼寧美術出版社)
10 이연조(李硯祖), "장식의 길(裝飾之道)" 중국인민대학출판사(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3
1 위춘하(魏春霞), "흑도 문화 속의 길상 우의(黑陶文化中的吉祥寓意)" 43 (43): 14-, 2020
2 왕충보(王忠保), "해대지역대문구용산문화 도자 예기 분석(海岱地區大汶口龍山文化陶禮器試析)" 산동대학교 2013
3 이춘복, "키클라데스 조각 요소가 차용된 현대 도자조형의 표현과 특징연구" 한국도자학회 18 (18): 167-182, 2021
4 왕이효(王爾孝), "치박도자지(淄博陶瓷志)" 산동전자공업인쇄창(山東電子工業印刷廠) 2003
5 이춘복, "촉각 감각의 수용과 도자조형 표현의 확장성 연구" 한국도자학회 19 (19): 133-145, 2022
6 구경옥(邱耿鈺), "중국현대민간도자연구(中國現代民間陶瓷研究)" 하북미술출판사(河北美術出版社) 2005
7 양일유(梁一儒), "중국인 심미 심리 연구(中國人審美心理研究)" 산동인민출판사(山東人民出版社)
8 원굉(遠宏), "중국민간도자예술(中國民間陶瓷藝術)" 흑룡강미술출판사(黑龍江美術出版社) 1996
9 장부야(張夫也), "전통공예의 여정(傳統工藝之旅)" 요녕미술출판사(遼寧美術出版社)
10 이연조(李硯祖), "장식의 길(裝飾之道)" 중국인민대학출판사(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3
11 조정우(趙政宇), "용산 흑도의 아름다움-용산 흑도 문화의 시간성과 기물 조형의 아름다움에 관하여(龍山黑陶之美——淺談龍山黑陶文化的時間性與器物造型之美)" 6 (6): 126-, 2019
12 장흔(張欣), "산서 용산문화의 매력에 관한 탐구(探究山西龍山文化的魅力)" (12) : 114-115, 2017
13 이언영(李彥英), "산동 용산문화 단각흑도배에 관한 고찰(山東龍山文化蛋殼黑陶杯淺識)" (3) : 44-, 2018
14 고봉(高豐), "미의 조물(美的造物)" 북경공예미술출판사(北京工藝美術出版社) 2004
15 임헌자 ; 이세우, "고려시대청자와 현대청자의 발색에 관한 비교분석연구" 한국도자학회 10 (10): 123-13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