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시조 분석 ― 코로나-19 창작 시조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ijo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2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humanity has entered a new era term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e boundary between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is gradually fading, as research converges between the two disciplines. Research to analyze text in humanities using digital techniques for natural science has also been attempted in various ways. Thus, this paper is part of a body of work aiming to confirm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sijo analysi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ijo is a shortened term for “songs of the time.” A kind of popular song that reflects the time, sijo has mirrored current times even in the COVID-19 pandemic, an issue that has affected the world in recent years. This could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modern trend that has recently been created.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will be seen in the sijo created by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195 sijo created by 192 students who took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classes in 2021 and 2022 under the sanctions of "COVID-19" were analyzed. Through these sijo, we identified students' perceptions of COVID-19.
      The students' original poems were analyzed by applying all three methods of text mining techniques, and for the first time, sijo morphemes were analyzed using KoNLP, a Korean text analyzer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word appearance in each work and embed it using Word2Vec's function. Common words in the sijo works created in 2021 and 2022 included "people," "we," "face," and "when," in addition to "COVID-19" and "mask." These words were identified as expressions of change, crisis, and willingness to overcome them. Next, we conducted an emotional word analysis through the KNU Korean Emotional Dictionary. The use of words containing strong emotional expressions in works created in 2022 tended to decrease from those in 2021, which may be due to the gradual easing of emotions as people adjust to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In addition, we compared prominent appraisers in 2021 and 2022, and found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COVID-19 are changing over time. Finally, the titles of the sijo were visualized as a word cloud and analyzed. Positive words tended to more frequently appear in titles in 2022 than in 2021, a conclusion similar to the findings of our emotional word analysis, so it can give its own meaning.
      번역하기

      Recently, humanity has entered a new era term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e boundary between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is gradually fading, as research converges between the two disciplines. Research to analyze text in huma...

      Recently, humanity has entered a new era term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e boundary between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is gradually fading, as research converges between the two disciplines. Research to analyze text in humanities using digital techniques for natural science has also been attempted in various ways. Thus, this paper is part of a body of work aiming to confirm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sijo analysi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ijo is a shortened term for “songs of the time.” A kind of popular song that reflects the time, sijo has mirrored current times even in the COVID-19 pandemic, an issue that has affected the world in recent years. This could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modern trend that has recently been created.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will be seen in the sijo created by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195 sijo created by 192 students who took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classes in 2021 and 2022 under the sanctions of "COVID-19" were analyzed. Through these sijo, we identified students' perceptions of COVID-19.
      The students' original poems were analyzed by applying all three methods of text mining techniques, and for the first time, sijo morphemes were analyzed using KoNLP, a Korean text analyzer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word appearance in each work and embed it using Word2Vec's function. Common words in the sijo works created in 2021 and 2022 included "people," "we," "face," and "when," in addition to "COVID-19" and "mask." These words were identified as expressions of change, crisis, and willingness to overcome them. Next, we conducted an emotional word analysis through the KNU Korean Emotional Dictionary. The use of words containing strong emotional expressions in works created in 2022 tended to decrease from those in 2021, which may be due to the gradual easing of emotions as people adjust to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In addition, we compared prominent appraisers in 2021 and 2022, and found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COVID-19 are changing over time. Finally, the titles of the sijo were visualized as a word cloud and analyzed. Positive words tended to more frequently appear in titles in 2022 than in 2021, a conclusion similar to the findings of our emotional word analysis, so it can give its own mea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른바 4차 산업혁명 시대라 부르는 새로운 세상으로의 변화를 재촉하는 바람이 거세다. 이러한 변화는 학문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자연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경계선이 조금씩 희미해지고 있으며, 이는 두 학문 간의 융합 연구를 통해서 현실화되고 있다. 자연과학의 디지털 기법을 활용하여 인문학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연구도 조금씩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시조 분석의 가능성과 효용성을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주지하듯이 시조(時調)는 시절가조(時節歌調)를 줄여서 부르는 말이다. 당시의 시대상을 잘 반영하는 일종의 유행가인 시조는 최근 몇 년 동안 온 세상을 관통하고 있는 이슈, 바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시대를 비추는 거울로서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이는 최근 창작되고 있는 현대시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시절을 반영하는 시조의 특성은 학생들이 창작한 시조에서도 드러날 것으로 기대하고, 본고에서는 2021년과 2022년 국어국문학과 전공수업을 수강한 192명의 학생들이 ‘코로나-19’를 제재로 하여 창작한 195편의 창작 시조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코로나-19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체 3가지 방식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창작한 시조를 분석해 보았는데, 처음으로는 KoNLP를 활용하여 형태소를 분석하여 작품의 단어 출현 빈도를 분석하고 Word2Vec의 기능을 활용하여 이를 임베딩 하였다. 그 결과 2021년과 2022년에 창작된 각각의 시조 작품들에서 공통적으로 빈출하는 단어가 ‘코로나’, ‘마스크’ 외에도 ‘사람’, ‘우리’, ‘얼굴’, ‘언제’ 등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코로나-19 팬데믹이 일상에 끼친 변화와 위기, 그리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KNU 한국어 감성사전을 통해서 감정어 분석을 진행해 보았다. 그 결과 2021년에 비해 2022년에 창작한 작품에서 강한 감정 표현을 담고 있는 단어의 사용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자 사람들이 이 상황에 익숙해지면서 감정의 표출 정도가 조금씩 약화된 결과로 보았다. 그 밖에도 2021년과 2022년에 두드러진 감정어들을 비교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코로나-19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또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조 제목을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2021년에 비해 2022년에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단어가 제목으로 출현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앞선 감정어 분석과 유사한 결론이라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번역하기

