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구조와 성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64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 성곽에 대한 남한의 연구는 중국이나 북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었으나 짧은 기간 동안 14개의 성곽 관련 유적이 조사되면서 연구의 기초 자료가 축적되었다. 남한의 고구...

      고구려 성곽에 대한 남한의 연구는 중국이나 북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었으나 짧은 기간 동안 14개의 성곽 관련 유적이 조사되면서 연구의 기초 자료가 축적되었다. 남한의 고구려 성곽은 임진ㆍ한탄강 유역, 양주 일대, 한강 유역, 금강 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양주 일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 살펴본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성벽 축성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체성벽은 목책, 토석 혼축 그리고 석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남한에서는 목책이 석축 성벽에 앞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석혼축 성벽은 은대리성에서만 확인되었으나, 호로고루나 당포성 또한 석축 내부에 토루를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교될 수 있다. 한편,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대부분은 석축 성벽인데, 보루에서 확인된다. 보루는 산봉우리를 둘러싸고 한 두 겹의 석축 성벽을 세우고 흙으로 뒷채움을 하고 있어 중대형 고구려 성곽과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성벽은 산 정상부의 평탄면 정도까지만 쌓았는데, 이로써 생활공간을 확장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남한의 고구려 보루에는 여장이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용마산 2보루나 아차산 4보루, 시루봉보루 등에서 방어력을 강화한 특이한 구조의 치가 발견되었는데, 출입시설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고에서는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성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우선 고구려에 의해 축조된 성곽은 신라나 백제에 대한 방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강 북안에 위치하고 있었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남한의 성곽은 중국이나 북한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작은데, 아차산 보루군의 경우에는 여러개의 보루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치 하나의 대형 성곽으로써의 기능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르면 보루는 기존에 논의된 것처럼 단순히 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거점으로써만이 아니라 특정 구역을 관할할 수 있는 행정중심으로써의 기능도 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남한에 분포하고 있는 성곽에 대한 편년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그동안 역사기록에 너무 치중하여 오히려 잘못된 해석을 내리는 예가 있어 본고에서는 고고학 자료를 중심으로 성곽에 대한 개략적인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sis looked at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Goguryeo fortresses located in South Korea. Although the kingdom collapsed 1,300 years ago, its fortresses still look the same as they were built. Goguryeo people’s high technical capacities are...

      The thesis looked at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Goguryeo fortresses located in South Korea. Although the kingdom collapsed 1,300 years ago, its fortresses still look the same as they were built. Goguryeo people’s high technical capacities are fully demonstrated as fortresses built by them are well preserved until now and their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stone fortresses built since the era of Three Kingdoms. Many Goguryeo fortress are founded in South Korea and excavated over thirteen sites. Of course, these fortresses were smaller than those located in China and North Korea. However, these excavations somewhat extended understanding in structures and construction techniques of Goguryeo. This thesis took an overall look at construction techniques and facilities of Goguryeo fortresses based on basic data on them excavated until now. This examination helped to clarif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oguryeo fortresses.
      In addition, this thesis examined characteristics of Goguryeo remains located in South Korea. It was found that Goguryeo fortresses in South Korea are located in the north of rivers for high efficiency of defense against the other two kingdoms, Silla and Baekje. Also, this thesis looked at problems caused due to the fact that many researchers failed to consider construction timing, use period, and occupants of those fortresses in their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Goguryeo fortresses located near the Imjin and Hantan rivers. In terms of size, many fortresses in South Korea are much smaller than those in China and North Korea. However,this thesis found that in the case of linked fortresses at Mt. Acha one small fortress is linked to another to function as one large fortress. Through this examination, this thesis highlighted that linked fortresses not only functioned as a strategic base to secure traffic roads but also as an administrative center to govern specific area. Inaddition, this thesis pointed out cases of wrong interpretation due to excessive focus on historical records for studies on chronological records on fortresses located in South Korea and tried to rectify this wrong chronological 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대상유적의 현황
      • Ⅲ.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구조
      • Ⅳ.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성격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대상유적의 현황
      • Ⅲ.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구조
      • Ⅳ.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성격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종오,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 남한지역의 고구려성곽"

      2 양기석,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 475년 위례성 함락 직후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3 양시은, "최신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구려의 한강유역 경영" 서울경기고고학회 2009

      4 양시은,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 : 일본의 고구려․발해 유적조사에 대한 검토 -1945년 이전까지" 동북아역사재단 2009

      5 양시은, "이념과 제도의 교류: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 고구려 성곽 축조방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6 서영일, "연천 은대리성 축조공법과 성격 고찰" 한국문화사학회 (31) : 39-62, 2009

