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예술분야 실행 방안 탐색 =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Gifted Education in the Arts according to the Fourth Master Plan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4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4th Master Plan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to the gifted education in the arts, and to draw up appropriate strategies. To this end, 16 experts of gifted education in music, dance, visual art, and traditional arts participated in the written interviews and answered a questionnaire on the 11 tasks from the 4th Master Pla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on the first area of ‘Development of talents through gifted education on student demand,’ it is thorough researches in the aspect of the gifted in the arts before providing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curriculum module, pilot studies and teacher training for program standards, and need-based consulting that are mainly discussed. On the second area, ‘Enhancing diversity in selection of the gifted,’ it is solid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research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education program as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in arts that are deliberated. On the third area, ‘Guarantee of connectivity in gifted education,’ it is differentiation between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the gifted program, a portal webpage supporting teachers’ learning and network, and supports for stable longitudinal study that are suggested. On the fourth area,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most experts demand a leading role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and improvement of teacher evaluation indexes. On the fifth area, ‘Building a system for supporting the gifted education,’ most experts put an emphasis on the continuous placement of supervisors specialized in arts as well as the accountability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long-term development practices according to level of implementation of gifted education in the ar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4th Master Plan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to the gifted education in the arts, and to draw up appropriate strategies. To this end, 16 experts of gifted education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4th Master Plan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to the gifted education in the arts, and to draw up appropriate strategies. To this end, 16 experts of gifted education in music, dance, visual art, and traditional arts participated in the written interviews and answered a questionnaire on the 11 tasks from the 4th Master Pla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on the first area of ‘Development of talents through gifted education on student demand,’ it is thorough researches in the aspect of the gifted in the arts before providing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curriculum module, pilot studies and teacher training for program standards, and need-based consulting that are mainly discussed. On the second area, ‘Enhancing diversity in selection of the gifted,’ it is solid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research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education program as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in arts that are deliberated. On the third area, ‘Guarantee of connectivity in gifted education,’ it is differentiation between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the gifted program, a portal webpage supporting teachers’ learning and network, and supports for stable longitudinal study that are suggested. On the fourth area,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most experts demand a leading role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and improvement of teacher evaluation indexes. On the fifth area, ‘Building a system for supporting the gifted education,’ most experts put an emphasis on the continuous placement of supervisors specialized in arts as well as the accountability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long-term development practices according to level of implementation of gifted education in the ar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예술영재교육 현장에서 실행되는 양상을 점검하고 바람직 한 실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분야별 추진과제로 구성된 질 문지를 사용하여 음악·무용·미술·전통예술 영재교육 전문가 16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제4 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분야별로 전문가 서면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생 수요 중심의 영재교육을 통한 재능 계발’ 분야에서는 예술영재교육 진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예술영재교육기관 및 대상자 분포 차이 에 따른 교육과정 모듈화의 한계와 적용가능성, 프로그램 기준의 시범 적용 및 관련 연수, 교육기관에서 필요 로 하는 컨설팅 활성화 등이 주로 논의되었다. 둘째, ‘영재 선발의 다양성 제고’ 분야에서는 교사관찰추천제의 내실화, 프로그램과 선발의 연계 방식에 대한 연구 및 연수, 상시 선발 관련 규정 정비 등이 논의되었다. 셋째, ‘영재교육의 연계성 확보’ 분야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기존 예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간의 차별화, 예술영재 담당교사들의 운영·학습·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방향으로의 정보 제공 포털 구축, 안정적인 종단연구 지원 등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넷째, ‘영재교육 담당교원 전문성 강화’ 분야에서는 국책 연구·연수기관의 고유 업 무 수행 지원, 예술영재 전담교사에 대한 교원평가지표 반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재교육 지원체계 구축’ 분야에서는 예술영재교육 전담 장학사 배치 및 지속, 예술영재교육 관계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 의 책무성 강화 등이 논의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실행 가능성 및 장기적 발전 방안에 대하 여 제언하였다. 관계 부처 수준에서는 예술영재교육을 위한 수직적·수평적 기관 체계 확립, 교육현장에서의 실 행을 방해하는 관련 제도의 정비, 예술영재교육 맞춤형 정책 마련 등을, 교육기관 및 교사 수준에서는 예술영 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에 대한 이해와 적용에 대한 적극성, 교육기관 특성을 반영한 선발 및 맞춤형 프로그램 마련, 적극적인 교사 전문성 강화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예술영재교육 현장에서 실행되는 양상을 점검하고 바람직 한 실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예술영재교육 현장에서 실행되는 양상을 점검하고 바람직 한 실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분야별 추진과제로 구성된 질 문지를 사용하여 음악·무용·미술·전통예술 영재교육 전문가 16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제4 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분야별로 전문가 서면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생 수요 중심의 영재교육을 통한 재능 계발’ 분야에서는 예술영재교육 진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예술영재교육기관 및 대상자 분포 차이 에 따른 교육과정 모듈화의 한계와 적용가능성, 프로그램 기준의 시범 적용 및 관련 연수, 교육기관에서 필요 로 하는 컨설팅 활성화 등이 주로 논의되었다. 둘째, ‘영재 선발의 다양성 제고’ 분야에서는 교사관찰추천제의 내실화, 프로그램과 선발의 연계 방식에 대한 연구 및 연수, 상시 선발 관련 규정 정비 등이 논의되었다. 셋째, ‘영재교육의 연계성 확보’ 분야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기존 예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간의 차별화, 예술영재 담당교사들의 운영·학습·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방향으로의 정보 제공 포털 구축, 안정적인 종단연구 지원 등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넷째, ‘영재교육 담당교원 전문성 강화’ 분야에서는 국책 연구·연수기관의 고유 업 무 수행 지원, 예술영재 전담교사에 대한 교원평가지표 반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재교육 지원체계 구축’ 분야에서는 예술영재교육 전담 장학사 배치 및 지속, 예술영재교육 관계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 의 책무성 강화 등이 논의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실행 가능성 및 장기적 발전 방안에 대하 여 제언하였다. 관계 부처 수준에서는 예술영재교육을 위한 수직적·수평적 기관 체계 확립, 교육현장에서의 실 행을 방해하는 관련 제도의 정비, 예술영재교육 맞춤형 정책 마련 등을, 교육기관 및 교사 수준에서는 예술영 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에 대한 이해와 적용에 대한 적극성, 교육기관 특성을 반영한 선발 및 맞춤형 프로그램 마련, 적극적인 교사 전문성 강화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2

