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경직해(광익)』의 성립 과정과 한국어사·번역사적 가치 = The Establishment of Sŏnggyŏng jik’ae (gwangik)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nd Trans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814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7세기 중국에서 간행된 천주교 문헌인 『성경직해(聖經直解)』 와 그것의 한국어 번역본인 『성경직해광익(聖經直解廣益)』(18~19세기) 및그것을 수정·보완한 『성경직해(聖經直解)』(19세기 말)의 성립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한국어사와 번역사적 관점에서 갖는 가치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문헌들은 상대적으로 자료가 부족한 19세기한국어를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먼저 『성경직해』가 『성경직해광익』으로 번역되는 과정을 살피며, 이것이 주로 전통적인 언해(諺解) 방식, 즉 전근대 시기에 한문을 한국어로번역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따랐음을 논증한다. 이는 번역어의 고정화및 변화, 전이어의 사용, 그리고 ‘-단 말이라’와 같은 특징적인 주석 방식에서 확인된다. 『성경직해광익』에서 보이는 언어적 보수성은 종교적 텍스트의 일반적 특징이며, 이후 이해가능성을 지향하는 『성경직해』에서변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성경직해광익』이 『성경직해』로 수정·보완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는 번역어를 자연스럽게 하는 수정과 함께 라틴어및 그리스어 원전을 참고하여 정확한 번역을 지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과거의 ‘언해’라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번역’으로 나아가는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또한 된소리 표기를 위한각자병서 사용 등의 표기법 수정 및 표준화를 지향한 문법적 수정 등 중요한 언어적 변화들이 관찰된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한국 천주교 공동체 내에서 새로운 언어 규범이 형성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聖經直解』의 한국어 번역은 언해의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 언어적인 보수성을 띠고 있었으나, 이후 수정 과정에서 자연스러움과 정확성을 지향하는 현대적인 번역에 가까워진다. 동시에 한글표기법과 한국어 문법을 체계화하려는 조선 천주교 내부의 노력을 드러낸다. 이는 이들 천주교 문헌이 한국어사·번역사에서 갖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글은 17세기 중국에서 간행된 천주교 문헌인 『성경직해(聖經直解)』 와 그것의 한국어 번역본인 『성경직해광익(聖經直解廣益)』(18~19세기) 및그것을 수정·보완한 『성경직해(聖經直解)...

      이 글은 17세기 중국에서 간행된 천주교 문헌인 『성경직해(聖經直解)』 와 그것의 한국어 번역본인 『성경직해광익(聖經直解廣益)』(18~19세기) 및그것을 수정·보완한 『성경직해(聖經直解)』(19세기 말)의 성립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한국어사와 번역사적 관점에서 갖는 가치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문헌들은 상대적으로 자료가 부족한 19세기한국어를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먼저 『성경직해』가 『성경직해광익』으로 번역되는 과정을 살피며, 이것이 주로 전통적인 언해(諺解) 방식, 즉 전근대 시기에 한문을 한국어로번역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따랐음을 논증한다. 이는 번역어의 고정화및 변화, 전이어의 사용, 그리고 ‘-단 말이라’와 같은 특징적인 주석 방식에서 확인된다. 『성경직해광익』에서 보이는 언어적 보수성은 종교적 텍스트의 일반적 특징이며, 이후 이해가능성을 지향하는 『성경직해』에서변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성경직해광익』이 『성경직해』로 수정·보완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는 번역어를 자연스럽게 하는 수정과 함께 라틴어및 그리스어 원전을 참고하여 정확한 번역을 지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과거의 ‘언해’라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번역’으로 나아가는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또한 된소리 표기를 위한각자병서 사용 등의 표기법 수정 및 표준화를 지향한 문법적 수정 등 중요한 언어적 변화들이 관찰된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한국 천주교 공동체 내에서 새로운 언어 규범이 형성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聖經直解』의 한국어 번역은 언해의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 언어적인 보수성을 띠고 있었으나, 이후 수정 과정에서 자연스러움과 정확성을 지향하는 현대적인 번역에 가까워진다. 동시에 한글표기법과 한국어 문법을 체계화하려는 조선 천주교 내부의 노력을 드러낸다. 이는 이들 천주교 문헌이 한국어사·번역사에서 갖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sits Shengjing zhijie, a 17th-century Chinese Catholic text, and its Korean translations – Sŏnggyŏng jik’ae gwangik (18th-19th century) and the revised Sŏnggyŏng jik’ae (late 19th century) –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and translation. These texts are invaluable for researching the Korean language of the 19th century.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translation of Shengjing zhijie into Sŏnggyŏng jik’ae gwangik, arguing that it largely followed the traditional “Eonhae (諺解)” method—a vernacular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al texts. This is evidenced by the stabilization and evolution of translated terms, the use of transitional words, and the characteristic annotation style.
      Subsequently, the study analyzes the revisions made in transforming Sŏnggyŏng jik’ae gwangik into Sŏnggyŏng jik’ae. This process reveals a shift to more natural and exact translation, partly influenced by references to Latin and Greek originals, a notable change from typical Eonhae practices to modern translation. Significant linguistic changes include orthographic modifications, such as the adoption of doubled consonant characters for tense sounds, and grammatical revisions aimed at standardization. These changes suggest an emerging linguistic norm within the Korean Catholic community.
      The research concludes that while the initial translation was rooted in Eonhae traditions, the later revision shows a progression towards more contemporary translation methods and an internal effort to systematize Han’gŭl orthography and grammar, underscoring the unique linguistic and translational significance of these Catholic documents.
      번역하기

      This study revisits Shengjing zhijie, a 17th-century Chinese Catholic text, and its Korean translations – Sŏnggyŏng jik’ae gwangik (18th-19th century) and the revised Sŏnggyŏng jik’ae (late 19th century) –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

      This study revisits Shengjing zhijie, a 17th-century Chinese Catholic text, and its Korean translations – Sŏnggyŏng jik’ae gwangik (18th-19th century) and the revised Sŏnggyŏng jik’ae (late 19th century) –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and translation. These texts are invaluable for researching the Korean language of the 19th century.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translation of Shengjing zhijie into Sŏnggyŏng jik’ae gwangik, arguing that it largely followed the traditional “Eonhae (諺解)” method—a vernacular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al texts. This is evidenced by the stabilization and evolution of translated terms, the use of transitional words, and the characteristic annotation style.
      Subsequently, the study analyzes the revisions made in transforming Sŏnggyŏng jik’ae gwangik into Sŏnggyŏng jik’ae. This process reveals a shift to more natural and exact translation, partly influenced by references to Latin and Greek originals, a notable change from typical Eonhae practices to modern translation. Significant linguistic changes include orthographic modifications, such as the adoption of doubled consonant characters for tense sounds, and grammatical revisions aimed at standardization. These changes suggest an emerging linguistic norm within the Korean Catholic community.
      The research concludes that while the initial translation was rooted in Eonhae traditions, the later revision shows a progression towards more contemporary translation methods and an internal effort to systematize Han’gŭl orthography and grammar, underscoring the unique linguistic and translational significance of these Catholic docum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