      7 민덕식, "발굴조사 자료로 본 고구려 성곽의 축조공법" 37 : 2005

      8 백종오, "남한 내 고구려 유적 유물의 새로운 이해 - 최근 발굴 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8) : 113-147, 2008

      9 노태돈, "고구려의 한성 지역 병탄과 그 지배 양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66 : 2005

      10 金榮官, "고구려의 청주지역 진출 시기" 한국고대학회 (25) : 657-674, 2006

      1 백종오,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 남한지역의 고구려성곽"

      2 양기석,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 475년 위례성 함락 직후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3 양시은, "최신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구려의 한강유역 경영" 서울경기고고학회 2009

      4 양시은,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 : 일본의 고구려․발해 유적조사에 대한 검토 -1945년 이전까지" 동북아역사재단 2009

      5 양시은, "이념과 제도의 교류: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 고구려 성곽 축조방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6 서영일, "연천 은대리성 축조공법과 성격 고찰" 한국문화사학회 (31) : 39-62, 2009

      7 민덕식, "발굴조사 자료로 본 고구려 성곽의 축조공법" 37 : 2005

      8 백종오, "남한 내 고구려 유적 유물의 새로운 이해 - 최근 발굴 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8) : 113-147, 2008

      9 노태돈, "고구려의 한성 지역 병탄과 그 지배 양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66 : 2005

      10 金榮官, "고구려의 청주지역 진출 시기" 한국고대학회 (25) : 657-674, 2006

      11 최종택,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유산 : 남한지역의 고구려 유적과 유물" 고대사학회 2004

      12 임기환,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경영과 서울" 서울학연구소 (18) : 1-33, 2002

      13 이건하, "고구려 석조건축의 축조법에 관한 연구-고구려 백암성곽의 축성법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9 (9): 81-88, 2007

      14 최종택, "고고학상으로 본 고구려의 한강유역진출과 백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8 : 1998

      15 최종택, "고고자료를 통해 본 웅진도읍기 한강유역 영유설 재고" 백제연구소 (47) : 127-160, 2008

      16 최종택, "경기북부지역의 고구려 관방체계" 고구려연구회 8 : 1999

      17 서영일,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유산 : 高句麗의 百濟 進擊과 南進路"

      18 임기환,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유산 : 5~6세기 고구려의 남진과 영역범위"

      19 심광주, "경기도 고구려 유적 종합정비기본계획 : 고구려의 관방체계와 경기지역의 고구려성곽"

      20 김현숙, "高句麗의 漢江流域 領有와 支配" 백제연구소 (50) : 27-54, 2009

      21 김희선, "高句麗의 漢江流域 進出과 그 防禦體系- 漢江流域의 高句麗 關防遺蹟과 관련하여 -" 서울학연구소 (20) : 1-37, 2003

      22 양기석, "高句麗의 忠州地域 進出과 經營"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6 : 2002

      23 공석구, "高句麗城郭의 類型에 대한 硏究" 1998

      24 심광주, "高句麗 遺蹟 發掘과 遺物 : 남한지역의 고구려 유적" 高句麗硏究會 2001

      25 서길수, "高句麗 築城法 硏究" 학연문화사 2009

      26 박경철, "高句麗 '漢城强襲'의 再認識" 민족문화연구원 38 : 305-333, 2003

      27 山本孝文, "考古資料로 본 南漢江 上流地域의 三國 領域變遷" 한국상고사학회 40 : 27-56, 2003

      28 양시은, "漢江流域 高句麗土器의 製作技法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2003

      29 최장렬, "漢江北岸 高句麗堡壘의 築造時期와 그 性格" 서울대학교 2001

      30 김영섭, "峨嵯山 高句麗 堡壘群의 재고찰" 단국대학교 2009

      31 박동선, "城郭을 통해서 본 5세기 高句麗의 지방지배체제" 한신대학교 2009

      32 白種伍, "南韓地域 高句麗 關防體系 - 臨津江流域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6) : 279-306, 2007

      33 심광주, "南韓地域 高句麗 城郭硏究" 상명대학교 2006

      34 서일범, "北韓地域 高句麗山城 硏究" 단국대학교 1999

      35 서영일, "京畿北部地域 高句麗 堡壘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17) : 63-80, 2002

      36 梁時恩, "中國 內 高句麗遺蹟에서 出土된 高句麗土器 硏究" 중국사학회 (50) : 63-92, 2007

      37 서영일, "6~7世紀 高句麗 南境 考察" 高句麗硏究會 11 : 2001

      38 노중국, "5~6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고구려의 한강유역 점령과 상실을 중심으로" 고구려연구재단 11 : 2006

      39 김현숙, "475년∼551년 한강유역 領有國 論議에 대한 검토"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73) : 5-4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