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xteen kinds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revised include periodic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nd linguistic lif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describing the changes in the internal structure and rules of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29051
2012
Korean
810.4
KCI등재
학술저널
147-168(22쪽)
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ixteen kinds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revised include periodic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nd linguistic lif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describing the changes in the internal structure and rules of ...
The sixteen kinds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revised include periodic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nd linguistic lif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describing the changes in the internal structure and rules of Korean languag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ontent, materials,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history section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and find the problems. There are three major problems in Korean language section; criteria of periodization, selection of historical materials and grammar explanation. Many textbooks show mistakes such as presenting the war or invetion of Hunminjeongeum to periodize Korean language. It is also problem that the materials of the 16th century are not payed attention and manuscripts of modern Korean are used without sufficient attention. Sometimes it is showed insufficient or inaccurate explanation of grammar to understand medieval and modern Korean language.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윤희, "국어생활사 교육의 성격과 목표"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287-311, 2009
2 구본관, "국어생활사 교육 내용"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1-48, 2009
3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2008
5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국어" 2000
6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 국어"
7 장윤희, "7차 國語科 敎科書의 國語史 知識 內容 구성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445-469, 2004
8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별책 5]"
9 이기문, "(개정판)국어사 개설" 태학사 1998
10 고영근, "(개정)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
1 장윤희, "국어생활사 교육의 성격과 목표"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287-311, 2009
2 구본관, "국어생활사 교육 내용"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1-48, 2009
3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2008
5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국어" 2000
6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 국어"
7 장윤희, "7차 國語科 敎科書의 國語史 知識 內容 구성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445-469, 2004
8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별책 5]"
9 이기문, "(개정판)국어사 개설" 태학사 1998
10 고영근, "(개정)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
배경지식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연구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타난 고전시가 수용 방식과 현대적 의의
문학교육의 고려 속요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2-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1 | 1.01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96 | 1.335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