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교육에 대한 도시와 농촌 간의 실태 차이 비교 연구 = A study on Media-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schooling : Focused on Primary School in Jeollabuk-Do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82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현존하는 상황에서 미디어교육의 영역에서도 도농 간의 교육격차가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교육의 교육과정 요인 중에서 미디어 이용 실태, 미디어교육 현황,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도농 간의 차이를 점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디어교육의 교육요건, 교육현황, 인식 등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도농 간의 큰 격차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의 교육문제에서 교육격차, 특히 지역 간 격차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하고 있을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다행스러운 일이다.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도농 간의 큰 격차가 없는 이유로는 정보격차 및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 지역에 대한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 농촌 지역학교의 유휴시설의 전환으로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교육여건이 확충되고 있다는 점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교육과정에서 아직 미디어교육의 비중이 크지 않기에 미디어 교육에 대한 도농 간의 격차 역시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사대상자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이해의 문제, 도농 간의 큰 편차가 없는 조사대상의 범위 문제 등이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현존하는 상황에서 미디어교육의 영역에서도 도농 간의 교육격차가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교육의 교육과정 요...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현존하는 상황에서 미디어교육의 영역에서도 도농 간의 교육격차가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교육의 교육과정 요인 중에서 미디어 이용 실태, 미디어교육 현황,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도농 간의 차이를 점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디어교육의 교육요건, 교육현황, 인식 등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도농 간의 큰 격차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의 교육문제에서 교육격차, 특히 지역 간 격차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하고 있을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다행스러운 일이다.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도농 간의 큰 격차가 없는 이유로는 정보격차 및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 지역에 대한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 농촌 지역학교의 유휴시설의 전환으로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교육여건이 확충되고 있다는 점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교육과정에서 아직 미디어교육의 비중이 크지 않기에 미디어 교육에 대한 도농 간의 격차 역시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사대상자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이해의 문제, 도농 간의 큰 편차가 없는 조사대상의 범위 문제 등이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media-education gaps are exist or no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schooling. In the concrete,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edia use, the present state of media education, and the understanding for media educ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is aims, this study use survey research method. The sample are taken in the whole primary-school in Jeollabuk-do province. In conclusion, there are a little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relation to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Reflecting on the state of educational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result is very fortunate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The reasons are assumed like these; 1) expand and improve the facilities for educational gaps and information divide, especially rural areas. 2) make use of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has so far remained unused in order to schooling in rural areas. 3) because media education is given little weight in the total schooling, gaps are still might not appeared. Partly, this research have limitation; if the extension of research areas which have big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the result might be chang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media-education gaps are exist or no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schooling. In the concrete,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edia use, the present state of media education, a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media-education gaps are exist or no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schooling. In the concrete,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edia use, the present state of media education, and the understanding for media educ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is aims, this study use survey research method. The sample are taken in the whole primary-school in Jeollabuk-do province. In conclusion, there are a little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relation to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Reflecting on the state of educational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result is very fortunate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The reasons are assumed like these; 1) expand and improve the facilities for educational gaps and information divide, especially rural areas. 2) make use of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has so far remained unused in order to schooling in rural areas. 3) because media education is given little weight in the total schooling, gaps are still might not appeared. Partly, this research have limitation; if the extension of research areas which have big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the result might be chang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연구의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연구의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민재, "한국의 미디어교육 현황" 한국언론재단 2006

      2 김영순, "한국의 교육과정과 미디어교육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미디어 2005

      3 류방란, "한국사회 교육복지지표 개발 및 교육격차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4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5 김기태, "한국 학교미디어교육의 실태 및 특성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미디어 2005

      6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위원회, "학교로 간 미디어" 다미디어 2005

      7 세계일보, "초등 2학년때부터 네티켓 교육"

      8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9 김병성, "우등생과 열등생의 차이, 그 오래된 의문점: 교육격차의 의미, 배경, 인과론" 교육개발원 30 (30): 2003

      10 이정춘, "미디어능력 촉진을 위한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와 교과과정 모델 연구"

      1 최민재, "한국의 미디어교육 현황" 한국언론재단 2006

      2 김영순, "한국의 교육과정과 미디어교육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미디어 2005

      3 류방란, "한국사회 교육복지지표 개발 및 교육격차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4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5 김기태, "한국 학교미디어교육의 실태 및 특성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미디어 2005

      6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위원회, "학교로 간 미디어" 다미디어 2005

      7 세계일보, "초등 2학년때부터 네티켓 교육"

      8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9 김병성, "우등생과 열등생의 차이, 그 오래된 의문점: 교육격차의 의미, 배경, 인과론" 교육개발원 30 (30): 2003

      10 이정춘, "미디어능력 촉진을 위한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와 교과과정 모델 연구"

      11 김양은, "미디어교육의 개념 및 학교 미디어교육의 방향 in: 학교로 간 미디어" 다미디어 2005

      12 김기태, "미디어교육과 교과과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3 미디액트, "미디어교육 새로운 실천 2: 개념, 틀, 방향" 미디액트 2007

      14 문혜성, "미디어 교육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15 이정춘, "미디어 교육론" 집문당 2004

      16 문혜성, "미디어 교수법"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6

      17 나승일, "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의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요구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117-135, 2006

      18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통계분석자료집" 교육과학기술부 2008

      19 오욱환, "교육격차의 원인에 대한 직시: 학교를 넘어서 가족과 사회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111-133, 2008

      20 김병성, "교육격차의 관계요인"

      21 국민일보, "고교 국어에 ‘매체언어’ 과목 개설"

      22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도 청소년유해환경접촉 종합실태조사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2008

      23 통계청, "2008년 사교육비조사 보고서" 통계청 2009

      24 보건복지가족부, "2008 아동·청소년 백서" 보건복지가족부 2008

      25 교육과학기술부, "2008 간추린 교육통계" 교육과학기술부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1 0.7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