      이른바 4차 산업혁명 시대라 부르는 새로운 세상으로의 변화를 재촉하는 바람이 거세다. 이러한 변화는 학문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자연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경계선이 조금씩 희미해지고 ...

      이른바 4차 산업혁명 시대라 부르는 새로운 세상으로의 변화를 재촉하는 바람이 거세다. 이러한 변화는 학문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자연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경계선이 조금씩 희미해지고 있으며, 이는 두 학문 간의 융합 연구를 통해서 현실화되고 있다. 자연과학의 디지털 기법을 활용하여 인문학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연구도 조금씩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시조 분석의 가능성과 효용성을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주지하듯이 시조(時調)는 시절가조(時節歌調)를 줄여서 부르는 말이다. 당시의 시대상을 잘 반영하는 일종의 유행가인 시조는 최근 몇 년 동안 온 세상을 관통하고 있는 이슈, 바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시대를 비추는 거울로서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이는 최근 창작되고 있는 현대시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시절을 반영하는 시조의 특성은 학생들이 창작한 시조에서도 드러날 것으로 기대하고, 본고에서는 2021년과 2022년 국어국문학과 전공수업을 수강한 192명의 학생들이 ‘코로나-19’를 제재로 하여 창작한 195편의 창작 시조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코로나-19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체 3가지 방식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창작한 시조를 분석해 보았는데, 처음으로는 KoNLP를 활용하여 형태소를 분석하여 작품의 단어 출현 빈도를 분석하고 Word2Vec의 기능을 활용하여 이를 임베딩 하였다. 그 결과 2021년과 2022년에 창작된 각각의 시조 작품들에서 공통적으로 빈출하는 단어가 ‘코로나’, ‘마스크’ 외에도 ‘사람’, ‘우리’, ‘얼굴’, ‘언제’ 등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코로나-19 팬데믹이 일상에 끼친 변화와 위기, 그리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KNU 한국어 감성사전을 통해서 감정어 분석을 진행해 보았다. 그 결과 2021년에 비해 2022년에 창작한 작품에서 강한 감정 표현을 담고 있는 단어의 사용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자 사람들이 이 상황에 익숙해지면서 감정의 표출 정도가 조금씩 약화된 결과로 보았다. 그 밖에도 2021년과 2022년에 두드러진 감정어들을 비교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코로나-19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또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조 제목을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2021년에 비해 2022년에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단어가 제목으로 출현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앞선 감정어 분석과 유사한 결론이라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창, "한국어 임베딩" 에이콘 2019

