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강의의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a Korean Culture Pedagogy Course for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론 강의의 사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취하고자 하는 문화의 개념은 ``한 공동체의 습관``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다음...

      본 연구는 한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론 강의의 사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취하고자 하는 문화의 개념은 ``한 공동체의 습관``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강의의 바탕이 되는 이론은 문화 충격이론, 사회 거리 이론과 정체성 이론이다. 둘째는 한국어를 가르치는 강사가 한국인이아닌 외국인이다. 강의의 목적은 위의 이론을 바탕으로 설계된 과제를 통해 외국인학습자가 한국 사회와 문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목적을 어떻게 달성했는지를 보여 주기 위해 교수요목을 제시하고 교사 일지와 학습자의 수기, 인터뷰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a course in Korean as a foreign culture pedagogy for undergraduate Korean students. In this study I will use the term culture to express the habits of a community and therefore the dynamic habits of a society(H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a course in Korean as a foreign culture pedagogy for undergraduate Korean students. In this study I will use the term culture to express the habits of a community and therefore the dynamic habits of a society(Hall, 2002).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case study are two. The first one is that the course was theoretically based on culture shock theory, social distance theory and identity theory. The second is that the instructor of the course was not a Korean but a foreigner. The main goal of the course was to enable the Korean students to observe and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 foreigner. This case study illustrat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structor diary and two sets of written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how this goal was achiev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현식,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3 (3): 137-180, 2006

      2 김정은, "한국어교사의 이문화능력과 교사를 위한 이문화교육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75-97, 2009

      3 김은지, "한국어교사 대상 문화 교육과정 연구 : 일반대학원 문화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4 양민애,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이문화(異文化)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중언어학회 (38) : 235-262, 2008

      5 조혜정,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1" 또 하나의 문화 1992

      6 박현진, "영어권 화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습득 과정 사례 연구" 이중언어학회 (48) : 109-158, 2012

      7 Ortega L.,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odder Education 2009

      8 Bhabha H.,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1992

      9 Hall J.K., "Teaching and Researching Language and Culture" Pearson Education 2002

      10 Bogardus E. S., "Social Distance and Its Origin" 9 : 216-226, 1925

      1 민현식,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3 (3): 137-180, 2006

      2 김정은, "한국어교사의 이문화능력과 교사를 위한 이문화교육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75-97, 2009

      3 김은지, "한국어교사 대상 문화 교육과정 연구 : 일반대학원 문화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4 양민애,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이문화(異文化)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중언어학회 (38) : 235-262, 2008

      5 조혜정,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1" 또 하나의 문화 1992

      6 박현진, "영어권 화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습득 과정 사례 연구" 이중언어학회 (48) : 109-158, 2012

      7 Ortega L.,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odder Education 2009

      8 Bhabha H.,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1992

      9 Hall J.K., "Teaching and Researching Language and Culture" Pearson Education 2002

      10 Bogardus E. S., "Social Distance and Its Origin" 9 : 216-226, 1925

      11 Karakayali N., "Social Distance and Affective Orientations" 24 (24): 538-562, 2009

      12 Berg B.,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 5th" Pearson Education 2004

      13 Brown H.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th" Pearson Education 2000

      14 Bucholtz M., "Locating identity in Language, In Language and Identiti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18-28, 2005

      15 Bourdieu P., "Language and Symbolic Power" Polity Press 1991

      16 Nunan D., "Language and Culture:Reflective Narratives and the Emergence of Identity" Routledge 2010

      17 Bucholtz M., "Identity and interaction:a sociocultural linguistic approach" 7 (7): 585-614, 2005

      18 Norton B., "Identity and Language Learning:Gender, Ethnicity and Educational Change" Pearson Education 2000

      19 Bhabha H., "Culture’s in-between, In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53-60, 1996

      20 Pavlenko, A., "Autobiographic Narratives as Data in Applied Linguistics" 28 (28): 163-188, 2007

      21 Atkinson D., "Altern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outledge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73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