      2 김병욱, "질적 연구의 실제" 학지사 2018

      3 교육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2018

      4 미래창조과학부,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2017

      5 최나영,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 따른 예술영재교육의 성과평가" 한국영재학회 29 (29): 213-237, 2019

      6 교육부,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2013

      7 이희현,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8 Gläser, J., "전문가 인터뷰와 질적 내용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9 김성혜, "음악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영재학회 29 (29): 429-450, 2019

      10 김성혜, "음악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시안 개발 - 전문가 서면면담을 토대로" 한국예술연구소 (24) : 223-252, 2019

      1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2

      2 김병욱, "질적 연구의 실제" 학지사 2018

      3 교육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2018

      4 미래창조과학부,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2017

      5 최나영,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 따른 예술영재교육의 성과평가" 한국영재학회 29 (29): 213-237, 2019

      6 교육부,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2013

      7 이희현,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8 Gläser, J., "전문가 인터뷰와 질적 내용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9 김성혜, "음악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영재학회 29 (29): 429-450, 2019

      10 김성혜, "음악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시안 개발 - 전문가 서면면담을 토대로" 한국예술연구소 (24) : 223-252, 2019

      11 신지혜, "음악꿈나무 교육인력 프로그램 개발 기반 구축"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9

      12 이미경, "예술영재교육의 정책적 실천과 연구 상황에 대한 분석과 성찰" 1 : 5-38, 2019

      13 강주희, "예술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55) : 1-28, 2015

      14 김선아,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3 : 191-230, 2018

      15 김선아, "미술꿈나무 교육인력 프로그램 개발 기반 구축"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9

      16 국가법령정보센터, "문화예술교육지원법"

      17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18 이진효,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 개발을 위한 고찰" 대한무용학회 76 (76): 201-218, 2018

      19 Schö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20 Bogner, A., "Interviewing experts" Palgrave Macmillan 1-13, 2009

      21 Hargreaves, A., "Four ages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learning" 6 (6): 151-182, 2000

      22 한국교육개발원, "2018 영재교육 통계연보(통계자료 SM 2019-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1 1.11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