      2 강진구 ; 이기성, "한국문학의 다문화담론에 대한 메타분석(meta-analysis)" 우리문학회 (59) : 7-28, 2018

      3 한유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구비설화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와 그 의미 -<한국구비문학대계> 디지털 아카이브를 대상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58) : 95-120, 2022

      4 김태경, "코로나19 관련 현대시조 연구" 우리문학회 (70) : 331-365, 2021

      5 황병숙, "코로나 19" 고요아침 (17) : 2020

      6 권기성, "컴퓨터를 이용한 고전문학의 방법론적 전환과 전망—필기, 야담의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연구소 1 : 9-29, 2018

      7 최운호 ; 김동건, "컴퓨터를 이용한 고전문학 디지털콘텐츠의 유사도에 따른 이본 계통 분류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2 (12): 101-110, 2014

      8 최운호 ; 김동건,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토끼전> 이본 연구" 우리문학회 (58) : 123-154, 2018

      9 강우규 ; 김바로, "소현성록 연작의 문체론적 고찰 -컴퓨터를 활용한 계층분석을 바탕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9) : 29-46, 2018

      10 김성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1 이기창, "한국어 임베딩" 에이콘 2019

      2 강진구 ; 이기성, "한국문학의 다문화담론에 대한 메타분석(meta-analysis)" 우리문학회 (59) : 7-28, 2018

      3 한유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구비설화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와 그 의미 -<한국구비문학대계> 디지털 아카이브를 대상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58) : 95-120, 2022

      4 김태경, "코로나19 관련 현대시조 연구" 우리문학회 (70) : 331-365, 2021

      5 황병숙, "코로나 19" 고요아침 (17) : 2020

      6 권기성, "컴퓨터를 이용한 고전문학의 방법론적 전환과 전망—필기, 야담의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연구소 1 : 9-29, 2018

      7 최운호 ; 김동건, "컴퓨터를 이용한 고전문학 디지털콘텐츠의 유사도에 따른 이본 계통 분류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2 (12): 101-110, 2014

      8 최운호 ; 김동건,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토끼전> 이본 연구" 우리문학회 (58) : 123-154, 2018

      9 강우규 ; 김바로, "소현성록 연작의 문체론적 고찰 -컴퓨터를 활용한 계층분석을 바탕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9) : 29-46, 2018

      10 김성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11 박경우, "머신러닝을 활용한 고시조 연구 방법론 탐색 -운율 패턴 추출 방안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74) : 37-68, 2021

      12 김성문 ; 김바로, "딥러닝을 활용한 시조의 유형 고찰 - 영남가단과 호남가단의 시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85-204, 2021

      13 김성문 ; 김바로,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조문학 연구 - 인공지능(AI) 제재 창작 시조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747-772, 2019

      14 김성문 ; 김바로,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조 연구 방법 탐색-『한국시조대사전』 수록 단형시조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4) : 209-236, 2020

      15 김성문 ; 박근형, "디지털 기법을 활용한 시조 분석 ― 코로나-19 제재 창작 시조를 중심으로" 한국시조학회 (56) : 59-84, 2022

      16 김영란, "꽃들의 예비검속―코로나-19" 열린시조학회 (여름) : 2020

      17 권보연 ; 류철균,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의 메타 분석: 동향과 제안" 인문콘텐츠학회 (39) : 97-124, 2015

      18 강우규 ; 이기성, "고전소설 연구 경향 고찰을 위한 디지털 분석방법론 탐색 -‘춘향 서사’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90) : 239-266, 2021

      19 강우규 ; 김바로, "계량적 문체 분석을 통한 <소현성록> 연작의 변이양상 고찰 - 이대15권본과 규장각21권본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80) : 115-135,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